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랑이라는 세계 - 우리가 잃어버린 가장 오래된 감각에 대하여
시라토리 하루히코 지음, 나지윤 옮김 / 소용 / 2025년 11월
평점 :
**네이버 카페 책과콩나무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사랑에 대해 그리스 철학자 플라톤은 육체적 사랑, 도덕적 사랑, 정신적 사랑, 무조건적 사랑으로 구분했다.
이는 인간의 이성과 감성에 따른 분류로 볼 수 있지만 물애, 성애, 연애, 부성애, 모성애, 박애, 인류애, 자기애 등 다양한 표상으로 드러날 수도 있는 변화의 대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랑이라는 세계는 그야말로 넓고도 깊고 알 수록 깊게 빠져들게 되는 마력을 지니고 있다고 해도 틀리지 않는다.
인간의 사랑, 인간의 존재에 대한 사랑을 제외하곤 차제에 다루기로 하고 사랑은 그 무엇 보다 인간을 이해하는 가장 오래 된 철학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그 말인 즉은 인간에 대한 사랑, 그것만이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 대상이라는 사실을 자명하게 깨닫게 해 준다.
"사랑한다, 좋아한다" 는 말의 차이는 뭘까? 십분 그 의미를 이해하고 사용하는 사람들이 있을까?
아마도 이러한 물음들에 대해 쉽게 대답할 수 없는 일은 바로 인간에 대한 물음이자 과정에 속한 이야기라 그렇다고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하지만 그렇다고 사랑에 대한 정의를 내릴 수 없다는 말은 아니다.
그렇게 사랑이라는 세계에 대해 밀도 있게 조명하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사랑이라는 세계" 는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는 '사랑' 이라는 존재의 정의에 대해 다양한 사례와 의미를 통해 이해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는 책이다.
저자는 전 세계 선인들이 남긴 경험과 통찰을 토대로 진정한 사랑이 무엇인지를 조명한다.
내가 생각하는 사랑의 정의와 의미가 타자의 정의와는 다를 수도 있다. 그만큼 사랑은 다양성을 포함하는 존재이며 모두를 아우르는 절대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생각을 해 보면 사랑이라는 세계에 대해 어느 정도는 감을 잡을 수 있으리라 판단해 보게 된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오늘의 우리가 바라보는 사랑의 최첨단은 진한 육수 같은 사랑이 아니라 입속 모래 같은 사랑의 느낌이 들지 않을까, 사랑이 감정을 배태한 상태이기 보다 사유로서의 절제된 사랑은 아닐까, 타자와의 관계 속에서 조율해야 하는 사랑은 아닐까 하는 물음은 오늘의 우리를 되돌아 보게 한다.
더불어 사랑이 인간의 오래된 감각을 통해 발현되는 것이라면 우리는 잃어버린 줄 알았던 그 오래 된 감각을 되돌려야 하며 사람을 통해, 사람을 이해하고 사랑하는 관계와 삶을 통해 진정한 사랑을 되찾아야 한다.
그러므로서 우리가 바라마지 않는 지속가능한 삶의 근본 조건이 되는 행복한 삶을 누릴 수 있으리라는 생각을 할 수 있다.
사랑, 알수록 더욱 모호해지고 어렵게만 느껴지는 존재지만 열렬히 사랑하는 존재를 기리는 것은 인간만이 할 수 있는 욕망의 최첨단이라 할 수 있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우리가 느끼는 사랑에 대한 정의를 다양한 시각으로 조명, 통찰해 내고 있어 우리의 미완성적인 사랑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다.
더구나 문학적, 철학적 사유로서 세계적 명성을 얻은 철학자들의 사랑 수업을 각 장의 말미에 수록해 우리의 사랑에 대한 인식을 보편화 하면서도 새롭게 톺아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기독교의 교리 중 믿음, 소망, 사랑 중 사랑을 제일로 치는 이유가 존대한다.
비단 기독교만의 정의라 말하기 보다 여타의 종교가 보이는 교리나 정의에 대해서도 말은 다를지언정 뜻은 같은 의미를 살펴볼 수 있는 기회는 많다.
오늘을 살며 우리는 어쩌면 인간으로서 가져야 할, 아니 갖고 있어야 하는 사랑에 대한 감각을 잊어 버린채 살고 있지는 않은지 반문해 볼 일이다.
저자가 말하는 '사랑은 감정이 아니라 나, 우리의 존재를 지탱하게 하는 사유'라는 사실을 가슴 속에 부여 잡고 살면 좀 더 우리는 사랑꾼이 되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