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영만표 만화와 환호하는 군중들
한국만화문화연구원 지음 / 김영사 / 200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만화가 허영만의 데뷔 30주년이 맞이하여 그에 대하여 만화에 관련된 사람들이 쓴 글을 모은 책이다. 일명 허영만에게 헌정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는데, 만화가가 30여년 동안 작품활동을 하면서 대중에게 알려진 것은 참 드문 일이다.

 

특히 만화하면 좀 떨어진 장르로 생각하는 경향이 많았는데, 허영만과 같은 만화가의 존재로 인해 만화 역시 하나의 예술로 존재함을 사람들이 인식하게 되었다고나 할까.

 

어린 시절 만화를 보면 공부 안 하고 이따위 만화책이나 본다고 야단을 맞곤 했다. 만화는 공부에 전혀 도움이 안되는, 불량서적이라는 인식이 더 강했었다. 그래서 만화가가 된다고 하면 우선 혼부터 나는 것이 일반적이었는데...

 

그럼에도 만화는 학생들에게 꽤 인기가 있었다. 그때나 지금이나 공부 스트레스는 이만저만한 게 아니어서, 스트레스를 푸는데는 만화보기가 제격이었기 때문이다. 만화방 가서 몇 시간이고 만화책에 묻혀 지내던 시절이 있었는데...

 

그때 만났던 만화가들이 박봉성, 이현세, 고행석, 이상무, 김영하, 그리고 허영만 등이다. 이들의 만화에 빠져 만화방에 가곤 했던 기억이 있는데... 이 작가들 중 허영만에 대한 책.

 

그에 대해서는 최근에 "식객"이후로도 더 많은 만화가 나왔지만, 지금은 40주년이 넘었지만, 이 책은 "식객"이 연재되는 데서 멈추고 있다. 벌써 12년 전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그의 생애부터, 그의 작품 소개, 그를 바라보는 제자들 이야기에, 그의 만화를 캐릭터로 확장하는 일, 그리고 그의 만화가 영화나 드라마로 각색되는 것까지, 한 마디로 허영만의 만화세계를 모두 다루고 있다고 보면 된다.

 

허영만 만화를 좋아하는 사람에게는 꼭 읽으면 좋을 책인데... 특히 그가 만화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만화계에서 그가 차지하는 위치가 어디인지, 또 그가 지금까지 40년을 넘게 우리에게 알려진 만화가로 존재하게 된 이유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책이다.

 

만화가라면 골방에 박혀 밤새도록 만화를 그리고 낮에는 폐인처럼 잠을 자는 사람이라는 인식이 강한데... 허영만은 정시 출근, 정시 퇴근을 주장하는 사람이고, 주말에는 여행을 다니며, 차도 당시에 벤츠를 끌고 다닐 정도로 자기관리가 철저한 사람이라는 것.

 

공장식 만화가들이 대세를 이루었고, 대부분의 만화책들이 이렇게 공장처럼 역할을 나누어 분업시스템으로 창작, 발간되곤 했는데, 여기에서 탈피해 예술가로서 지내고 있다는 것, 만화는 무조건 재미있어야 한다는 주장으로, 사람에게 읽히는 만화를 그리려 하고 있다는 것.

 

무엇보다도 엄청난 자료 수집으로 시대가 변해도 그 시대에 맞는 또는 시대를 앞서가는 만화를 그릴 수 있는 사람이라는 것. 그것이 어쩌면 허영만 만화가 지금까지 살아남아 온 비결일 수 있다는 점 등을 이 책에서 알 수 있다.

 

우리에게 "미생"의 작가로 유명해진 윤태호 역시 허영만의 제자로 출발했다는 사실, 그가 말하는 허영만을 읽는 재미도 있는 이 책은, 만화가 이제는 예술로 자리잡고 있음을 인식하게 해준다.

 

예술로 대접받지도 못하고, 공장식 생산에 치중했던, 학교에서는 공부에 방해되는 존재라는 평가를 받았던 만화에서 이제는 만화를 중점으로 가르치는 학교도 생길 정도로 만화에 대한 인식도 바뀌었다.

 

또한 인터넷 상에 만화를 발표하는 공간도 많이 생겼고, 만화가를 지망하는 사람도 많아졌다. 그만큼 이제 만화는 우리에게 친숙한 예술로 다가왔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되기까지 허영만과 같은 만화가들의 노력이 있었음을 잊어서는 안되겠다. 아직도 많은 작품을 발표하고 있는 허영만... 그의 만화 세계를 알 수 있는 책. 만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읽어두면 좋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