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있는 걸 너무 좋아하는)사람이 즐겨보는 유튜브는 <언더스탠딩: 세상의 모든 지식>이다. 아는 목소리네? 하고 물어보니 연세대 서은국 교수란다. 유퀴즈에 나오셨을 때 재미있게 봤던지라 뒷부분을 같이 시청했다.

외향성의 사람들이 내향성의 사람들보다 '전반적으로' 행복하다는 이야기는 언제 들어도 신기하다. 오지랖이 독불장군보다 낫다는 건데, 그걸 극단적인 경우를 들어 설명하자면 금주, 금연 안 하고 식단 조절 안 하더라도 친구들과 잘 지내는 사람이 건강 요법에 충실한 고립된 사람보다 더 오래 산다는 이야기. 그런 이야기들은 항상 흥미롭다.

나는, 나를 외향적인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성향이 변하기도 하겠지만 근본적으로는 지금의 내 모습이 어릴 때의 나와 큰 차이는 없는 것 같다. 그러니까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고, 사람들과 이야기하고 함께 하는 시간을 즐기고, 좋은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나 나름대로 노력하는 것. 그런 성향, 태도가 나의 일부이다.

만약 어떤 자리에서 내가 말이 없고 조용하다면 그건 그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거나 다른 사람의 이야기를 듣기 위해서다. 그 자리가 불편하거나 답답해서가 아니다. 고등학교 다닐 때, 자기소개 시간에 이렇게 말하는 친구들이 많았다. 이런 친구들이 '있었다'가 아니라 '많았다'. "처음에 사람을 만났을 때는 친해지기가 힘들고 어색해 하지만, 친해진 이후에는 말을 잘한다(대화를 주도한다)" 아... 친해진 이후에 친해진 사람과 대화가 어려운 사람이란 어떤 사람인가. 요는 친하지 않을 때의 대화다. 친하지 않은 사람과의 대화. 친밀하지 않은 사람과의 의사소통. 내가 생각하기에 외향적인 사람과 내향적인 사람의 차이점은 여기다. '잘 모르는, 친하지 않는' 사람과의 첫 번째 접촉에 어느 정도의 주도성을 갖는가. 얼마만큼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가. 얼마만큼 불편해하는가.

큰아이가 알려준 재미있는, 내게는 충격적인 이야기가 있다. 친구 사이인 A(외향적)와 B(내향적)가 만났다. 둘은 맛있게 저녁을 먹고 커피를 마셨다. 이제 헤어져야 할 시간. B가 A에게 말한다. 오늘 너무 재미있었어. 나 올영(올리브영) 들렸다 갈게. A가 말한다. 아, 그래? 나도 뭐 살 거 있을려나? 그래, 같이 가자. B의 속마음. (아... 그게 아닌데....) 나는 처음에 그게 무슨 이야기인줄 몰랐다. 왜냐하면 나는, 외향적인 나는 A처럼 말했을 것이기 때문이다. 나는 급한 일이 없고, 살 물건도 없지만, 기꺼이 B와 함께 올영에 갈 것이다. 하지만, B의 의도는 그게 아니었다. 같이 가자, 는 말이 아니라, 여기에서 그만 헤어지자는 말이었던 것.

어제 서은국 교수는 외향적인 사람에게 그런 것처럼 내향적인 사람에게도 가장 큰 자원(기쁨)은 사람이라 했다. 다만 내향적인 사람은 인간관계에 투자할 수 있는 에너지 자체가 '적다'는 것. 일주일에 6명을 만나도 피곤하지 않은 사람이 있는가 하면, 이틀 연속 약속이 있을 때 부담을 느끼는 사람이 있다는 거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일은 소설을 쓰는 것이고, 그건 혼자 할 수밖에 없는 일이라서 만약 혼자인 자신을 견뎌낼 수 없다면 그 일의 성공 또한 불투명했을 것이다. 달리기를 말하면서 하루키는 이렇게 쓴다.


It might be a little silly for someone getting to be my age to put this into words, but I just want to make sure I get the facts down clearly: I'm the kind of person who likes to be by himself. To put a finer point on it, I'm the type of person who doesn't find it painful to be alone. If I spening an hour or two every day runnning alone, not speaking to anyone, as well as four or five hours alone at my desk, to be neither difficult nor borning. I've had this tendency ever since I was young...(15p)

I'm the kind of person who likes to be by himself. ... ...



