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오후 서울시청에 갔다. 

세월호 아이 둘의 이별식에 참석하기 위해서다.


조은화. 

허다윤.


그리운 친구들에게로 보낸다.


촛불혁명 힘으로 범죄자는 감옥에 갔지만

진실은 여전히 바다에 잠겨 있다. 


이대로 보낼 수 없어서 

차마 보낼 수 없어서

그리운 친구들의 이름을 불러온다.


얘들아

하늘의 신화가 될 수는 없다.

땅의 역사가 되어야 한다.


25일 8시까지 이별식은 계속된다.

아이들이 기다리고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와같다면 2017-09-24 20: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녀오셨군요.. 붉은 장미꽃이 아름다워서 더 슬퍼보이네요

bari_che 2017-09-25 09:40   좋아요 0 | URL
진실이 밝혀지지 않는 현실을 보고 흘리는 피눈물 같습니다.ㅠ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임상 경험을 통해 제가 이름 붙인 병이 더러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서울대증후군>입니다. 서울대 학부 또는 대학원에 입학한 (직)후 느닷없이 들이닥치는 쓸모없는 존재라는 생각, 일이나 사람을 대할 때 느끼는 두려움, 힘없음, 의욕 없음, 관심사 없음, 즐거움 못 느낌, 지쳤다는 느낌, 쉽게 피곤해짐·······우울장애 범주에 넣을 수밖에 없는 상태입니다. 이런 학생들이 의외로 드물지 않습니다. 대뜸 의문이 드실 것입니다. ‘아니, 서울대씩이나 갔으면서 쓸모없는 존재라는 생각을 하다니? 호강에 겨워 요강에 똥 싸고 있는 거 아냐?’


대체 왜 이런 생각과 감정에 휘말릴까요? 상식적으로는 성공 뒤에 오는 허탈감 등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그런 식이라면 모든 성취 뒤에 이런 증상이 수반되어야 합니다. 뿐만 아니라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면 본디 모습을 되찾는 게 맞습니다. 치료를 받아야 항 정도로 심각하다면 여기에는 다른 요소가 깊숙이 개입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런 문제와 맞닥뜨렸던 어떤 서울대 학생과 숙의를 진행했습니다. 그는 먼저 명문 사립대 두 곳에 합격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서울대에 합격 통지를 받았다고 했습니다. 그 때 감정 상태를 물으니 별다른 기쁨을 느끼지 못했다고 대답했습니다. 상식으로는 이해할 수 없는 대목입니다. 왜 그랬는지 설명해보라 하니 막막한 표정을 지으며 한없이 머뭇거립니다. 제가 웃으며 물었습니다.


“무조건 서울대로 가야 해서 그런 것 아닐까요?”


그가 무릎을 쳤습니다.


“맞습니다. 언제나 제게는 선택의 여지가 없는 삶이 지속되었거든요. 모든 게 이미 정해져 있었죠. 그게 절 숨 막히게 했고, 한없이 공허하게 했습니다.”


한 마디로 그의 삶에서 그 자신이 빠져 있었던 것입니다. 국가가 만든 입시제도, 사회적 분위기, 학교와 부모의 집착 등이 일사불란하게 강요하는 편향된 가치가 그 자신의 주체적인 삶을 박탈해버린 것입니다. 입시가 끝나고 해방되었을 때, 해일처럼 들이닥친 수치심과 무기력감이 그의 삶을 송두리째 뒤흔들었던 것입니다.


숙의 초반에 확인해보니 그는 독자적으로 생각하고 신속하게 결정을 내리는 힘이 부족하며, 안정적으로 계획하고 조직하는 힘이 떨어지는 경향성을 보였습니다. 타고난 것일 수도 있지만 생애 초기에 입은 트라우마 탓일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그는 만 2살 이전, 어린이집(종일반)에 보내졌습니다. 양육의 주요 부분에서 부모, 특히 어머니가 결락된 사고였습니다. 10대 초반, 크게 교통사고를 당했습니다. 수술을 받고 2개월 동안 입원해야 했습니다. 실은 마취·수술·입원도 사고입니다. 10대 후반, 진학·전학을 둘러싸고 겪은 스트레스 때문에 6개월 동안 우울장애 약물치료를 받았습니다. 우울장애 첫 치료를 약물로 하는 것 또한 사고입니다. 이런 일련의 중대한 사고들이 그의 심리 전반을 왜곡하였을 것입니다.


