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들면 안 돼, 거기 뱀이 있어 - 일리노이 주립대 학장의 아마존 탐험 30년, 양장본
다니엘 에버렛 지음, 윤영삼 옮김 / 꾸리에 / 2010년 1월
평점 :
품절


기독교를 선교할 목적으로 아마존 밀림 지대에 살고 있는 피다한 족을 찾아가 그들의 언어를 배우고 함께 생활한 사람의 이야기.

 

이렇게 간단하게 정리하면 끝인데, 여기에 기독교와 원주민들의 신앙, 그리고 언어에 대한 이론이 겹쳐져 여러 이야기가 펼쳐진다.

 

그럼에도 간단하게 이야기할 수 있다. 그가 들어가 산 마을인 피다한 부족들의 언어는 지극히 간단하니까 말이다. 말을 길게 할 필요가 없다.

 

원주민을 선교할 목적으로 그들의 언어를 배웠지만, 그들의 문화를 이해하고 공감하게 되면서 선교보다는 그들의 삶의 방식이 옳다는 생각으로 바뀌었다. 즉, 그들과의 생활은 저자의 생활과 신념을 바꾸었다. 이것이면 된다.

 

저자인 다니엘은 젊은 나이에 가족을 이끌고 피다한 마을로 들어가 그들의 말을 배운다. 그들의 말을 배우는 목적은 단순하다. 그들의 언어로 성경을 번역하여 읽게 하는 것.

 

결국 성공한다. 그는 피다한 말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게 되고, 피다한 말로 마가복음을 번역한다. 그들에게 녹음하여 들려주기도 한다.

 

그런데 결과는? 피다한 사람들은 예수를 믿지 않는다. 오히려 더 싫어한다. 왜냐하면 그들에게 예수는 직접 경험한 사람이(신이) 아니기 때문이다. 직접 경험한 일만을 믿는 그들에게 기독교 성경은 허황된 이야기다.

 

그러니 선교는 실패할 수밖에. 선교가 실패하는 것에서 그치지 않는다. 저자인 다니엘은 자신의 믿음이 흔들린다. 이들에게 어떤 결핍을 깨닫게 해야 하는데, 과연 그것이 가능할까.

 

그들은 직접적인 경험을 믿고 또 오늘을 사는 사람들이다. 죽음도 그들 삶의 일부다. 죽어가는 사람을 억지로 살리려고 하지 않는다. 자신이 이겨내지 않으면 죽을 뿐이다. 이런 그들에게 내세를 가르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과연 내세를 위해 현세를 고민하며 사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 고민하게 된다. 저자인 다니엘은 기독교를 포기하고 만다. 그 결과로 가족들을 잃었을지라도, 그는 문화의 다양성, 신념의 다양성, 언어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것이 더 행복한 삶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선교사들은 자신들의 믿음을 남에게 강요한다.(?) 그들은 절대로 강요라고 하지 않지만, 자신의 믿음이 옳고, 자신의 신은 절대진리라고 하고, 다른 신들은 우상이고, 다른 믿음은 미신이라고 여긴다.

 

여기에 다양성이 들어설 여지가 없다. 오로지 하나로 수렴하는 운동만이 있을 뿐이다. 하나로 수렴하기 위해서는 다양함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함을 포기하게 해야 한다. 수천 년, 수백 년 살아오면서 형성한 믿음, 다양성들이 한 순간에 포기되겠는가.

 

그렇다면 더 큰 힘이 작동하게 된다. 다양함을 단순함으로 수렴하는 데는. 그것이 오랜 시간에 걸친 선교사들의 희생과 사랑을 바탕으로 한다고 해도, 거기에는 폭력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결국 선교활동은 폭력일 수밖에 없다. 잘 살고, 행복하다고 느끼는 사람들에게 너희는 잘살지 못해, 너희는 불행해!라고 끊임없이 강요하는 활동이 아무리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포장되어 있다고 해도 그건 폭력에 불과할 뿐이다.

 

다니엘은 결국 이 점을 깨닫게 된다. 그가 기독교를 포기하게 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을 것이다.

 

그렇게 되기까지 그는 피다한 사람들과 하나가 되어 생활한 것이다. 피다한 사람들의 말을 제대로 하기 위해서는 그들과 같은 생활을 해야 한다는 것을 깨닫는 과정이 책에도 나와 있는데..

 

"피다한 사람들은 풀을 먹지 않아. 네가 우리말을 잘하지 못하는 건 그것 때문이다. 우리 피다한 사람은 우리말을 아주 잘하지. 우린 풀을 먹지 않아." (372쪽)

 

피다한 사람들은 자신들의 말은 자신들처럼 사는 생활 속에서, 또는 다른 피다한 사람들과 맺는 관계로부터 나온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자신들처럼 생활하지 않는 사람은 자신들의 말을 한다고 해도 진정으로 말을 할 줄 아는 것이 아니다. 마이시 강 유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화려한 마코 앵무새처럼 그저 '소리'를 따라 흉내 내는 것일 뿐이다. 혹은 전화기에 녹음된 메시지처럼 정해진 말만 되풀이하는 것으로 간주할 뿐이다. 그들이 보기에 나는 영리한 앵무새나 녹음된 전화메시지에 불과했다. 이방인인 나는 진정으로 자신들의 '말'을 하는 것이 아니었다. 나는 이러한 피다한 사람들의 행동을 보면서 언어와 문화의 관련성에 대해 더 깊이 고민하게 되었다.  373쪽.

 

이런 고민들이 이 책에 잘 나타나 있다. 자신이 피다한 사람들 위에 군림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생활을 이해하고 공감해가는 과정. 결국 자신의 신념을 되돌아보는 과정.

 

이것은 다양성을 인정한다면서도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고 단순함으로 수렴하려던 자신의 행동을 반성하는 것으로 나아간다. 심지어 자신의 종교까지도.

 

그는 가족을 잃고, 친구를 비롯한 문명의 많은 것을 잃었을지도 모르지만, 사람이 어떻게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지를 얻었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물이 바로 이 책이기도 하고.

 

피다한 원주민들에게 어떻게 다가갔고, 그들과 생활하면서 겪은 일들이 흥미롭게 펼쳐진다. 단 책의 뒷부분에 언어-문법 이론에 관한 내용은 읽지 않아도 상관없다는 생각을 한다.

 

전문적인 언어학자인 저자와 언어학자와는 거리가 먼 우리의 차이를 인정한다면 이 부분은 과감히 생략하는 것이 더 좋겠다. 촘스키의 문법이론부터... 너무도 전문적인 문법이론이 나오는데... 그냥 피다한 사람들의 삶에 저자가 어떻게 동화되어갔는지를 살피면서 읽으면 더 좋은 책이기 때문이다.

 

세계는 이미 지구촌이라는 말이 통할 정도로 연결되어 있다. 이런 연결이 다양성을 인정하고 살리는 쪽이면 좋겠는데, 그렇지 않다는데 문제가 있다. 점점 다양성을 잃어가고 있는 이 세계에서 다양성이 왜 중요한지 이 책을 통해 깨달을 수 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18-01-22 10:21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1-22 11:47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