이제는 이런 사람들이 많아졌다. 흔해졌다. 유교를 숭상했던 동아시아 고유의 전통 문화와 급속한 경제 발전을 통해 이룩한 초밀집 사회. 이를 구체화한 도시화와 아파트. 나는 이 부분이 우리나라와 일본의 공통점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 어떤 나라의 사람들보다 국가를, 집단을, 사회를, 외부를 중시하는 문화가 우리나라와 일본에 있었다고 생각한다. 한 사람이 아닌 집단의 부품으로서의 개인. 반드시 인간들 '속'에서, 공동체 내부에서만 존재 가능했던 삶의 양식들. 하지만 바뀌었다. 세상이 바뀌었다.

혼자 먹는 건 '식사'가 아니라 '사료'라고 말했던 철학자가 있었다. 공동체의 파괴와 파편화된 현대 사회를 경고하는 소리가 아무리 높아진다 해도 이런 변화를 막을 수는 없는 것처럼 보인다. 혼밥은 이제 선택의 자리를 넘어 하나의 풍경이 되어 버렸다.

이제 왔다. 오려고 했던 곳에 드디어 도착했다.

이제는 무라카미와 같은 사람, 혼자 있기를 즐겨하는 사람을 이상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혼자 즐길 수 있는 여러 가지 활동이 무궁무진해졌다. 2023년 통계로 1인 가구 수는 782만을 넘어섰고, 1인 가구 비율은 35.5퍼센트에 육박한다. 혼자 있고 싶은 사람은 혼자 있어도 되고, 그리고 다른 사람과 만나는 빈도수를 조금 줄여도 문제 될 게 없다.

문제는 혼자 있고 싶지 않은 사람들이다. 내향적인 사람들은 사람들과의 접촉면이 줄어들어도 혼자 보내는 시간을 잘 보낼 수 있다. 하고 싶은 일을 마음껏 할 수 있다, 혼자서. 하지만 외향적인 사람들에게는 내향적인 사람들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람이 필요하다. 훨씬 더 넓은 접촉면이 필요하다. 하지만, 어떻게 그들의 필요를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인가. 계속해서 새로운 사람을 만나 새로운 친구를 만드는 것 이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 요는 그런 사람을, 내 맘에 맞는 사람을, 나랑 말이 통하는 사람을 찾기가 어렵다는 데 있다.

옷은 새 옷이 좋고, 친구는 옛 친구가 좋다는 말이 있다고 한다. 그 말은 반만 맞고 반은 틀린데, 물론 옷은 새 옷이 좋지만, 반드시 옛 친구가 좋은 것은 아니다. 그런 식으로 따지면 어린이집 친구, 유치원 친구만큼 좋은 친구는 없을 테니 말이다. 나의 고민은 '사람을 좋아하는' 외향적인 사람에 가 있다. 사람을 그렇게 좋아하는데, 사람을 만나지 못하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


혼자서도 할 수 있는 활동을 시도해 봐야 한다. 목표를 세워 운동하고, 뜨개질에 도전하고, 혹 인테리어나 나만의 정원 꾸미기를 시도해 볼 수도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책을 권하고 싶다. 책을 읽으라고 말해주고 싶다.

책을 읽어서 더 나은 인간이 된다거나 지혜로워진다거나 똑똑해지는 일은 정말 가끔 일어나는 일이다. 책을 많이 읽으면 공감 능력이 키워지기도 하지만, 그게 모든 사람에게 해당되는 건 아니다. 책을 많이 읽어도 무식할 수 있고, 고민 없이 다른 사람의 말을 쉽게 무시하기도 한다. 그러니깐 책읽기와 더 나은 인간이 되는 것과의 상관관계는 그리 신뢰할 만한 것이 되지 못한다. 그렇게 생각한다.

다만, 책을 읽다 보면, 혼자 그 속으로 여행을 떠나가보면, 저자의 논증과 씨름하다 보면, 덜 외로울 수 있다. 탈출구이며 해방구로써 책이, 책읽기가 작동할 때가 있다. 시간을 잊고 집중하게 된다. 책 속 주인공과 같이 웃게 된다. 그리고 또 다른 책을 찾게 된다.

넷플릭스 보고, 운동하고, 마실 다니고, 차를 마시고, 멀리 여행을 떠나고 그리고 책을 읽고. 이런 일들로 행복하면 기쁜 일이다. 이런 일들을 혼자 해도 쓸쓸하지 않다면, 무라카미처럼 혼자 있는 시간이 힘들지 않다면 그건 또 그것대로 기쁜 일이다. 하지만, 언제나 곁에 인간을 둘 수 없는 우리가, 시간과 공간의 한계를 안고 살아가는 우리가, 찾아오는 외로움을, 고민을, 난관을 피해가는 길은, 극복이 아니라 피해 가는 길은, 책읽기라고 생각한다.

