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세계 경제패권전쟁과 한반도의 미래 - 신냉전 시대, 우리는 어떻게 부강한 나라가 될 수 있을까
김택환 지음 / 김영사 / 2019년 2월
평점 :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끄는 미국과 시진핑 주석이 이끄는 중국의 경재패권 전쟁은 나
뿐만이 아니라 세간의 많은 사람들에게 크나큰 관심거리이기도 하다.
물론 국가적으로는 그 향방의 귀추가 주목됨이 매우 크다고 하겠지만 일개 개인으로서는
정치적 상황을 떠나서라도 흥미로운 부분이라 하겠다.
미, 중, 일, 러 그외 유럽, 아세안의 많은 나라들은 세계 경제의 패권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
밖에 없는 현실을 맞고 있다.
이 책 "세계 경제 패권 전쟁과 한반도의 미래" 는 지난 100년의 시간을 통해 미래의 새판을
준비하는 염원을 담고 있으며 세계 경제를 좌우하는 미, 중, 일, 러시아의 전략적 패권
경쟁을 분석하고 그들이 한반도에 품은 제각각의 야심들을 소개한다.
국제 질서의 개편은 신경제 냉전으로 치닫고 이러한 신냉전에 우리는 미래를 위해 어떻게
준비하고 실천해야 하는지를 꼼꼼하게 제시해 주고 있어 지금까지의 국제관계에 대해
새롭게 바라보아야 하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미, 중 무역전쟁, 그로 인해 변화되는 다른 국가들의 정책적 변화, 한반도를 둘러 싼 그들이
진정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가려진 흑막속에서 찾는 재미도 쏠쏠하게 재미있다.
문명 충돌의 최전선, 한반도는 흡사 체스판의 말처럼 희생양으로 끝나게 되어서는 결단코
안될 우리의 미래이다.
한반도를 둘러싼 강대국들의 행보에 무심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특히 미, 중 무역전쟁이 신냉전 체제로 굳어지게 되면 우리는 피해자로서의 역할에 충실하기
보다 북한과 공조하여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퀀텀 점프를 이뤄야 한다.
아직 미개방 된 북한을 점진적으로 개방시키고, 기술적 발전을 꾀하는 상태로 바꾸어 낸다면
체스판의 말이 아닌 당당한 주역으로서 자리매김 할 수 있음을 이야기 하고 있다.
강대국의 힘의 논리에 지배되지 않고, 경제 논라로 풀어나가야 하는 우리로는 현실의 미국,
북한의 평화 분위기를 넘어 서로 윈윈하는 상태로의 변화를 추구해야 함을 원한다.
대충이나마 어렴풋하게 인지하고 있을 때는 복잡한 생각을 갖지 않았지만 이 책을 읽고
난 후 오히려 더욱 안갯속에 갖혀 있는듯 함과 해답을 찾기 위한 갈증만이 더 늘어난 듯
하다.
제시된 해법들이나 사례들이 답일 수는 없다.
시시각각으로 변화하고 다양한 변수가 존재하는 경재패권 전쟁에서 살아남고자 한다면
주변국의 동태와 그들의 정책과 의미하는 바를 주도면밀하게 주시할 필요가 있다.
깊이있는 국제 경제 전쟁에 대한 이해를 가질 수 있고 우리의 미래를 위한 대응을 고민해
볼 수 있는 시간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