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절집 말씀 - 대자유의 세계로 내딛는 사찰 주련 한 구절
목경찬 지음 / 불광출판사 / 2025년 7월
평점 :
**네이버 카페 북뉴스의 지원으로
개인적 의견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많은 한국인들이 종교를 떠나 여행지로서, 관광지로서의 절 탐방을 한다.
나 역시 믿음에 기반한 종교는 없지만 앞서 이야기 한 이유로의 절집을 선호한다.
그런데 보이는것만이 다가 아니라고 하지만 절집을 가 찬찬히 살펴 보면 너무도 많은 궁금증들을 일으키는 것들이 존재한다.
마땅히 그러한 것들에 대해 상세히 알려주는 인물이 있다면 좋겠지만 희망사항에 지나지 않는다.
많은 궁금증들이 있겠지만 절집의 여기 저기에 걸려 있는 주련의 글귀들은 왜,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지를 더욱 궁금해 한게 한다.
주련은 시구나 문장을 종이나 판자에 새겨 기둥에 잇달아 걸어 둔 것을 말한다고 한다.
즉 '기둥이나 벽 등에 장식으로 써 붙이는 글귀'가 그것이다.
이 주련에도 허투루 쓴 글들이 아니라 부처님의 가르침에 힘입어 공덕, 즉 좋은 일을 행한 덕으로 훌륭한 결과를 가져오게 하는 능력을 쌓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한 절집의 주련에 쓰인 글귀들을 모아 우리를 현실에서 벗어나 깨달음의 세계로 이끌어 주는 책을 만나 읽어본다.
이 책 "한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절집 말씀" 은 주련의 글귀들이 장식으로의 존재감을 뛰어 넘어 부처님의 가르침을 함께 하는 수행공간으로 인식할 수 있음을 알려준다.
사찰의 주련은 절마다 법당마다 글귀의 주제가 다르다고 한다.
그것은 각 절의 법당에 모신 불보살과 관련된 경전 내용들을 인용하기에 다르며 가르치고자 하는 의미에 따라 달라진다고 한다.
대부분 한자로 기록되어 있기에 읽고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다.
저자는 우리나라 사찰 주련을 모아 좀더 많은 대중들이 불교에 다가갈 수 있게 하고자 하는 바램을 갖고 있다.
그러한 바램을 담아 사찰에 들어가는 동선에 따라 주련을 정리해 불교 문화와 함께 읽고 느낄 수 있는 주련 문화를 소개한다.
그저 눈으로만 보이는 상태에 만족했던 지난 시간과는 달리 산사의 첫 문부터 부처님 세계의 문턱을 넘어서는 순간과 부처님이 중심인 법당, 보살님이 중심인 법당의 주련들을 살뜰히 살펴볼 수 있게 제시하고 있다.
그런가 하면 부처님의 가르침과 신앙으로의 힘이 느껴지는 법당과 수행자들에게 깨달음을 주고자 하는 물음과 답을 위한 주련도 존재한다.
어떤 종교에 접하더라도 경건함과 신비로움을 느낄 수 있겠지만 불교에 대한 느낌은 더더욱 나, 우리 자신을 스스로 돌아보게 하는데 큰 역할을 한다.
많은 절집들을 드나들고 여행을 했으나 아는것은 별로 없다.
절의 입구에 해당하는 명칭도 다양하다. 일주문, 금강문, 천왕문, 해탈문, 만세루 등이 있는가 하면 법당의 이름도 적멸보궁, 대웅전, 대적광전, 극락전, 약사전, 미륵전, 천불전으로 다양하고 관음전, 지장전, 문수전, 팔상전, 영산전, 웅진전, 나한전, 대장전, 장경각, 조사전, 칠성각, 북투각, 독성각, 천태각, 산신각, 신령각, 용왕각, 대중방에 이르기 까지 절의 모든 장소들에 기록된 주련들을 만나볼 수 있다.
어쩌면 좀 더 깊이 있게, 좀 더 재미있게 절집 여행을 하기 위해 가고자 하는 절의 주련들을 이해할 수 있는 이책을 필수적으로 애독해야 할 수도 있다.
더 많은 절집 탐방을 위할 수록 이 책의 진가는 더욱 빛날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