사람이 항상 필요한, 많이 필요한, 혼자 있을 때 그 혼자 있음을 견디기 힘들어하는 모든 외향인들에게 독서를, 책읽기를 권한다. 확고한 외향인인 나에게도 권한다, 책읽기를.

혼자 책 읽기를.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공쟝쟝 2025-01-19 14:1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210)사회에 잘 적응하며 살아가는 평범한 사람의 관점에서 외로움은 심각한 문제로 보일 수도 있다. 세상과 단절하고 자신의 욕구만 채운다면 필연적으로 외로워질 수밖에 없지 않나? 하지만 작가들이란 좀처럼 외로워지지 않는 이들이다. 기본적으로 혼자 있기를 좋아하며, 심지어 외로움 자체를 사랑하기도 한다. 이런 성격은 작가를 작가로 만드는 요소다. 나는 아이를 낳은 후에 육아를 전적으로 책임졌고 프리랜서 작가 일은 4분의 1 정도로 줄였다. 그러면서 내가 작가라서 얼마나 운이 좋은지 생각하곤 했다. 일은 곧 나를 회복시켜 주는 혼자만의 달콤한 시간을 갖는다는 의미였다. 몇 년이 지나서 깨달았다. 아, 나는 혼자 있고 싶어서 작가가 되었구나. 그건 결과가 아니라 동기였다.” - 괴물들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쟝작가 다녀갑니다! 🥰

단발머리 2025-01-20 21:37   좋아요 0 | URL
나는 혼자 있고 싶어서 작가가 되었구나 ㅋㅋㅋㅋㅋㅋ 너무 좋네요, 이 책. 다음 주문에는 꼭 넣으리!

다음날 아침이 지나면 집은 다시 거짓말처럼 어질러져 있다. 벽에 기대 앉아 우두커니 바라보고만 있다. 어디부터 또 손을 댈까. 아기는 자기만 보아달라고 소리를 지르다가 옆에서 머리를 바닥에 박아댄다. 집이 나에게도 쉬는 곳이었던 때가 있었는데, 나는 집을 나가서 쉬고 싶다고 간절히 바라게 되는 것이다. (<내 날개 옷은 어디 갔지?>, 30쪽)

작가만큼 혼자 있고 싶어하는 사람 누구게요? 기혼 유자녀 작가들의 책에서도 집을 나가려는 분들을 자주 만날 수 있습니다. 혼자 있기를 좋아하며, 외로움 자체를 사랑하는 사람의 정답 같은 사람이 하루키 같아요. 일단 저한테는 그렇게 느껴지더라구요.
하루키 와이프도 그런 문장을 좋아합니다ㅋㅋㅋㅋ 좋아할 것이다,에 500원!

잠자냥 2025-01-20 10:0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는 그래서 올리브영 갈 일 있어도 올리브영 들렀다가 간다고 말하지 않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ㅋ

단발머리 2025-01-20 10:07   좋아요 1 | URL
아…. 역시나! 외향인은 감히 상상도 못한 신세계로다!! 😳😳😳

다락방 2025-01-20 11:59   좋아요 2 | URL
저는 완전 외향성인데도 올리브영 간다고 말하지 않는 사람입니다. 이건.. 왤까요 ㅋㅋㅋㅋㅋㅋㅋㅋ
저는 완전 외향성인데도 예전에 애인이 종로에서 만나기로 했는데 집 근처에 와서 같이가려고 기다리고 있다고 해서 갑자기 딥빡이 훅- 왔던 사람이기도 합니다. 이건 왤까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내가 혼자이려고 할 때 제발 내벼려둬라.....

단발머리 2025-01-20 21:37   좋아요 0 | URL
애인을 좋아하지만 혼자 하는 시간도 엄청 중요한 마음인데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보통 작가들이 그렇다고 들었어요. 공지영 작가던가요, 자녀들에게 그랬다고 해요. 혼자 깊이 들어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너무너무 필요하다고...

다락방님이 혼자이려고 할 때 모두 협조 바랍니다. 쾅쾅!

다락방 2025-01-20 12:02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이 글을 다락방이 좋아합니다.

