* 귀리의 영양
귀리는 동양에서는 널리 양식이 되고 있는 곡물은 아니지만 유럽, 특히 영국에서는 중요한 식량으로 되어 있다. 귀리는 섬유질이 많아 그대로 먹기가 힘들기 때문에 오트밀 등으로 가공하여 주로 먹으며 근래에 귀리의 영양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귀리는 다른 곡류보다 단백질 함량이 높고 품질도 좋다. 독특한 맛이 있고 소화성도 좋고 비타민B 함량도 많다. 다른 작물에서는 단백질 함량이 높으면 라이신 함량은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지만 귀리의 경우 라이신의 함량은 총 단백질 함량에 관계없이 일정하다.지방의 경우 양질인 불포화지방산이 약 80%정도로 높고 비타민B 등이 높은 우수한 작물 중 하나이다. 이러한 영양가치 이외에 귀리는 우수한 식이섬유 및 베타글루칸이라는 물질이 많아 콜레스테롤치를 낮춤으로써 심장병 및 당뇨병 환자들에게 좋아 선진국에서는 귀리에 대한 의학적인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성분?효능>
귀리는 현미를 능가하는 영양소를 가지고 있으며 여러가지 성인병에 대해 유효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 많은 연구 보고가 진행되고 있다. 귀리의 아미노산은 현미의 것과 유사하며 우유 콩과 섞어 먹으면 완전한 단백질 식품이 된다. 또 귀리에는 비타민 B군도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다. 귀리중에서도 유명한 궤이커 귀리는 단백질의 함량이 11.5%로 현미의 7%에 비해서 더 많이 들어 있으며 지방도 현미보다 3배정도가 많고 칼슘이 4.6배, 철분이 4배, 비타민 B2가 2.3배정도로 많이 들어 있어서 영양식으로 매우 좋은 곡물이다. 귀리의 또 한가지 특징적인 성분은 식물성 섬유로 이 섬유로 인한 콜레스테롤저하 작용, 혈당저하작용, 변비완화작용, 심장강화작용,항암작용 등이 주목받고 있다.
귀리의 혈중 콜레스테롤에 대한 작용에 대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약 85%의 고 콜레스테롤 혈증환자에서 유해한 LDL콜레스테롤치가 20% 정도 떨어졌고 유익한 HDL 콜레스테롤치는 약 15%증가하였다. 귀리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작용은 여러 영역의 혈중 콜레스테롤에 대해서 다 나타나는데 혈중 콜레스테롤치가 150이었던 한사람도 120으로 떨어 졌고, 위험역에 있던 사람도 280으로 내렸으며, 285였던 사람도 귀리기울을 매일 먹고 5주만에 175로 떨어졌다. 귀리를 먹고 가장 효과를 본 사람들은 240~300사이의 사람들인데 약 3주만에 최고 23%의 저하를 나타냈다.
귀리에는 염증을 유발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작용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고 이 작용은 각종 피부병에 유효하여 피부미용이나 마른버짐에 귀리의 마사지팩이 권장되기도 한다. 귀리는 변의 양을 증가시켜서 변비를 개선하며 장안의 발암물질의 농도를 낮추어 암의 위험도 줄여준다. 귀리에는 또한 단백질 분해효소인 프로테아제 작용을 억제하는 물질이 있어 항암작용을 나타낸다.
혈중 콜레스테롤치를 낮춰주는 귀리
귀리가루(oat meal)와 귀리기울(oat bran)을 섭취한 많은 사람에 있어서 혈중 콜레스테롤치가 낮아졌다는 보고가 있었다.
혈압과 혈당을 조절해주는 귀리
귀리는 혈압과 혈당을 정상으로 해주는 데 관여하여 혈압환자나 당뇨환자에게 많은 도움을 준다.
대장암을 예방해주는 귀리
귀리는 식이섬유가 많아 변의 부피를 증가시켜 장내에 존재하는 발암물질의 농도를 희석하여 대장암을 예방해주는 효과가 있다.
칼륨함량이 높은 귀리
귀리는 칼륨함량이 520mg으로 곡류 중에서 많이 함유되어 있는 편이다. 이는 음식을 짜게 먹을 때 나타나는 고혈압, 동맥경화, 심장병을 예방해주며 신장에 부담을 주는 것을 줄여준다.이처럼 귀리의 효능이 알려지며 다양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콜레스테롤과 혈압, 혈당을 조절하고 항암작용을 하는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귀리가 앞으로 의학적으로 어떻게 이용될지에 학계의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보내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