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와바타 야스나리 - 설국에서 만난 극한의 허무 클래식 클라우드 10
허연 지음 / arte(아르테)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눈의 고장이었다. 밤의 밑바닥이 하얘졌다.


내가 아는 중 안나 카레리나와 함게 가장 유명한 첫 문장. 

고속도로를 달릴 때 경탄하는 순간이 가끔 있는데 터널 이쪽과 저쪽의 날씨가 확 달라질때다.

더군다나 그게 겨울의 하얀 눈이라고 하면 터널을 경계로 아마도 다른 세상에 들어선듯한 환상에 젖어들수 있겠다싶다.

어쨌든 저 문장 때문에 가와바다 야스나리의 설국을 처음 읽는 내 마음은 그냥 설렘이었다.

이토록 아름다운 문장으로 시작하는 책이라니, 당연히 이 책은 내게 새로운 세계를 열어줄듯했던 것이다.

마치 검은 밤의 밑바닥이 하얘지는 것처럼, 나의 세계에 새로운 인식의 지평을 열어줄 것처럼......


하지만 실제 설국을 읽은 나는 급속도로 혼란에 빠져버렸으니....

아니 이게 뭐야? 

웬 시시한 한량 하나가 온천마을에 가서 이리 빈둥 저리 빈둥하다가 동네 게이샤랑 썸타고, 또 다른 인물한테도 스리슬쩍 썸타다가 그냥 무책임하게 도쿄로 돌아가는 이야기가 다야?  정말?????

아 정말 취향아님 아주 실망임 등등

무려 노벨문학상을 받은 작가의 대표작에 왜 나는 아무것도 느낄 수가 없지?

이런 경험은 <무진기행>이후 처음이다.

실망의 강도도, 읽고나서 허탈해지는 것도 <무진기행>과 <설국>은 똑 닮았다.

그렇게 많은 사람이 그렇게 난리를 치는 이 작품들에서 왜 난 아무것도 느낄 수가 없었을까?

어떻게 보면 이야기의 플롯까지 비슷한 이 소설들은 그래서 이 작가들을 내 취향 아님이라는 도장을 꽝꽝 찍게 만들었다.


그래서 클래식 클라우드의 시리즈 10권인 가와바타 야스나리를 읽은 이유는 순전히 내 강박이다

이 시리즈를 다 읽기로 했고, 그래서 순서가 되었으니까 읽었을 뿐.....

그런데 결과는 약간 반전이다.

책의 초반부는 설국의 배경인 에치고유자와를 찾아가면서 온통 <설국>을 읽는 법에 할해하고 있다.


<설국>은 줄거리의 소설이 아니라 이미지의 소설이다. <설국>에 나오는 모든 배경은 일종의 논리가 아닌 이미지다. 시마무라가 살고 있는 도쿄라는 현실 세계가 아닌 터널 밖의 세계, 즉 에치고유자와라는 이미지의 세계에 관한 이야기이다. 소설은 도입부부터 우리가 이미지의 세계로 들어가고 있음을 암시한다. 


터널 밖 세상은 환상에 기반한 모자이크 같은 세상이다. 그러다보니 소설은 독자들을 힘들게 만든다. 독자들은 습관적으로 인과관계를 통해 하나의 전체상을 포착하는 습관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설국을 가장 잘 읽는 방법은 한 행 한 행, 시를 읽듯 이미지로 읽어나가는 것이다. - 82쪽


내가 왜 <설국>을 읽는데 실패했는지를 너무나도 명확하게 보여주고 있다.

내가 시를 잘 읽지 못하는 이유와 똑같다.

<설국>의 세계에서 인과관계를 찾고 서사를 찾았던 나의 실패는 너무나도 당연한 것이다.

그렇다면 <설국>은 그 이미지의 조합을 통해서 무엇을 말하고자 했던 것일까?

이 책의 저자는 그것을 절대미를 추구하는 탐미주의로 이야기 한다. 

