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선택삭제
글제목 작성일
북마크하기 홍어의 톡 쏘는 맛을 느낀 날-문순태 시집, 홍어 (공감17 댓글0 먼댓글0) 2025-04-04
북마크하기 법의 지배가 법을 이용한 지배를 누를 때 (공감17 댓글0 먼댓글0)
<디케의 눈물 (리스타트 에디션)>
2025-04-03

  남을 비난하려는 의도로 쓰는 말들이 있다. 그 말들이 혐오 표현인지 생각도 하지 않고 그냥 쓴다. 그런 말에 상처를 받는 사람들이 많다. 그런데 반대로 그 표현을 자신들이 먼저 쓴다. 그래, 이 말, 나는 이렇게 쓴다 하면서.


  그런 말 중에 '퀴어queer'란 말이 있다. 이상하다고, 정상이 아니라고 쓰던 말들을, 그것이 어때서? 우린 너희와 달라. 그 다른 점이 바로 우리 특징이야 라는 듯, 당당하게 쓰고 있는 말.


  요즘은 퀴어란 말을 혐오 표현이라 여기는 사람은 거의 없다. 언어의 사용을 뒤바꾼 것이다. 혐오 표현에서 당당한 표현으로. 그 표현 속에 주눅들지 않고 오히려 자신들을 더 드러내는 쪽으로. 퀴어 축제가 있으니.


'이반'이라는 말도 있다. 혐오 표현이 아닌 말인데, 이 말은 '일반'이라는 말을 비틀어 쓰던 말이었다. 우리가 흔히 일반인, 일반인 하는데, 이 일반인에는 정상성이라는 개념이 들어 있었다. 그러니 그들의 기준과 다른 사람들은 정상성이 결여된 사람들이고, 이들은 일반인의 범주에 들기 힘들었는데...


이 말을 뒤집는다. 그래? 너희가 일반이라고? 그럼 우린 이반이다. 하여 이반이라는 말이 쓰이기 시작했다. 퀴어와 비슷하게 그 말이 지닌 의미를 자신들의 것으로 만든 것이다. 당당하게 자신들을 표현하는 말로 바꾸어 버린 것.


피하고 감추는 것이 아니라 드러내고 맞서는 것이다. 언어의 자기 것으로 만듦으로써, 자신이 그 의미를 재창조하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기존의 사고방식을 넘어서게 된다. 사고방식을 넘어서면 태도가 달라진다. 당당해진다. 그래, 당당하지 않을 이유가 뭐란 말인가?


'홍어'라는 말이 그렇다. 바다에 사는 생물 이름으로만 쓰이지 않았다. 특정 지역을 비난할 때 쓰였다. 비하하는 말, 혐오 표현이었다. 지금도 그렇게 쓰는 사람이 있겠지만.


지금은 홍어가 특정한 지역만의 생물이 아니다. 홍어는 전국에서 요리에 쓰이는 생물이다. 생물? 아니 죽어서 발효되어 더 인기를 끈다. 회로도 먹지만 삭혀서 먹는 것이 더 잘 알려진 요리다.


독특한 냄새, 톡 쏘는 맛. 홍어를 어찌 비하할 수 있단 말인가. 그토록 즐기는 사람이 많은 음식을.


그러다 홍어를 '퀴어'나 '이반'처럼 쓴 시를 만났다. 시집 전체가 홍어 예찬이다. 당당하다. 우리 곁을 떠날 수 없다. 하긴 이름도 홍어(洪魚)다. 생김새가 넓적해서 홍어라고 하겠지만, 어느 곳에서나 삭혀서도 먹을 수 있어서 널리 쓰이는 물고기라고 홍어라고 할 수도 있겠다.


두루두루 우리와 함께 하는 홍어. 그런 홍어를 문순태 시인시를 통해 우리 곁으로 가져온다. 언어의 의미 역시 긍정적으로... 홍어는 이제 당당한 우리의 음식이고, 자기를 드러내는 개성적인 존재가 된다. 누구도 무시해서는 안 될. 


'홍어, 전라도의 힘이여'라는 시에서 전라도의 힘이라고 하지만, 이때 전라도는 특정 지역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민주화를 이루어낸, 독재를 용납하지 않는 우리들을 의미한다. 그러한 우리들이 바로 홍어다.


홍어, 전라도의 힘이여


너는 아무나 먹을 수 있는 

비린내 나는 물고기가 아니다

짓밟힌 민초들의 울부짖음이고

애원성(哀怨聲) 판소리 가락이자

동학농민군의 죽창이거나

임을 위한 행진곡이며

눈물 머금고 핏빛으로 피어난

오월의 무등산 철쭉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너를

음식으로 먹는 것이 아니다

불꽃같은 맛의 기억을 

오래 간직하고 싶어서다

입에 넣고 씹기도 전에

폭발하듯 툭 쏘는 저항과

숨막히는 최루탄 냄새

홍어를 먹는다는 것은

기쁨과 슬픔을 공유하자는 것

함께 홍어를 먹는다는 것은

더불어 홍어가 되자는 것

오래 삭힐수록 더 날카롭게

되살아나는 전라도 기질

아, 온몸 떨리게 하는

전라도의 힘이여


문순태, 홍어, 문학들. 2023년 초판 2쇄.  14쪽.


어디 전라도만이겠는가? 독재에 저항하는 우리 민중들은 전국 도처에 있었으니, 홍어가 전국의 모든 사람이 먹는 음식이 되었듯, 이렇게 홍어는 우리에게도 불의에 저항하는 힘의 상징이 된다.


이렇게 홍어는 이제 저항하는, 세상을 바꾸는 힘의 상징이 된다. 함께함, 더 나은 세상을 향해 나아가는 존재들을 대표하게 된다. 그렇게 홍어는 시인에 의해서 새로운 의미를 획득한다.


2025년 4월 4일 11시 22분. 홍어의 톡 쏘는 맛을 톡톡히 보여준 시간이다. 홍어가 먹고 싶어졌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