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언어는 인권이다
이건범 지음 / 피어나 / 2017년 9월
평점 :
너무도 당연한 말이다. 언어는 인권이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목적이 바로 모든 사람이 편하게 쓰고 서로 소통하는 것 아니었던가.
서로 소통한다는 것, 이것이 바로 인권이다. 나만큼 상대도 중요하다는 마음. 그런 마음에서는 당연히 상대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를 쓰게 된다.
우리나라 사람들에게 이런 언어는 바로 한글이다. 쉬운 한글을 놔두고 어려운 외국어를 쓰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 현실을 글쓴이는 안타까워 한다.
어떤 글을 볼 때, 어떤 방송을 들을 때, 어떤 사람을 말을 들을 때 알아들을 수 없는 말들이 중간중간에 끼어 있다. 주로 외국어다. 영어로 된 말들도 있고, 독일어, 심지어는 라틴어도 있다.
이런 말들을 섞어 쓰면서 상대와 대등하게 소통한다고 생각할까? 오히려 상대에게 자신의 지식을 알려서 소통이 아니라 자기 말만 들으라고 하는 마음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남 위에 군림하는 언어다. 그런 언어는 소통 언어가 아니다. 지배 언어일 뿐이다.
그러니 남과 소통을 막는 언어, 지배 언어는 인권에 위배되는 언어다. 이런 식으로 언어가 왜 인권인지 이 책은 자세히 잘 알려주고 있다.
글쓴이가 경험한 일들이 많이 나오기 때문에 더 설득력이 있다. 굳이 쓰지 않아도 될 말들을 참으로 많이도 쓰고 있구나, 그런 일들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구나.
아직도 사람들이 잘 이해하지 못하는 말들을 쓰는 사람들이 있고, 모든 국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표현해야 할 공공기관이 오히려 영어 사용을 앞장 서서 하고 있는 현실을 비판하고 있다.
또한 이 책은 단지 언어가 인권임을 주장하는 것을 넘어, 우리 한글이 겪어온 일들도 다루고 있다. 우리가 한글을 어떻게 대해 왔는지, 한글이 어떤 과정을 거쳐 지금에 이르렀는지를 알려주고 있기에 우리 한글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다시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모두가 쉽게 소통할 수 있는 언어를 사용한다면 사회는 특정한 집단이 독점을 할 수 없게 된다. 투명한 사회가 될 수 있다.
하여 언어 사용에 대해서 다시 생각해 봐야 한다. 남이 이해하지 못하는 어려운 말을 쓰고 있는지, 외국어를 남용하고 있지는 않은지.
다시 한 번, 언어는 인권이다. 내가 쓰는 언어는 상대에게 쉽게 다가가서 상대가 쉽게 이해하고 나에게 다시 돌려주는 언어가 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그런 언어는 지금 한글이다. 그 점을 명심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