<설국>의 도입부가 그렇듯이 책속의 모든 장면은 대비를 통해 보여줄 수 있는 어떤 아름다움을 추구한다.

주인공 중 하나인 요코가 화재가 난 건물에서 떨어져 죽음을 맞는 장면과 은하수가 내 몸속으로 들어와 뿌리내리는 듯한 장면의 대비 역시 한 순간의 정지화면이 되어 이 세상 것이 아닌 절대적인 아름다움의 순간을 만든다.

그러므로 이곳에서는 선악이나 인간의 세속적 기준이 끼어들 곳이 없다.

소설 속 주인공 시마무라는 늘 한 발 물러서서 관찰하는 인간이지 행동하는 인간이 아니다.

그저 관찰하는 인간으로서 그가 순간 순간 느끼는 절대적 아름다움의 순간들이 이 소설을 가득채우고 있는 것이다.

그렇게 이미지만으로 본다면 아 그럴수도 있겠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할만큼 이 책의 저자의 <설국>에 대한 해석은 공감을 불러온다.

이 책을 읽고 <설국>을 다시 읽는다면 저자인 허연씨가 느낀 것을 나도 느낄 수 있을까?

솔직히 말하면 잘 모르겠다.

어쩌면 나와 가와바타 야스나리, 또는 이 책 저자인 허연씨는 완전히 다른 세상에 살고있는 사람일 거 같다는게 더 강하다.

그러면서 생각한게 어쩌면 지금부터 10년 정도쯤 더 지나면 나도 약간 달관의 경지를 느끼고 도인같은 느낌을 풍기는 사람이 될수도 있지 않을까? 그러면 그 때 읽는 설국은 좀 다르게 읽을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잠시 해봤다.

약간은 그런 기대로 <설국>을 10년 뒤에 다시 읽을 책으로 킵해두었다. 


미시마 유키오는 가와바타 야스나리를 가리켜 "어떤 시대관념도 가와바타 씨를 기만하지 못했다"라고 말했단다.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한창 작가로서 활동하던 시기는 일본의 군국주의가 한창이다가, 2차 세계대전의 패배로 온나라가 피폐해졌던 시기다. 

이런 역사적 시기를 거쳐오면서도 어떤 현실 정치에도 영향받지 않고, 자신이 추구하는 예술 하나만을 추구해온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울끈불끈하는 나같은 사람에게는 이해의 범주를 벗어나는 곳에 존재한다.

이해의 범주를 벗어난다는 것이 호불호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어떻게 평해야 할지 아예 모르겠다는 것이다. 

마치 <설국>을 읽고 당황했듯이, 작가의 삶의 모든 순간들이 나의 인식범위를 벗어난 존재라고나 할까?


하지만 이 책은 좋다.

<설국>을 읽고 당황스러웠던 내게 다르게 볼 수 있는 길을 밝혀주었고, 가와바타 야스나리라는 정말로 독특한 인간을 이해할 수 있는 단초도 마련해주는 아주 친절한 안내서이다.

이 책의 글을 따라가다보면 내가 모르던 세계 하나를 더 얻는 느낌이다.

마치 터널을 나가면 설국의 세계가 펼쳐지는 것처럼.....

그것을 받아들이느냐 받아들이지 않느냐는 그 다음의 문제이다.



------------------------------

이 시리즈의 특징 중 하나가 중간 중간에 꼭지를 따로 둬서 보충 설명이 필요한 것들을 서술하는 것인데,

가와바타 야스나리 편에서는 가오바타와 오에 겐자부로를 비교하는 대목이 정말 인상적이었다.

둘 다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작가지만 정말 대조적이다.

심지어 오에 겐자부로는 노벨상 수상 연설에서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연설 제목인 <아름다운 일본의 나>에 빗대어 <애매한 일본의 나>라고 붙인다. 그러면서 단호하게 가와바타 야스나리이 '아름다운 일본"을 비판하며, 아름다운 일본은 애매하며, 그 애매함이 일본의 폐쇄성과 연결되면서 아시아 침략으로까지 이어진다는 연설을 한다. 

