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55세 전, 연금을 키워라
김범곤 지음 / 진서원 / 2025년 2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을좋아하는사람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연금, 나이든 퇴직자들이나 젊어 미래 연금을 기대해야 할 모두에게 오늘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는 존재이다.
하지만 오늘의 나, 우리는 그 뜨거운 감자인 연금에 대해 아직 자세히 알지 못하고 있다.
자신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연금제도 이지만 아직은 먼 이야기라는 생각에 손을 놓고 있다 생각할 수 있는 일이다.
국민연금, 개인연금, 퇴직연금 등 다양한 연금제도가 우리가 받을 수 있고 받아야 하는 연금제도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에 관해 과연 나,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는가 하는 물음에는 쉽게 대답하지 못한다.
알아야만 한다는 사실은 피같은 돈을 세금만 불리는 일을 하지 않게 하는 일이다.
열심히 일하고 모은 연금인데 이를 무지로 인해 세금으로만 낸다면 너무나 아까워 땅을 치고 통곡을 할 사람들이 많을 것이다.
그러하므로 국내 최고 연금 전문가인 1타 강사인 저자의 설명을 통해 연금에 대해, 연금의 초절세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55세전, 연금을 키워라" 는 오늘을 사는 많인 이들 가운데 연금을 수령하게 되는 연령대인 사람들이 가장 어려워 하는 '연금 납입이 가장 쉬웠고, 연금 운용에는 정답이 없고, 연금 인출이 가장 어렵다'는 공통점을 안고 있음을 상기 시키며 그러한 현상이 바로 연금제도에 대해 무지하다는 사실을 일깨워 많이 알아야 비로소 연금을 지키고 초절세할 수 있는 방법을 실행해 건전한 삶을 만드는데 도움을 주는 책이다.
앞서 이야기 한 3가지 공통점이 우리가 연금에 대해 가장 크게 걱정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2025년 3월 여 · 야의 합의로 인한 국민연금제도의 변화를 목도하고 있지만 연금제도의 변화는 다양한 사람들의 삶과 직접적인 연관이 있기에 무척이나 초미의 관심사이다.
저자는 이러한 연금에 대해 연금의 납입, 운용, 인출이라는 항목에 촛점을 맞춰 상세한 설명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나와 같이 퇴직을 앞두고 있는 이들에게는 얼마 남지 않는 시간에 불안감을 느낄 수 밖에 없는데 퇴직금 중간정산과 퇴직소득세를 줄이는 방법, IRP계좌, ISA 계좌 등에 대해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안내하고 있다.
보통의 기업에서 근무하다 퇴직을 앞두고 있는 이들에게는 퇴직연금을 IRP계좌로 받는데 55세에 퇴직 연금을 받을 수 있지만 대개 경제적 활동을 하고 있기에 연금 수령을 미루게 되는데 저자는 1년에 1만원이라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왜? 라는 생각이 들었다. 나도 직접적으로 느끼는 부분이기에 궁금증을 갖는데 저자는 실제 연금 수령 연차가 높을 수록 퇴직 소득세 감면 효과가 달라진다고 한다.
바로 퇴직 소득에 대한 세금이 달라진다는 말이다. 피같은 돈을 세금으로 내야 하는것도 아까운데 이러한 사항을 모르고 있다면 연금소득 한계와 소득에 따른 세금의 30~40%의 이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은 퇴직금은 운영하는 금융계에서도 알려주지 않은 일이라 놀라웠다.
연금제도를 운영하는 다양한 금융기관들이 존재한다.
다양한 직업, 연령, 기준과 퇴직금액과 그동안 불입했던 연금 등 다양한 조건들이 우리를 혼란스럽게 한다.
자신의 경우를 찾아 연금의 운영과 절세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찾는 일이 그리 쉽지 않은 일이다.
저자의 연금에 대한 A~Z까지를 총망라 한 내용을 잘 살펴 보면 나, 우리가 처한 상황을 이해하고 어떻게 연금을 납입, 운용, 인출하고 세금의 절세를 할 수 있을까 하는 일은 노후를 위해 반드시 해야만 하는 숙제라 할 수 있다.
보통의 숙제라면 안해도 그만이지만 이는 평생을 피땀 흘려 모으고 가꾼 연금을 잘 지키고 노후의 삶에 유익하게 활용하기 위해 꼭 필요한 지식이라 할 수 있다.
더구나 금융계 지식이 없는 이들에게는 개미 눈꼽 만큼한 은행 이자만을 보고 쌓아 두고 있는 실정임을 생각하면 연금의 올바른 투자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주는 일도 경제를 활성화 하고 국민경제를 도모하는 일이라 생각할 수 있는 일이다.
55세전, 연금을 키워라는 말처럼 55세가 아니라도 미래의 나, 우리의 삶을 생각한다면 미리미리 연금에 대해 이해하고 알아야 하는 숙제를 완벽하게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