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덟 단어 - 인생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박웅현 지음 / 북하우스 / 2013년 5월
평점 :
절판


광고를 하는 사람 가운데 우리에게 잘 알려진 사람이다. 텔레비전에서 자주 보던 광고를 만든 사람이기도 하고.

 

'인문학으로 광고하다'란 책을 낼 정도로 인문학에도 조예가 깊은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자본의 총아라고 할 수 있는 광고와 자본과 가장 거리가 멀게 느껴지는 인문학이 어떻게 결합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을 했는데, 이 둘이 잘 융합되는 모습을 보여준 사람이기도 하다.

 

광고가 자본의 총아로서만 기능하지 않고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하는 데도 기여를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만든 사람이기도 하고.

 

그가 "여덟 단어"라는 책을 냈다. 키워드라고 하나, 여덟 단어로 광고 또는 인문학, 삶에 대해서 생각해 보는 강연을 한 것이다.

 

단지 광고에 대한 강연이 아니라 우리가 어떤 삶을 살아가야 하는지 먼저 산 사람으로, 먼저 고민을 한 사람으로 뒤에 따라오는 사람들에게 자신의 생각을 들려주고 있는 책이다.

 

그렇다고 굳이 박웅현의 말을 곧이곧대로 따라할 필요는 없다. 박웅현은 박웅현이고, 나는 나니까. 이 책에서 거듭해서 박웅현이 말하고 있는 점도 바로 이것이다. 그의 권위에 자신을 완전히 맡기지 마라.

 

그럼에도 참조가 많이 된다. 어떤 자세를 지녀야 하는가를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덟 단어는 다음과 같다.

 

자존, 본질, 고전, 견(見), 현재, 권위, 소통, 인생

 

이 중에 모든 것은 마지막 단어 '인생'으로 수렴된다. 인생을 잘 살기 위해서 앞의 일곱 가지가 필요하다.

 

왜 인문학을 공부하는가? 잘 살기 위해서다. 왜 직업을 갖는가? 잘 살기 위해서다. 왜 공부하는가? 잘 살기 위해서다.

 

잘 살기 위해서? 기준은 다양한다. 어떤 삶이 잘 사는 삶일지는 사람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 그 다름을 인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자존'이 필요하다. 자신을 존중하지 않는 사람, 남을 존중할 수 없다.

 

자신을 존중하지 않기에 다름을 인정할 수 없다. 즉 우리는 다 다르지만 어떤 공통점이 있다는 '본질'에 대한 생각에 이르지 않는다. 반면에 '자존'하는 사람은 다름을 인정한다. 다름을 인정하는 순간 '본질'에 다가갈 수 있다.

 

'본질' 무엇인가? 그때그때 변하는 것이 아닌 무언가 보편적인 것. 오래 가는 것, 세월의 흐름에도 견뎌내는 것, 그것은 바로 '고전'에서 올 수 있다. 고전이 고전인 이유는 인간이 지닌 어떤 본질을 우리에게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가다 보면 본다는 것(見)의 중요성에 이른다. 그냥 보이는대로 보는 것이 아니라 성찰하는 것, 그것이 바로 '견(見)'이다. 놓치고 있던 것을 놓치지 않게 되는 것, 바로 '견'이다. 이 '견'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현재'를 보는 것, 현재를 놓치지 않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우리는 모두 '현재'를 살기 때문이다. 물론 인간은 다른 동물과는 달리 - 동물이 되어 보지 않아서 돌물들이 과연 그런지 모르겠지만, 이 책에서도 개를 예로 들어 현재에 충실한 모습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 과거와 미래를 자꾸 현재로 불러온다.

 

그래서 현재를 현재로 즐기지 못하고 자꾸 과거로 되돌리려 하거나 아직 오지도 않는 미래로 밀어 넣으려 한다. 자연스레 자존도, 본질도, 고전도 놓치고, 제대로 보지 못한다. 현재에 살아야 하는 자신을 보지 못하게 된다.

 

그러니 우리는 '현재'를 살아야 한다. 현재를 살기 위해서는 쓸데없는 권위에 자신을 맞추지 말아야 한다. 어떤 형식으로 권위를 세우려 해서는 안된다. 그것은 '현재'를 살지 못하는 모습이다. '권위'는 자존을 지니고 본질을 추구하며 현재를 잘 살 때 자연스레 만들어진다. 권위는 바로 바깥에서 오지 않고 안에서 와야 한다. 그것을 보아야 한다.

 

그렇게 볼 수 있으려면 '소통'이 되어야 한다. 소통이 되지 않으면 인생을 행복하게 살 수 없다. 결국 우리는 사회적 동물 아니던가. 정치적 동물 아니던가. 아니 언어적 동물이 아니던가. 그렇다면 인간에게 소통은 필수적이다.

 

'소통하는 인간' 그것이 우리의 모습이다. 우리가 인생을 잘 살기 위해서는 결국 이 '소통'이 필요하다.

 

그가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여덟 단어'를 이렇게 정리해 봤다. 꼭 이 여덟 단어이겠는가. 어쩌면 우리는 한 단어로도 우리의 인생을 잘 살 수 있다. 그것은 자신이 어떻게 사느냐에 달려 있다.

 

하지만 적어도 박웅현이 쓴 이 책을 통해서 우리 삶에 대해서 되돌아볼 수는 있다. 그리고 이 단어들을 자신들의 삶과 관련지어 생각해 볼 수 있다.

 

또 이 여덟 단어를 자신의 삶으로 불러올 수 있다. 좋은 책은 그가 쓴 다른 책의 제목이기도 하듯이 바로 '도끼'여야 한다. 이 책은 바로 그런 '도끼'의 역할을 할 수 있단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