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파민 가족 - 각자의 알고리즘에 갇힌 가족을 다시 연결하는 법
이은경 지음 / 흐름출판 / 2025년 11월
평점 :

* 출판사에서 도서 협찬을 받았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주관적인 견해로 작성하였습니다.
도파민이라는 단어는 이 책에서 일종의 총칭이다. 호르몬 자체를 악마화하기보다는, 도파민 과잉 상태가 어떻게 인간의 판단과 관계를 왜곡시키는지에 초점을 맞춘다. 스마트폰 알림, 숏폼 영상의 빠른 전환, 게임의 즉각적인 보상 구조는 모두 도파민 회로를 자극한다. 문제는 그 자극에 익숙해진 뇌가 ‘느리고 지루한 것’을 견디지 못하게 된다는 데 있다. 그러다 보니 긴 글을 읽는 일, 상대의 말을 끝까지 듣는 일, 온 가족이 같은 영화를 보며 같은 지루함을 함께 견디는 일이 점점 사라진다.
거실에 온 가족이 모여 있지만, 누구도 서로를 보지 않는 풍경. TV 앞에 옹기종기 모여 프로그램을 두고 실랑이를 벌이던 시대는 이미 옛날 이야기가 되었다. 지금은 TV조차 틀 필요가 없다. 각자의 휴대폰, 태블릿 속에서 각자의 알고리즘을 소비한다. 같은 소파에 앉아 있으면서도, 우리는 서로 다른 세계를 본다. 아이는 게임과 숏츠에, 부모는 뉴스·쇼핑·SNS에 잠식된다. 이 익숙한 풍경을 ‘도파민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불러낸다.
강연장에서 "우리 애가 종일 게임만 해요, 하루 종일 유튜브만 봐요"라며 하소연하는 부모들의 이야기를 들으며, 속으로 "부모님은 스마트폰을 하루에 몇 시간 보시나요?"라고 묻는 장면이 나온다. 부모부터 퇴근 후 소파에 눕자마자 자연스럽게 게임을 켜고, 아이가 옆에서 말을 걸어도 "잠깐만"을 입버릇처럼 반복하지 않았던가. 설거지를 하면서도 교육 영상, 재테크 영상, 뉴스 요약을 틀어놓고 시간을 허투루 쓰지 않는다며 스스로를 합리화해오지 않았던가. 효율이라는 이름 아래, 도파민의 즉각적인 보상에 길들여져 있다.
가족을 "개인이 흩뿌려지는 사태를 막을 수 있는 최소한의 안전장치"라고 부른다. 그런데 그 안전장치가 작동해야 할 거실과 식탁에서조차 각자가 자신의 화면 속 세계에 몰입해 있다면, 더 이상 서로의 안색을 살피고 마음을 읽어주는 역할을 기대할 수 없다. 아이의 표정, 배우자의 하루, 부모의 건강보다 오늘의 추천 콘텐츠를 더 자주 들여다보는 우리의 습관이, 얼마나 잔인하게 관계의 끈을 헐겁게 만들고 있는지 돌아보게 된다.
#도파민가족 #도파민중독 #스마트폰중독 #디지털디톡스 #가족심리 #가족관계 #관계회복 #스마트폰습관 #부모교육 #자녀교육 #현대가족문제 #숏폼중독 #알고리즘피로 #정보과부하 #가족단절 #가족소통 #가족대화 #느린삶 #뇌과학도서 #심리도서 #육아고민 #부모역할 #디지털시대육아 #SNS중독 #사회심리 #도파민과잉 #가족회복 #일상심리 #자기성찰 #삶의질회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