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관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20
니꼴라이 고골 지음, 조주관 옮김 / 민음사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니꼴라이 고골의 작품으로 많이 언급되는 '검찰관'

 

읽어야지 하면서도 희곡이라 선뜻 손에 잡지 못했던 작품인데, 뇌물에 관한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 이번을 기회로 삼아 읽기로 했다.

 

고골의 작품이 그 당시 러시아를 풍자한다면, 그리고 이 작품이 지금도 사람들의 입에 오르내린다면 그것은 러시아 사회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 사회 전반에 통용된다는 이야기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썩어문드러진 관료사회를 이토록 우습게 비판하고 있는 작품이 있을까? 너도나도 썩어버린 세상, 특히 권력을 쥔 자들의 모습을 이토록 우습게 그리다니... 역시 풍자다. 러시아에서 이 작품을 발표하고 당분간 피신해 있었다고 하니 당시에도 찔리는 사람이 많았나 보다.

 

작은 마을 시장에게 편지 한통이 도착한다. 신분을 감춘 검찰관이 온다는 소문. 검찰관은 우리나라 조선시대로 치면 암행어사에 해당할 터.

 

이런 편지를 읽고 검찰관에 대하여 이야기하고 있을 때 어리석은 마을 지주가 여관에 검찰관으로 여겨지는 사람이 묵고 있다는 사실을 전달한다.

 

부랴부랴 여관으로 찾아가는 시장, 그는 수많은 권력형 비리를 저질렀기 때문에 자신의 죗값을 받게 될까 두려움에 떨고 있는 것이다. 시장만이 아니다. 동네 유지라 할 수 있는 자들 모두가 다 비리를 저지르고 있다. 자선병원장, 교육감, 판사 등등.

 

시장이 찾아간 사람은 하급관리. 도박으로 돈을 탕진하고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갈 돈이 없어 그냥 여관에 머무르고 있던 사람. 허풍이 심한 이 사람을 시장을 비롯한 마을 관료들은 검찰관으로 착각한다.

 

착각은 신념이 되고, 하급관료가 하는 말이 모두 검찰관의 말로 들린다. 그리고 다음 날, 그들은 한 명씩 찾아와 자신의 신상에 관한 부탁을 하려고 한다. 두려움에 말도 제대로 못하면서.

 

이들에게 하급관료가 하는 말, 돈 좀 빌려달라고... 그들은 군말 않고 수백 루블씩을 준다. 그들이 주는 이 돈은 바로 뇌물이다. 자발적으로 주는 뇌물. 자신들을 잘 봐달라고 하는. 다른 목적은 없다.

 

명목은 빌려달라와 빌려준다지만 받을 생각도 없고 줄 생각도 없는 그런 뇌물 거래다. 엄연한 자발적 뇌물 공여인 셈이다.

 

자, 이 말이 강압적 뇌물 강요로 들리는가. 시장, 판사, 병원장, 교육감은 자신들의 필요에 따라 눈치껏 돈을 주었을 뿐이다. 자신의 안녕을 위해서.

 

이들이 나중에 재판을 받는다면 어떻게 될까? 검찰관이라는 직위를 이용한 사람의 강압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준 뇌물이니 무죄라고 할까?

 

아니면 자신의 이익과 안녕을 위해서 자발적으로 준 뇌물이니까 유죄이고, 돈의 액수에 따라서 형이 결정될까?

 

판사라는 사람도 뇌물을 주었으니, 이들의 판결은, 혹 희곡이 계속된다면 강요에 의한 뇌물 상납이기에 최소한의 형량을 받고 끝날 것이다. 이것이 당시 러시아 상황이니까. 그리고 대다수 나라가 지니고 있는 '유전 무죄, 무전 유죄'의 현실이니까.

 

하급관료를 설정해서 한 바탕 희극을 연출한 고골의 솜씨가 놀랍다. 이 희곡을 통해 당시 러시아 관료 사회가 얼마나 낡고 늙었으며 부패했는지를 알 수 있고, 그들이 얼마나 허약한지도 알 수 있다.

 

장사꾼들과 다른 민중들이 검찰관으로 추정되는 하급관료에게 와서 청원서를 제출하지만 이들의 일이 해결된다는 기미는 없다. 하급관료는 이런 사태를 즐기고 떠날 뿐이기 때문이다.

 

물론 희곡의 마지막 부분에 진짜 검찰관이 나타나 시장을 소환한다. 이 검찰관은 그 동안의 일을 다 지켜보았으리라. 하지만, 과연 그가 제 직무를 수행했다고 해도 이들을 처벌하고 사회를 바꿀 수 있었을까?

 

시골 마을의 관료들이 이토록 부패했다면 중앙에 있는 고급관료들은 더 부패했다는 말이 되니, 조선 후기 그토록 많은 암행어사가 파견되었지만 조선의 멸망을 막을 수 없었듯이, 제정 러시아가 붕괴되어 가는 것이 당연하다는 생각이 들게 하는 희곡이다.

 

180년도 더 전에 쓰인 희곡이지만 여전히 유효하다. 그만큼 사회는 발전해 왔지만 권력을 쥐고 있는 자들의 행태는 거기서 더 나아가지 못했으니까. 거기에 기생해 살아가는 사람들의 모습도.

 

이 작품을 읽으며 자꾸 우리 사회의 모습이 생각나는 것은 왜일까? 특히 요즘 재벌에 대한 재판 결과가 생각나는 것은?

 

법관들이 이런 작품을 읽어봤으면 좋겠다... 그런 생각.

 

덧글

 

여전히 러시아 사람들의 이름은 어렵다. 시장의 이름은 '안똔 안또노비치 스끄보즈니끄드무하노프스끼'라고 하고, 또 다른 주인공인 검찰관으로 오해받는 하급관료 이름은 '이반 알렉산드로비치 흘레스따꼬프'이다. 도스토예프스키의 이름을 외우는 데도 오랜 시간이 걸렸는데... 그래서 작품에 나오는 인물들의 이름 표기를 과감하게 포기했다. 왜 이리 이름들이 긴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