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챗GPT로 만나는 우리집 AI 주치의 - 가정의학과 전문의가 알려주는 진짜 챗GPT 활용법
안상현 지음 / 한빛미디어 / 2025년 5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챗GPT, 생성형 인공지능 AI가 우리 삶의 현장을 많이 바꾸고 있음을 실감하게 된다.
많은 변화가 있겠지만 아마도 건강과 관련한 변화는 아직 우리가 실감하지 못하는 변화일 수도 있다.
그간 인터넷과 검색의 발달로 인해 우리는 우리에게 필요한 건강 상식과 지식들을 만나볼 수 있었지만 이제는 인공지능 AI를 통해 검색에서 그치는 것이 아닌 나만의, 우리집 만의 주치의를 만들 수 있음을 생각해 보면 변화를 실감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주치의는 나, 우리집 사람들을 위한 전문 의료인을 말한다.
그런 전문적 의료인을 두는 일은 그간 돈많은 부유한 사람들이 아니고는 할 수 없었던 사치?에 가까운 일이었지만 이제 인공지능 AI시대에는 그러한 욕망을 필수처럼 사용할 수 있는 시대를 맞고 있음에 놀라움을 금치 못할 것이다.
아프면 병원가면 되지? 라고 말하는 주변 지인들이 존재한다.
물론 맞는 말이다. 하지만 병원을 꼭 아파야만 간다는 생각도 불편한 생각임이 틀림 없다.
아프지 않아도 나, 우리 자신의 신체적 이상이나 궁금증이 생겨도 병원을 가야 한다면 아마도 병원은 미어 터져 나갈지도 모른다.
인공지능 AI로 나만의, 우리 집만의 주치의를 만들어 활용하는 법을 알려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챗GPT로 만나는 우리집 AI 주치의" 는 몸이 아파 병원을 다녀 와도 마뜩치 않고 불편함을 감출 수 없었던 일들이 많은 나, 우리에게 속시원히 그러한 불편을 해결해 줄 수 있는 주치의가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하는 생각을 인공지능 AI와 결합시켜 나, 우리만의 AI 주치의를 만들어 활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는 책이다.
'이 증상은 왜 생겼고, 어떤 질환인지', '진료실에서 시간에 쫓겨 질문을 다 못하고 나왔을 때의 찜찜함', '복잡한 건강검진 결과를 받은 후 이해하기 어려울 때' 등 우리는 병, 의원을 방문하고도 명쾌함 보다는 찜찜하고 불편한 기억들을 더 많이 갖고 산다.
그렇다고 그러한 모든것을 의사들이 해결해 주냐 하면 그것도 아님을 생각해 보면 무언가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한 대책이 주치의 제도라면 어느 정도 맞을 수도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나, 우리 모두에게 주치의를 선정해야 하는 일은 엄청난 비용들이 든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일이다.
과연 그러한 주치의를 전문 의사가 아닌 인공지능 AI가 해도 될까? 하는 물음에 대한 궁금증은 나날이 발전하는 인공지능 AI의 모습을 보면 적어도 기대감은 가질 수 있지 않을까 싶은 생각을 하게 된다.
생성형 인공지능 AI로 만든 주치의 AI는 단순정보 검색 뿐만 아니라 24시간 365일 쉬지 않고 나, 우리의 건강을 위한 주치의가 되어 우리의 건강관리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저자는 그러한 챗GPT를 활용한 나, 우리집 AI 주치의를 도입해 현장에서의 경험과 AI기술을 접목해 보통 사람들의 건강관 관련한 고민들을 해결하는데 안성맞춤 AI주치의를 개발했다.
전문 의료인에게 기댈 수 있는 방법도 좋겠지만 역시 인간이 가진 한계의 부족함으로 이해하게 되면 챗GPT를 활용한 AI 주치의에 거는 기대가 남달라 질 수도 있다.
AI 기술을 이용해 신뢰할 수 있는 의료정보를 찾아 볼 수 있고 언제 의사의 진료가 필요한지를 판단하는 등의 기준도 얻을 수 있고 보면 무척이나 만족스러운 AI주치의가 될 것이라 판단할 수 있다.
인공지능 AI의 발달이 가져온 놀라운 변화 가운데 하나가 바로 인간의 건강과 관련된 놀라운 변화임을 생각해 보면 앞으로 더 많은 변화들이 의료계에 불어닥칠 것이라는 생각을 금할 수 없다.
그 변화를 수용하는 업계는 성공과 지속가능함을 얻을 것이며 배재하거나 거부하는 자들에게는 더이상의 업으로의 일을 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변화가 우리 삶의 전방위적으로 일어나는 일이기에 인공지능에 대한 높은 관심 만큼 활용에도 힘써야 하겠다는 생각을 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