이 두 작가의 연설을 비교하는 꼭지도 재밌다. 아 물론 나는 오에 겐자부로 쪽이다. 









댓글(21)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잘잘라 2021-08-21 08:29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잎새에 이는 바람에도 울끈불끈!! 🤩 이거는 그냥 못 지나가겠네요. 바람돌이님 짱!!👍👍👍

바람돌이 2021-08-23 01:28   좋아요 0 | URL
아니 그걸 또 콕 찍어내시다니.... 잘잘라님 짱입니다. ^^

페넬로페 2021-08-21 09:23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저도 시를 잘 읽지 못하는 사람이라 설국 읽기에 실패히는 것일까요? 두 작가를 비교하는 것이 흥미로워요^^
설국을 읽고 이 책을 읽는게 좋겠죠**

바람돌이 2021-08-23 01:30   좋아요 1 | URL
시를 잘 읽지 못하는 사람은 설국을 저처럼 실패할듯한데요. 그냥 이 책을 읽고 저자인 허연씨가 말하는대로 한번 따라가면서 읽어보는게 더 좋을거 같아요. 그럼 좀 다른 면을 볼 수 있지 않을까싶어서요. 저처럼 실패하지 마시구요. ^^

새파랑 2021-08-21 09:48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설국의 해설집이라고도 할 수 있겠네요~!! 전 설국 정말 재미있게 읽었어요. 뭔가 눈과 온천의 마을에 온 기분. 저도 이 책을 읽고 설국을 다시 읽어보면 더 좋아질수도 있겠군요 😆

바람돌이 2021-08-23 01:30   좋아요 1 | URL
설국은 좋아하시는 분은 정말 좋아하더라구요. 저는 좋아하고 싶은 사람입니다. 첫문장이 너무 멋지잖아요. ^^

scott 2021-08-21 11:33   좋아요 6 | 댓글달기 | URL
가와바타 야스나리 정말 독특한 정신 세계
아베가 처음 총리 되었을때 나의 아름다운 나라 일본 이라는 연설문도 가와바타 노벨상 연설문의 문구를 인용했습니다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문장이 응축된 시어로 짜여졌습니다 이작가의 손바닥 소설이라는 작품은 딱 한장짜리 스토리로 구성되었는데 사물과 사람을 이미지로 형상화 시켜서 세밀한 묘사에 놀라고 끝까지 읽고나면 한편의 시였다는 걸 깨닫게 됩니다

설국은 한 문장 속에 시각-촉각이 혼재 되어있습니다

 [˝거울 속에는 저녁풍경이 흘렀다. 비쳐지는 것과 비추는 거울이 마치 영화의 이중 노출처럼 움직이고 있었다. 등장 인물과 배경은 아무 상관이 없었다.˝]
설국의 주인공 시마무라는 한 발자국 물러서 있는 인물이죠 모든 사물 사람 현상 심지어 기억 조차도 약간 비겁하면서도 자조적이고 무기력한 인간

바람돌이님 십년후 꼬옥 설국 완독 하시길 바랍니다 ^^

바람돌이 2021-08-23 01:38   좋아요 1 | URL
스콧님이 설국 해설서를 쓰도 될듯요. 이 책 저자인 허연씨가 말하는게 바로 그런면이었어요.
저는 그런 감각을 모두 느끼기에 감성이 부족한듯요. ^^;;
한편으로 아베가 야스나리의 연설을 인용했다니 잠시 수긍이 가네요. 나쁜 놈들은 꼭 순수한 예술을 논하면서 자신의 정체성을 가리잖아요. ㅎㅎ

coolcat329 2021-08-21 15:28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 소설 인상적인게 고마코 외모 묘사한 부분이에요. 입술이 아름다운 거머리같다거나 양파구근 벗겨낸 듯한 피부 등 유난히 깨끗한 외모를 강조한 그런 묘사가 참 설국스럽더라구요.
한줄한줄 시 읽듯이 장면을 그려가며 읽어야 절대미를 느낄 수 있군요. 저도 언제 다시 읽어봐야겠습니다.