저도 유퀴즈에서 이 교수님의 방송을 보고 어? 외향성.. 행복? 이래가지고 너무 궁금해서 서점으로 달려가 [행복의 기원]을 사다 허겁지겁 읽었더랬죠. 결과적으로 저는 외향성수저..였음으로 밝혀져.. ㅎㅎ
저는 내향성에게도 사람이 가장 큰 자극이지만, 그런데 그들은 다른 사람들을 만날 때 불편해한다, 준비하고 갖춰야할 게 더 많다, 라고 말하는게 인상적이더라고요. 아, 그들에게도 사람이 가장 큰 자극이고 기쁨인건 같구나, 하는게 굉장히 새삼스러웠어요. 사람을 싫어한다고 생각했는데 그게 아니라 사람을 만나기 위해 준비해야할게-그러니까 마음 가짐이요- 더 많아서라니.. 그러고보면 저는 다른 사람을 만날 때 딱히 어떤 마음을 준비하진 않는데 말이지요. 성별이 남자일 경우라면 개똥같은 놈이 나오면 어떡하지, 같은 생각은 하지만... 사실 준비할 건 별로 없는...

[행복의 기원]에서는 서은국 교수가 그렇게 끝맺습니다. 결국 인간을 가장 행복하게 하는건 음식과 사람이라고요. 음식과 사람,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맛있는 음식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있다면, 행복의 절정 아니겠습니까!!

단발머리 2025-01-20 21:25   좋아요 0 | URL
외향성수저ㅋㅋㅋㅋㅋㅋ 너무 신기하고 놀랍습니다.
제가 제일 놀라웠던 것도 다락방님이랑 비슷한데, 내향적인 사람에게도 가장 큰 기쁨은 ‘인간‘이라는 거. 다만 만나면 급속히 피곤해진다는 거겠죠. 그게 신기했어요. 저는 이 글을 쓰면서는 예전처럼 복잡거리고 ㅋㅋㅋㅋ 서로의 삶에 대해 개방할 수 밖에 없었던 전통 사회, 농업 사회보다 내향인들이 살아가기에는 도시가, 현대사회가 훨씬 더 낫겠다, 그런 생각을 했거든요.
전 유명한 사람 아닌데, 현대 사회의 익명성이 주는 해방감을 소중히 여기거든요. 하지만 개인이 어떻게 공동체를 이루어갈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저도 관심이 많아요. 특히 이동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노인들에게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하고요.

가장 행복하게 하는 것, 음식과 사람에 저도 동감합니다. 좋아하는 사람이랑 맛난 거 먹을 때 가장 행복하죠. 행복의 절정, 행복의 최고점 맞습니다.

독서괭 2025-01-20 13:39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단발님, 외향성 단발님, 코로나 이후 좀 외로우셨군요? ㅠㅠ 전 내향성이라.. 혼자 방에 일주일 격리되면.. 많이 아프지 않으면.. 괜찮..겠는데..? 하고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ㅋㅋ 결국 혼자 격리되지는 못해서(애들과 함께 격리) 그게 진짜 괜찮은 일이었을지는 알 수 없지만요.
올리브영은 모르겠지만 저는 헤어지고 집에 갈 떄는 혼자 가는 게 좋더라구요.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혼자 책 읽든지 음악 듣든지 졸든지.. 편하게 있고 싶어요. 교통편까지 같이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외향인이자 독서가이신 단발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궁금 ㅎㅎ

단발머리 2025-01-22 21:20   좋아요 0 | URL
ㅋㅋㅋㅋㅋ 외향성 단발이는 코로나 이후 외롭지 않았습니다 ㅋㅋㅋㅋㅋㅋㅋ 저는 아이들을 많이, 아주 많이 새로 만나게 되었구요. 물론 지금 헤어졌습니다만 ㅋㅋㅋㅋㅋ 많은 사랑을 주고 또 많은 사랑을 받았습니다^^

이 글을 쓸 때는..... 외향적인데 책에 큰 관심이 없는, 외향성의 인간인데 책 읽는게 어려운 사람들이 생각나기도 했습니다. 만약 그 에너지를, 자극을 ‘사람에게서만‘ 찾는다면, 그 사람이 얼마나 힘들까... 그런 생각이 들었어요. 저는 외향적인 사람이고, 가끔 찾아오는 외롭고 쓸쓸한 날에 책을 읽을 수 있어서, 관심 가는 책을 찾을 수 있어서 다행이라고 생각합니다.

교통편까지 같이 이용하는 것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일단.... 놀라지 마시구요. 근처에 사는 친구라면 지하철을 갈아 타는 순간까지 함께합니다. 그 친구가 다른 호선으로 갈아타면 거기까지 같이 갑니다 (같은 방향이요 ㅋㅋㅋ보통 제가 데려다 주고요) 버스 같은 경우 우리집 가는 버스 아닌데 같이 타고요 (가다가 환승) 그렇습니다. 너무 고백? ㅋ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