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어선생님, 잠든 사투리를 깨우다 ㅣ 작은숲 작은학교
박일환 지음 / 작은숲 / 2016년 10월
평점 :
이 책에 나와 있는 사투리와 표준어에 관한 일화 한 토막.
'대구 사람이 모처럼 서울에 와서 고깃집에 갔다가, "아주머니, 여기 재래기 좀 더 주세요."라고 말했다. 그 말을 들은 주방 아주머니는 어떤 표정을 지었을까? 같이 간 서울 친구마저도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대구 친구를 바라보고만 있었다. 재래기라니? 그런 고기 종류도 있었나? 아마도 그렇게들 생각했을 법하다.' (134쪽)
자, 생각해 보자. '재래기'라는 말을 대구 사람이 썼다고 했으니 사투리라는 것은 알겠다. 그런데 고깃집에 가서 더 달라고 헸으니 음식점에 있는 음식과 관련이 있을 것 같은데...
대구 출신이 아닌 다른 지역 사람들은 이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지 못할 가능성이 많다. 자, 이제 그 말의 뜻을 알아보자. 이 책에서 이렇게 알려주고 있다.
'대구 사람이 말한 재래기는 주로 경북 지방에서 겉절이 대신 쓰는 말이다.' (134쪽)
예전에 자주 있었던 일이다. 그런데 요즘은 학교 교육이 통일되고, 방송이나 인터넷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어 사투리가 많이 사라지고 있다. 이렇게 사투리를 사용하는 사람이 많이 줄었다.
하다못해 사투리 중에서 가장 이국적인 언어인 제주도 말도 이제는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한다.
'고유한 제주어는 점차 사라지고 있는 추세이며, 2011년 12월 유네스코가 지정하는 '소멸 위기 언어' 5단계 중 4단계인 '아주 심각한 위기에 처한 언어'에 등재되었다.' (47쪽)
예전에 제주도 출신들이 모여서 이야기를 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서울 사람들과 이야기를 할 때는 표준어를 쓰던 사람들이 제주도 출신 사람들끼리는 제주도 토박이말로 이야기를 하는 것이었다. 다른 지역 사람들이 알아들을 수 없는 색다른 경험이었는데...
이제는 제주도에 여행을 가도 제주도 사람들이 표준어를 쓰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대로 가다간 얼마 지나지 않아 제두도 말은 사라지고 말 것이다.
언어에는 그 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의 감정, 문화, 풍습 등이 담겨 있다. 그래서 언어는 생활의 다양함을 드러내는 지표이기도 하고, 문화의 다양성을 유지하는 수단이 되기도 한다.
언어가 단순히 의사소통의 도구에 불과하다면 전세계 언어를 하나로 통일시키자는 주장이 벌써 관철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전세계 언어를 하나로 통일시키자는 주장이 관철되지 않고 많은 사람들의 동의를 얻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언어는 단순한 의사소통의 도구만이 아니라는 것이다.
언어에는 그 지역의, 그 사회의 문화, 역사, 관습, 생활, 감정 등이 모두 담겨 있기에 언어가 사라진다는 것은 그 지역, 사회의 고유한 문화가 사라진다는 것이다.
그것은 사회, 문화의 다양성이 사라지게 되는 것이고, 사람들의 삶이 하나로 표준화되는 것이다. 다양성을 잃는다는 것은 인류의 삶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각 나라의 언어와 비슷하게 방언이라고 불리는 사투리도 마찬가지다. 사투리는 한 나라에서 의사소통에 심각한 위협을 주지 않고 각 지역의 다양성을 살리는 언어인 것이다.
그 나라의 언어를 오히려 더 풍부하게 하고 언어 생활을 더욱 풍요롭게 하는 것이 사투리이다. 물론 가끔은 위에 든 예처럼 무슨 말인지 몰라 당황할 때가 있다. 하지만 그 지역 출신이 쓰는 말에 주의를 기울이고, 알려고만 하면 외국어처럼 어렵게 습득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우리말이 지역에 따라 다양하게 쓰임을 알고 말의 다양성을 통해 삶의 다양성을 인정할 수가 있다.
다양한 언어들이 모여 우리말을 이루고 그것들이 우리들의 다양한 삶을 반영하고 있다는 것을 알면 우리 누구도 다 똑같은 삶을 살 수 없다는 것, 그런 다름들이 모여 사회를 이루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런 점에서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사투리들은 우리들이 지금까지 살아온 다양한 삶에 대해서, 문화에 대해서 우리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단지 사투리의 뜻만이 아니라, 왜 그런 뜻을 지니게 되었는지, 또 그와 관련된 풍습이나 일화, 유래 등을 함께 다루고 있기 때문에, 7개 부분 100개의 사투리로 나눈 이 책을 읽으면 다양한 우리나라의 언어 생활 및 역사, 풍습, 문화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사투리는 없어져야 할, 표준어로 통일되어야 할 언어가 아니라 오히려 살려야 할 언어임을 깨닫게 된다. 그것이 우리 삶이 더욱 풍요로워지는 길이라는 점을 알게 해주는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