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냉전, 퀀텀 패권 쟁탈전
이영우 지음 / 삼성글로벌리서치 / 2025년 3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냉전시대를 생각하면 과거 미국과 소련의 냉전시대를 떠올리게 한다.
하지만 이제는 신냉전 시대라 한다.
더우기 퀀텀 패권으로의 쟁탈전이 가속화 하고 있는 실정임을 생각하면 과거와는 사뭇 다른 느낌을 갖게 한다.
퀀텀이라는 용어를 자주 사용하고 듣게 된다.
이는 본래 양자역학의 연구 대상으로의 퀀텀모프를 의미하지만 미시세계를 구성하는 에너지 단위로 이해하면 좋겠다.
그러한 에너지를 이용한 변화를 꿈꾸는 일은 지금까지 삶의 모습이 아닌 확연히 다른 인간의 삶으로 도약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한 쟁탈전을 신냉전 체제에서 형성하기 위해 미국, 중국, 러시아는 자국의 속내를 드러내지 않으며 세계를 주물럭 거리며 행보하고 있다.
오늘날 지구상에서 일어나는 국제적 문제들의 이면에는 보이지 않는 신냉전체제의 영향력이 드리워져 있음을 깨달아야 한다.
그러한 사실을 간과한다면 표면적인 모습만으로 본질을 놓치고 껍데기만 취하는 현실이 될 뿐이다.
쉽지 않은 일이지만 신냉전, 퀀텀 패권 쟁탈전이 이뤄지는 글로벌 세계의 현실을 들여다 본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신냉전, 퀀텀 패권 쟁탈전" 은 양자역학에서나 쓸 법한 퀀텀모프라는 개념을 활용해 퀀텀모프 시대가 무엇이고 또 그러한 시대가 가져 올 패권전쟁에 대해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를 고민하고 해결해 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통찰을 담은 책이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전쟁을 놓고 보면 서로가 견제의 대상이며 우위에 서고자 하는 모습을 쉽게 간파할 수 있다.
그렇다면 러시아는 어떤가? 그들 역시 미, 중 못지 않게 촉각을 드러내고 있음을 부인할 수 없는 입장이다.
결국 디지털 시대를 뛰어 넘어 퀀텀모프 시대로 도약했을 때의 상대를 향한 우위는 생존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인지할 수 있는 일이다.
이는 국가안보, 금융, 기업 시스템 등 모든 부분에 있어 자국의 기술력으로 타국의 그것을 무력화 시키거나 제거할 수 있다는 무서운 전략이기도 하다.
이러한 일은 표면적으로는 기업들의 기술 개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것 처럼 보이지만 실질적으로는 그러한 그림을 그린 각국 정부의 힘에 의해 좌우되고 있다는 사실을 간파해야 한다.
이러한 패권전쟁이 비단 미국과 중국, 미국과 러시아 간의 전쟁으로 치닫기 보다는 이제 진영적 논리처럼 미국과 유럽 등의 우방국가와 중국과 러시아와 북한, 이란 등의 반우방국가의 대치로 나눠지는 실정이다.
그러한 측면에서 보면 세계화된 지구에서의 국제적 문제의 발생은 그 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보이지 않는 손과 힘에 의한 조종이자 전쟁이라는 사실을 목도할 수 있는 일이다.
신냉전 체제의 전쟁은 그야말로 세계를 멸망으로 몰아 넣을 수 있는 진영간의 대전이 될 가능성이 농후함을 꺠닫게 된다.
저자는 신냉전, 퀀텀 패권 쟁탈전이 갖는 핵심 이슈로 문명 전환기의 신냉전 양상, 미, 중, 러의 세계 대전략, 대전략의 격돌, 번영과 소멸의 기로에 선 한국의 입장에 대한 돋보이는 통찰력을 보여준다.
또한 한국의 나아갈 방향성에 대한 이야기를 담아 두었는데 집단기억으로의 한국인의 기억의 탈피는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냄비속의 개구리가 되지 않아야 함과 퀀텀모프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기업의 절대적 존재가 필요하기에 기업저항권을 통한 생존권 보장과 한국의 미래에 대한 조망을 보여주고 있어 참고할 가치가 충분하다 하겠다.
트럼프 2.0 시대의 세계는 요동치는 세계로 한국 역시 피해갈 수 없는 입장이다.
퀀텀 패권 쟁탈전에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한국임을 생각해 보면 우리의 입장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개진을 통해 올바른 선택의 입장에 서야 하지 않을까 하는 판단을 해보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