바람돌이 2021-08-23 01:40   좋아요 1 | URL
설국은 장면 하나하나, 문장 하나하나를 오감으로 읽어야 되는 소설이라는 말인것 같아요.
저의 오감은 언제쯤 완성될까요? ㅎㅎ 저도 10년 뒤에 다시 읽어보기로요. ^^

mini74 2021-08-21 17:27   좋아요 4 | 댓글달기 | URL
이미지의 소설. 딱 맞는 말이네요. ㅎㅎ저도 오에 겐자부로쪽입니다 ㅎㅎ

바람돌이 2021-08-23 01:40   좋아요 1 | URL
소설을 읽는 방법이 다르니 좋아하는 작가나 소설도 달라지는거겠죠? 그런면에서 오에 겐자부로는 좋아하기 쉬운 작가인듯요. ^^

그레이스 2021-08-21 18:17   좋아요 5 | 댓글달기 | URL
마지막 장면이 잊혀지질 않습니다. 분명 텍스트인데 그림으로 가슴에 들어와 버린!

바람돌이 2021-08-23 01:41   좋아요 3 | URL
설국의 모든 장면이 그렇게 그림으로 시각화해서 읽어야 할 듯하네요. 그레이스님은 오감충만자!
전 마지막 장면도 혼자 도쿄로 튀는 나쁜놈 하면서 읽었거든요. ㅎㅎ

그레이스 2021-08-23 05:20   좋아요 5 | URL
은하수가 그녀에게로 쏟아져내리는..
장면도 !
압권입니다.
죽은 사람을 안고 있는 여인 위로 은하수가 쏟아져내리는 밤하늘의 아름다움이 전달된다는게 놀라울 따름이죠!
이 작품에서 보여주는 유미주의의 끝판왕!

바람돌이 2021-08-24 01:51   좋아요 1 | URL
바로 그 장면이 이해가 안가는 사람이 접니다. ㅎㅎ

그레이스 2021-08-24 05:15   좋아요 0 | URL
^^

물감 2021-08-23 15:37   좋아요 3 | 댓글달기 | URL
저도 시에 엄청 약한데, 이런 책은 읽다 덮을지도 모르겠군요...ㅜㅜ

바람돌이 2021-08-24 01:52   좋아요 1 | URL
책의 분량이 적은지라 읽다 덮지는 않을듯해요. ^^

희선 2021-08-24 01:1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이 책은 봤지만 《설국》은 아직이군요 이 글을 쓴 사람처럼 못 볼지도 모를 것 같아서... 가와바타 야스나리는 어렸을 때부터 죽음이 가까이 있었더군요 그게 글을 쓰는 데도 영향을 많이 미쳤겠습니다 가와바타 야스나리 책 하나도 못 봤다고 생각했는데, 하나 읽었어요 《명인》 명인이 마지막으로 두는 바둑을 바라보는 이야기... 명인은 바둑을 예술로 여기는데 다른 사람은 그렇지 않다 그건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실제로 본 바둑 대국을 바탕으로 쓴 거더군요


희선

바람돌이 2021-08-24 01:54   좋아요 1 | URL
저는 달랑 설국 하나 봤는데 명인은 바둑 대국 이야기군요. 저는 웹툰 미생 보면 바둑대국기 나오잖아요. 그거 보면서 와 바둑대국기가 예술이다 하면서 봤어요. 바둑 둘줄 모르는데도 글이 정말 유려하더라구요. 야스나리의 명인도 그렇지 않을까 뭐 그런 느낌이 드네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