왜곡의 갈피를 찾아가며 우리는 2차례 15개월에 걸쳐 고통과 삶을 숙의했습니다. 있는 그대로 느낀다, 문제를 문제 삼는다, 내 자신에게 예의를 지킨다, 나만의 콘텐츠를 고민한다, 나만의 삶 그 너머를 본다, 절박함·절실함의 감각을 터득한다, 반걸음 앞을 보고 한걸음 내디딘다, 이 순간을 알아차린다, 바꿀 수 없는 것은 내 스타일로 받아들인다, 근원에 육박한다, 전복하고 또 전복한다, 나 자신에게 기도한다,·······. 그러는 동안 그는 늘 어렵기만 하던 아버지와 대화를 통해 휴학 동의를 얻어냈습니다. 외국 여행을 다녀왔습니다. 자신과 삶을 보는 눈이 천천히 빠르게 달라지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그가 어느 날 설거지한 사기그릇 같이 반들거리는 모습으로 나타날 것을 바라지 않습니다. 여전히 느릿느릿 머뭇머뭇 살더라도 자신의 삶에서 스스로를 우선순위에 두고 타인에게 배어들 수만 있다면 족하다 싶습니다. 그럴만한 그에게 신뢰를 보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해월 최시형의 가르침에 ‘향아설위向我設位’가 있습니다. 내 밖向壁이 아니라 내 안을 향해 하느님의 길을 닦으라, 정도로 이해하면 무리가 없겠습니다. 나사렛 예수가 안식일의 주인임을 선포한 일이나, 단하 선사가 불상을 땔감으로 쓴 일처럼 수승한 가르침입니다. 하느님은 내가 숭배해야 할 우월적·배타적 타자로 외부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나의 내부로 스며들어 내가 되고야 만 소미한 바람이며 소리이며 냄새입니다. 이 진리를 놓친 거대종교는 모두 포르노에 지나지 않습니다.


자신이 다시 온 메시아라고 굳게 믿는 한 청년이 저를 찾아왔습니다. 자신이 다시 온 메시아임을 확인해줄 증인으로 삼겠다고 했습니다. 저보다 먼저 찾아간 사람은 정신과 양의사였는데 정신질환자로 인식하여 약을 먹으라 하기에 제게로 왔다고 했습니다. 저는 양의사와 달리 그의 말을 주의 깊게 들었습니다. 그가 스스로 다시 온 메시아라 주장할 수밖에 없는 심리 실재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였습니다. 여러 차례에 걸쳐 육중한 자세로 경청한 뒤 보송한 음성으로 물었습니다.


“그대가 메시아라는 주장을 저라면 증언해줄 것 같은가요?”


그가 단호하나 간절한 음성으로 대답했습니다.


“예, 그러실 거라 믿습니다.”


저는 부드러움을 걷어내고 말했습니다.


“다시 올 메시아는 누가 증언하고 말고 할 존재가 아닙니다. 메시아 자신이 삶으로 드러내면, 귀 밝은 영혼들은 침묵 가운데 우레 소리를 듣습니다. 그대가 정녕 메시아라면 지금 당장 이 자리를 떠나 메시아다운 삶을 사십시오.”


순간적으로 그가 각성과 의문이 교차하는 표정을 지었습니다. 저는 구차한 질문 하나를 덜어주었습니다.


“노동하십시오.”


그에게서 의문의 표정이 지워지는 것을 확인한 뒤, 제가 거래인의 음성으로 야젓함을 갖추어 말했습니다.


“열심히 일해 자신부터 먹여 살리는 시점에서 메시아의 길이 시작됩니다. 제 노동의 대가를 정당하게 지불하셔야 함은 물론입니다.”


그는 돌아가 노동의 삶을 살아가고 있습니다. 잊지 않고 조금씩이나마 나누어 제 노동의 대가를 지불합니다. 그가 지금 무슨 생각을 하는지 저는 알지 못합니다. 그가 노동의 삶에서 이탈하지 않는 한, 그가 무슨 생각을 하건 문제 삼을 이유란 없습니다. 자신을 다시 온 메시아라고 생각한다고 해서 정신질환자로 몬다면 자신을 살아 있는 부처라고 생각하는 허구한 중들은 다 뭐란 말입니까. 그가 자기 자신의 메시아로 살아가는 시간을 저는 존중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