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당신의 비밀
홍명진 지음 / 삶창(삶이보이는창) / 2017년 12월
평점 :
7편의 단편소설들이 묶여 있는 소설집이다. 다른 내용들이지만 소설을 흐르는 주된 흐름은 상처받은 사람들의 삶이다.
자기만의 방을 갖고 싶은 사람, 남들과 어울리지 못하는 사람, 사회에서 소외되고 상처받은 사람들, 불현듯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사람, 사랑하는 사람을 잃을 위기에 처한 사람 등등.
하나같이 우리 사회에서 중산층 이하의 삶을 사는 사람들이 나온다. 왜 그렇지 않겠는가. 정규직 비율이 50%가 안 되는 나라에서, 절반 이상의 사람들이 직장을 잃을 위험에 처해 있다는 사실 - 이것은 곧 생계와 직결이 된다 - 한창 경제활동에 종사해야 할 사람들도 이렇듯 실직의 위험을 곁에 두고 있는데, 이보다 나이 든 사람들은 어떻겠는가.
이들에게는 자신들의 삶을 허덕이며 유지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고, 이 과정에서 받은 상처들이 자신의 삶을 환하게 드러내지 못하게 하고 있다.
첫번째 소설에서부터 그런 모습이 나타난다. 자원봉사로 야간에 전화상담을 하는 주인공이 나오는 소설 '사소한 밤들'
주인공 역시 비정규직으로 생활하다가 해고가 된 뒤에 자원봉사로 상담활동을 한다. 상담활동을 할 때는 마치 다 안다는 듯이 말해서도 안되고, 가르치려는 듯이 이야기해서도 안된다. 그냥 말하는 사람에게 곁을 주면 되는 것이다.
말할 틈, 말하고자 하는 마음이 들게 들어주는 일, 남의 상처를 터뜨리지 않고, 그렇다고 그 상처를 무시하지도 않고 그냥 온전히 받아들이는 일.
상담자원봉사를 하는 주인공은 이것을 깨닫는다. 이렇게 남의 상처 곁에 조용히 머무를 수 있다는 것, 자신의 상처도 받아들일 수 있다는 것을.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시간'에서는 죽음으로 떠나간 동창생 이야기가 나온다. 그의 이야기를 제대로 듣지 않았던 친구들. 그들은 같은 시간을 살았지만, 같은 공간에 있기도 했지만 함께 했다고 할 수가 없다.
결국 제목이 의미하는 바는 함께 지내기는 했지만 서로에게 열려 있지 않았기에, 자신들만의 시간을 살았기에 이들이 함께 한 시간은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시간이 된다는 것 아니겠는가.
육체적으로 같은 공간에서 같은 시간을 보낸다고 해서 함께 한다고 할 수 없음을, 동창생들의 삶을 통해 알려주고 있다.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이렇게 형식적으로 함께 보내는 시간이 아니라 마음을 열고 마음과 마음이 통하는 그런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
마음과 마음이 통하지 않을 때 어떤 삶이 되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소설이 바로 '조용한 생'이다. 주인공 순조는 소박하고 조용한 생을 원했지만, 보여주는 삶을 추구하는 그의 아내 모란과는 맞지 않는다.
이러니 이 부부는 함께 살고 있지만 함께 살고 있지 않은 그런 생활을 하게 된다. 이것이 어쩌면 자신만의 세계에 갇힌, 곁에 있는 사람의 상처를 보아줄 시간, 마음을 내지 못하는 사람들의 관계가 아닐까 한다.
제 상처가 있지만 다른 사람의 상처를 제 상처처럼 아파할 수 있는 사람도 있음을 '당신의 비밀'에서 보게 된다.
삼남매를 키웠지만 늘그막에 홀로 지하방에서 사는 노인. 그에게 자식들은 애물단지다. 그러나 그런 애물단지라도 자신에게는 귀한 자식일 뿐. 그런 점을 옆집에 사는 성범죄자를 자식으로 둔 엄마를 보면서 동병상련의 아픔을 겪는 주인공.
그렇다. 세상 모든 부모들에게 자식은 그냥 자식일 뿐이다. 아무리 사회에서 손가락질을 받더라도 부모에게는 사랑스런 자식일 뿐. 자식들의 상처를 감싸주고 싶을 뿐.
이런 자신의 마음을 자원봉사자에게도 이야기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자식들이 다른 사람의 입질에 오르기를 바라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부모의 마음을 제대로 아는 자식이 몇이나 될까 하는 생각. 이렇게 소설집에 나오는 소설들은 각자 상처를 가진 사람들이 나온다. 그리고 주로 자신의 상처를 통해 다른 사람의 상처를 보게 된다.
'마순희'라는 소설이 그렇다. 청각장애인인 마순희를 통해 주인공은 자신의 상처를 보듬게 된다. 동종요법이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 세상에서, 사랑하는 사람에게서 상처를 받은 마순희가 그럼에도 제 삶을 사랑하는 모습을 통해 주인공은 자신의 삶을 바로 보게 된다.
'해피크리닝'에서 아무런 대가없이 상처를 보듬는 모습이 나오고, '너무 멀리 가지 마'에서 결국 능선을 넘지 않는 모습, 저 멀리에서 자신의 삶을 다시 찾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이곳에서 내 삶을 살 수밖에 없음을 인식하는 모습이 나온다.
상처, 외면하고 싶지만 결코 그럴 수 없다는 것. 내 상처든, 남 상처든 그 상처를 인정하고 함께 할 수밖에 없음을. 그래서 그냥 상처를 껴안고 살아가는 것이 바로 우리 삶임을.
소설을 읽으며 이런 상처입은 사람들을 만나고, '그럼에도'라는 말을 떠올리며 상처를 보듬고 함께 하는 삶을 살아가야 함을 생각했다.
덧글
출판사에서 보내준 책이다. 즐겁게 잘 읽었다. 우리들 삶을 이렇게 보여주는 소설, '삶창'다운 소설이라는 생각을 하면서 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