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미제라블 4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04
빅토르 위고 지음, 정기수 옮김 / 민음사 / 201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4부다. 이제 소설은 절정으로 치닫고 있다. 코제트와 마리우스의 사랑, 그리고 혁명. 이 4부의 제목이 그것을 알려주고 있다.

 

플뤼메 거리의 서정시는 두 연인을 나타낸다. 서로의 사랑을 확인하는 두 사람, 그들에게 세상은 온통 그들의 것이다. 세계를 모두 자신의 마음에 받아들이는 것, 세계를 내 것으로 만드는 것, 사랑에 빠진 사람들은 이렇게 서정시를 쓸 수밖에 없다.

 

그러나 서정시의 시대만 지속된다면 사람들이 얼마나 행복하겠는가. 세계를 온통 내것으로 만드는 그런 서정시의 시대는 그리 오래 가지 못한다. 비록 사랑에 빠져 있는 사람들이라도 그들이 겪어야 하는 일들이 얼마나 많은가.

 

사랑에 빠지는 일은 서정시가 되겠지만, 그 사랑을 유지해 나가는 일은 서사시가 되어야 한다. 이제 자신을 세상에 내놓고 세상과 싸워야 한다. 나를 지키기 위해서, 사랑을 지키기 위해서 사회와 치열하게 대립해야 한다. 주변의 사람들과도 마찬가지고.

 

그래서 이야기 없이 감정이 넘쳐나는 서정시에서 이야기가 있는, 사건이 있고 갈등이 있는 서사시로 넘어가게 된다. 소설은 두 사람의 사랑으로 끝나지 않는다. 그들의 사랑이 맺어지기 위해서는 사건과 갈등이 있어야 한다.

 

그 사건과 갈등을 이겨내야 한다. 서사시의 주인공은 영웅들이다. 초인적인 힘을 발휘하지는 못하더라도 자신의 운명에 맞서 싸우는 사람들, 그 운명을 비켜가려고 하지 않는 사람들.

 

여기에 사회 문제까지 겹쳐져서 생 드니 거리의 서사시가 된다. 단지 두 연인의 사랑에서 사회에 대한 사랑으로 사랑이 확장되는 것이다. 더 큰 갈등 속으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그들이 겪어야 하는 운명이다.

 

그렇다. 사람들에게 운명은 절대로 비껴가지 않는다. 운명은 사람들에게 곧장 다가온다. 자, 어떡할테냐 하는 식으로.

 

코제트와 마리우스를 중심에 놓으면 그들의 사랑에 이야기가 생기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겠지만, 장발장의 처지에서 보면 또다른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에게는 사랑의 차원이 달라져야 하는 지점에 와 있는 것이다.

 

평생 사랑이라는 것을 모르고 살아온 사람에게, 이제 사랑이 찾아왔는데, 그 사랑을 떠나보내야만 하는 사랑이라니... 하여 서정시에서 서사시로 넘어갈 수밖에 없다.

 

방대한 서사시로 가는 과정에서 여러 인물들이 나오게 된다. 이제는 영화로 친숙해진 인물, 앙졸라를 비롯해 에포닌, 가브로슈가 나온다.

 

이 인물들이 얽히고 설키는 과정을 통해서 작품은 방대한 서사시로 흘러간다. 이제는 개인들만이 아니라 프랑스 혁명이라는 지점에 사람들이 맞닥뜨리게 된다.

 

바리케이트 앞에 선 사람들, 그들의 운명은? 여기까지가 4부다. 그들이 그 운명을 거부하지 않고 운명에 맞서게 되기까지 그렇게 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소설이 전개되는데...

 

4부 플뤼메 거리의 서정시와 생 드니 거리의 서사시 : 1. 몇 쪽의 역사 - 2. 에포닌 - 3. 플뤼메 거리의 집 - 4. 아래에서의 구원이 위에서의 구원이 될 수 있다 - 5. 시종이 같지 않다 - 6. 어린 가브로슈 - 7. 곁말 - 8. 환희와 비탄 - 9. 그들은 어디로 가나? - 10. 1832년 6월 5일 - 11. 폭풍과 친해지는 미미한 존재 - 12. 코랭트 주점 - 13. 마리우스가 어둠 속으로 들어가다 - 14. 장엄한 절망 - 15. 옴므 아르메 거리

 

줄거리만으로 느끼지 못하는 감동을 받을 수 있다. 작가의 직접적인 개입이 이렇게나 자주 일어나다니 하는 생각을 하고, 혁명에 대한 빅토르 위고의 생각을 알 수 있고, 주변 인물들을 통하여 주인공들의 삶에 더 잘 접근할 수도 있다.  

 

여기에 마리우스가 혁명의 중심으로 들어가는 과정이 공화국에 대한 투철한 사명감보다는 죽음을 향해 달려가는 절망에서 나왔다는 것, 그러나 그 절망은 바로 순수함이고, 그 순수함으로 인해 혁명의 순수함이 드러나게 된다는 것.

 

또 영화나 줄거리만으로 느꼈던 코제트에 대한 인상, 코제트를 요즘 시대로 생각해 20대일 거라고 착각하는데, 이 때가 겨우 십대라는 것, 1832년에 많아야 17살이었다는 것.

 

우리나라로 치면 이제 겨우 고1이다. 투표할 수 있는 나이를 만 18세로 하자는 안을 내느니 마느니 하는 이 나라에서 17세에 이미 사랑에 빠졌고, 마리우스의 나이와 합쳐도 40이 안 되는 나이에 그들은 이미 어른으로서 존재하고 있다.

 

혁명에 참여한 가브로슈는 어떤가? 그는 코제트보다도 더 어린 나이이니 말할 것도 없고, 사랑에 빠져 자신의 목숨을 바친 에포닌 역시 코제트와 동갑이 아니던가.

 

우리나라 춘향이, 로미오와 줄리엣 등 당시의 나이를 생각하면서 읽어갈 수밖에 없는 낯설음. 그만큼 우리는 독립하는 시기를, 정신의 성숙시기를 뒤로 늦추고 있는지도 모른다는 생각.

 

개인의 감정에만 빠져 있는 서정시에서 우리 역시 사회로까지 시야를 확대해야 하는, 그래서 사건과 갈등이 있는 그런 서사시의 세계에 처해 있다는 생각.

 

이제 남은 건 5부다. 소설은 결말을 향해 가고 있다. 점점 더 흥미로워지고 있다. 줄거리를 이미 다 알고 있음에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