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남 오빠에게 (어나더커버 특별판)
조남주 외 지음 / 다산책방 / 2017년 11월
평점 :
품절
'페미니즘 소설'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일곱 명의 소설가가 각자의 작품을 써서 엮은 책이다. 그렇다고 모두 여성이 피해를 본다든지, 여성의 권리를 되찾아야 한다든지 하는 주제를 내세우지는 않는다.
'페미니즘'이라고 해서 꼭 여성의 권리 운운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페미니즘 역시 인간이 지닌 기본적인 권리를 이야기하고, 인간답게 사는 길이 무엇인지,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가는 방법을 이야기하기 때문이다.
첫소설은 여성이 어떻게 남성에 의해 약한 존재, 보호받아야 할 존재로 변하게 되었는지, 그것을 어떻게 해서 깨치고 나오게 되는지를 편지 형식을 통해 서술하고 있다.
남성과 여성이 함께 살아가는 사회에서 남성들은 여성들을 보호해야만 할 존재로 생각하고 자신들을 따라야 할 존재로만 여기고 행동하지 않았나 하는 점을 되돌아보게 하는 소설이다.
남성들이 의식하지 못하고 하는 행동들 중에 많은 부분이 여성들을 그런 틀에 가두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것을 부수고 나오는 것, 어쩌면 몇 배로 힘든 일일지 모른다.
우선 자신들이 약하고 보호받을 존재로 규정당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인식에서부터 시작하여 그것을 깨고 나오는 과정은 참으로 어려운 과정이다. 그렇지만 꼭 거쳐야 할 과정이기도 하고.
첫소설인 '현남오빠에게'에서 이 과정을 잘 보여주고 있다면, 두번째 소설에서는 그렇게 깨고 나왔어도 주변의 틀이 여전히 공고함을 주인공인 유진을 통해 보여주고 있다.
자신 역시 가부장제의 피해자였음에도 불구하고, 그런 인습을 대물림하려는 엄마의 모습, 그리고 독립해 나왔음에도 여전히 가족의 틀에서 완전히는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유진의 모습을 '당신의 평화'란 소설에서 잘 보여주고 있으니.
남성과 여성이라는 개인의 문제에서 이제는 가족의 문제까지 확장되고 있다. 아직까지도 여성들에게 얼마나 많은 유리 천장과 유리 벽이 있는지를 생각하게 하는 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경년'이라는 작품은 여러 가지가 섞였다. 그럼에도 여성을 중심에 놓는데, 남자 아이와 여자 아이를 대하는 어른들의 태도를 엿볼 수가 있다.
'청소년 성'에 대해서도 남학생과 여학생을 다른 잣대로 평가하는 그런 모습, 여전히 가시고 있지 않은 우리 사회의 모습이 이 소설에서 적나라하게 나타나고 있으니...
이런 왜곡된 성의식과 성적지상주의가 교묘하게 결합되어 우리 미래를 이끌어갈 아이들을 양성불평등 사회로 이끄는지 너무도 간명하게 보여주고 있어서, 읽으면서 조금은 섬뜩함을 느끼게 되는 소설이기도 하다. 어쩌면 이것이 지금 우리나라 현실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을지도 모르니...
'모든 것을 제자리에, 이방인, 화성의 아이'는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소설이라고 보면 된다. 여성이 핍박받는 모습을 서술하지 않고 잘못된 우리 사회에서 그것을 바라보고, 그것에 대응해 가는 여성을 주인공으로 하고 있다.
이런 사회에서 남성과 여성의 갈등이라기 보다는 사회의 문제에 대응하는 사람의 모습이 부각된다. 페미니즘이 남성-여성의 이분법 구도에 갇혀 있지 않고 더 넓은 세계로 확장되고 있는 것이다.
인간이 인간으로서 살아가야 하는 사회, 인간답게 사는 모습들, 그것이 바로 페미니즘이 추구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으니, 페미니즘 소설이라는 주제로 이런 소설이 묶이는 것도 어색하다고 할 수 없단 생각을 한다.
이 작품집에서 섬뜩한 작품이 있다. 공포물이나 폭력물이라고 할 수 있는, 그러나 추리물에도 가까운 그런 소설, '하르피아이와 축제의 밤'
여장 대회에 참가한 남성들이 살해당하는 그런 내용을 담은 소설. 소설에서 남성 주인공은 마지막에 '히파티아'를 떠올린다.
여성이라는 이유로 찢어죽임을 당한 수학자. 마찬가지다. 그만큼 여성이라는 이유로 얼마나 많은 차별과 박해가 있었는지, 거기에 무슨 합당한 이유를 댈 수가 없다.
소설 속에서 초대받은 남성들은 여성을 차별하거나 성추행을 했던 경력이 있는 사람들이라, 그래도 약간의 이유가 있지만, 역사 속 여성들은 아무런 이유도 없이 추방, 감금, 죽임을 당해왔다.
그런 모습을 거꾸로 표햔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 특이하게도 주인공을 성추행 경력이 없는 사람으로 삼았다는 것. 그가 친구를 대신해 참가했는데...
이것을 조금 더 깊게 생각하면 방관자인 남성 역시 가해자일 뿐이라고, 그들도 책임을 면할 수 없는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현재 벌어지고 있는 #미투 운동에 난 아니야 하고 발을 빼고 있는 남성들에게 이 소설은 너희들도 같은 족속이라고, 너희들도 책임이 있다고 말하고 있는 듯하다. 방관은 동조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곱 편의 소설이 '페미니즘'이라는 주제 하나로 엮여 있지만 내용은 다 다르다. 이만큼 페미니즘이 다양하게 다가올 수 있다는 뜻이기도 하리라.
이렇듯 페미니즘을 꼭 여성주의로만 해석할 필요가 없다. 페미니즘은 인간주의다. 우리는 모두 인간이라는 사실. 인간다운 삶을 추구한다는 사실. 이 사실에는 여성과 남성을 구분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명심하면 되는 것이다.
그렇게 여기 실린 일곱 편의 소설들은 인간다운 삶에 대해서 생각하게 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