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 고양이가 내게로 왔다 낮은산 키큰나무 14
김중미 지음 / 낮은산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상처받은 존재들을 감싸안는 이야기. 소설을 통해서 상처를 치유하고 있다. 이 소설은 그렇게 마음의 상처를 치유한다. 소설의 힘을 느낄 수 있는.

 

사회복지사. 남들을 위해 일하는 사람이지만, 정작 자신의 몸을 돌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사회복지사의 업무가 너무 과중에서 과로로 쓰러진 사람이 한둘이 아니다.

 

남을 위하는 사람조차, 자신을 위할 수 없을 정도로 힘들게 일하는 현실에서, 이보다 더한 사람들은 얼마나 힘들게 살아갈까. 우리는 가끔 자신의 상처에 가려진 남들의 상처를 보지 않으려 한다.

 

그런 남들의 상처를 볼 수 있게 만들어주는 소설이 바로 이 소설이다. 고양이를 통해서, 고양이와 함께 하는 사람들을 통해서.

 

이 소설에 등장하는 고양이는 여러 마리지만 이 중에서 모리와 크레마(나비), 마루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여기에 사람으로는 연우, 연우 아빠, 은주가 중심이 되고.

 

결국 고양이들은 모두 연우네 집에 모이게 되는데, 이런 고양이들로 인해 닫혔던 연우의 마음이 열리게 된다. 연우가 자신의 상처만이 아니라 다른 사람의 상처, 다른 존재들의 상처도 볼 수 있게 된다.

 

첫자식들을 잃고 연우네로 들어오게 된 모리는 친구가 된 고양이 또롱이를 이웃 개에게 잃게 된다. 또롱이를 유일한 말상대로 여기던 연우가 충격을 받고 더 마음을 닫게 되는 과정이 소설의 첫부분에 나온다.

 

엄마도 잃고, 사랑하던 고양이도 잃고, 아빠는 먹고 살기 바빠서 마음을 열고 서로 대화할 시간도 부족하고, 그렇게 닫힌 마음을 지닌 연우.

 

이런 연우의 행동이 모리를 더욱 힘들게 하고, 모리 역시 또롱이를 잃은 슬픔과 연우 가족의 상처 속에서 상처를 받게 된다. 작은 몸집이 지나치게 비대해지고 온갖 질병에 걸리게 되는. 활동성을 잃게 되는 모리.

 

두번째 부분에서 은주와 크레마(나비)이야기가 펼쳐진다. 길고양이 수컷 나비... 철거를 반대하는 은주네를 만나게 되는데... 마음씨 좋은 은주가 주는 음식으로 은주와 나비는 마음을 열고 만나게 된다. 그러나 철거반대투쟁 과정에서 마음을 다친 아빠로 인해 은주네는 파탄나게 되는데...

 

지지리도 가난한 사람들,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 열심히 살았던 사람들, 그 사람들을 한 순간에 내쫓는 재개발, 재개발로 이득을 보는 사람들, 오히려 더 피해를 보는 원주민들... 그 과정에서 어떻게 한 가정이 파탄이 나는지... 은주네를 통해서 알 수 있는데... 여기서 나비는 시력을 잃게 되고, 연우네로 입양되게 된다. 크레마라는 이름으로 바뀌어.

 

마루 역시 마찬가지다. 가난한 사람과 함께 살았던 집고양이. 그럼에도 가난 때문에 함께 살 수 없게 된 마루. 집고양이로 어미 없이 새끼 때부터 사람과 살았기에 고양이로서의 표현을 할 수 없는 마루.

 

이 마루가 연우네 집으로 입양되어 다른 고양이들과 지내는 과정. 다름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과정이 소설에서 잘 전개되고 있다.

 

결국 새끼 고양이인 레오까지 네 마리의 고양이들이 자신들의 상처를 안고 상처를 받은 연우와 함께 살아가게 되는 이야기. 이 과정에서 연우가 차차 마음을 열고, 자신의 상처를 들여다보고, 다른 존재의 상처까지 볼 수 있게 되는 이야기다.

 

다른 존재의 상처를 볼 수 있게 된다는 것, 그것은 자신의 상처에 갇혀 지내는 것에서 벗어난다는 것이다. 비록 상처를 없앨 수는 없지만, 그 상처로 인해 또 다른 상처를 받지는 않게 된다.

 

소설은 그래서 상처를 바로보게 한다. 고양이들의 상처를 통해 연우의 상처를 치유하듯이, 우리 역시 소설을 통해 우리가 지니고 있는 상처들을 대면하게 된다. 그런 상처를 인정할 때 비로소 다른 존재들의 상처들도 눈에 보이고 마음에 다가오게 된다.

 

여기서 공감이 시작된다. 공감이 시작되면 서로 마음을 열 수 있다. 마음을 열고 지내는 관계, 이것이 공동체다. 이런 공동체에서는 이제 상처는 서로가 함께 보듬고 나아가야 할 대상이 된다.

 

그런 과정... 이 소설은 고양이의 관점에서, 사람의 관점에서 잘 보여주고 있다. 마음이 따스해지는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