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절대지식 - 천만년을 버텨갈 우리 속담의 품격
김승용 지음 / 동아시아 / 201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자기 연설문 하나 제대로 수정하지 못해 외부인에게 의뢰해 고친 정치인이 있다. 말로는 외부 일반인의 의견을 참조한 것이라고 하지만, 참조가 아니라 전적으로 의존했음이 밝혀졌다.

 

수정된 문구를 그대로 읽었음이 - 분명 말했음이 아니라 읽었음이다. 세상에 그렇게 읽기 말투로 연설을 하는 정치인이 지금도 존재한다는 사실이 서글프다 - 밝혀졌으니 말이다.

 

여기에 자신이 직접 말을 잘 할 수 없다고 생각했는지, 아니면 정말로 말을 할 능력이 없었는지 수첩에 빼곡히 적어와서는 그대로 읽어버린 정치인이 있다. - 그 정치인이 그 정치인이다. 일명 수첩공주라고 한다.

 

도대체 우리말 실력이 어느 정도이기에 정치인이 이렇게 말을 할까 하는 궁금증이 일었다. 그러다 뉴스에서 미국 대통령 오바마가 연설문을 어떻게 고쳤는지를 보여준 방송을 봤다. 참모들이 쓴 원고를 자신이 직접 여기저기 수정해서 고친 연설문.

 

그것도 읽기가 아니라 말하기를 하는 그런 연설문. 그것은 시적 표현이라는 말까지도 들은 연설문이라고 한다. 누구는 농단이라는 말을 듣는 연설문을 가졌고, 누구는 시적 표현이라는 소리를 듣는 연설문을 썼다.

 

차이는 바로 언어에 대한 관심, 또는 언어구사능력이다. 자기 나라 말에 대해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있었느냐에 이런 차이가 나지 않았을까 한다.

 

우리나라 그 정치인은 외국어를 몇 개나 한다는 소리를 들었지만 정작 우리말을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잘 알지 못했나 보다.

 

그러니 우리말의 보고라고 할 수 있는, 조상들의 지혜가 농축되어 있는 속담을 자신의 연설문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은 더더구나 없었으리라.

 

이 책은 바로 이런 속담에 관한 책이다. 속담에 얼마나 많은 지식이 담겨 있는지, 우리들의 생활이, 정신이 담겨 있는지를 보여주고 있는 책이다.

 

속담집은 몇 권 나와 있지만, 이 책은 단순히 속담만을 모아놓은 책이 아니라 그 속담에 관련된 생활, 정신 등을 총망라하고, 현대에 어떻게 변용되었는지, 비슷한 속담과 반대되는 속담은 어떤 것이 있는지를 함께 다루고 있다.

 

결코 짧은 시간에 이루어질 수가 없는 작업이다. 사전을 만드는 작업에 오랜 시간이 걸리듯이, 속담에 관한 책을 내는데도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다.

 

그만큼 귀중한 책이라는 것이다. 우리말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는데 속담을 활용하여 쓰는 것만큼 좋은 방법은 없다.

 

즉, 그 사회에서 통용되는 관용구를 적절한 맥락에 사용한다면 중언부언하지 않고도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의도를 효과적으로 잘 전달할 수 있다.

 

말 잘하는 사람들 보면 그 상황에 맞는 언어를 적절하게 구사하고 있다. 여기에 상황에 참 잘 맞는 속담이 꼭 들어가기도 하는데...

 

그냥 속담을 찾아보는데서 그치지 않고 읽을 수 있게 만들어 놓은 책이기도 하다. 많은 지식들이 담겨 있기에 속담만이 아니라 우리 생활사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자꾸만 우리말이 축소되어 가고 있다. 잊혀져가고 있는 것이다. 이럴 때 속담을 다룬 이 책, 읽을 필요가 있다. 그리고 상황에 맞게 잘 적용해서 쓸 필요가 있다. 그것이 우리말을 더 살찌울 수 있는 길이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