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실 밖 아이들 책으로 만나다 - 스물여덟 명의 아이들과 함께 쓴 희망교육에세이
고정원 지음 / 리더스가이드 / 2010년 12월
평점 :
지역사회교육전문가라는 직업이 있다. 지역과 학교가 하나가 되어 아이들 교육을 해야 한다는 취지에서 생긴 직업이기도 하다.
학교에 근무하면서 아이들의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상담하고 풀어가는 사람들인데... 상담과 교육 역할을 모두 하는 사람들이라고 보면 된다.
이 책에 나오는 지역사회교육전문가는 책으로 아이들을 만나다. 학교 밖에서 아이들을 만나기도 했지만, 이 책에 나오는 아이들은 학교에서 잘 적응하지 못하는 아이들이다.
이 아이들을 만나 이야기하면서 책을 매개로 아이들과 좀더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아이들의 행동변화를 유도한 이야기이다.
변화는 아이들 스스로 했겠지만 아이들이 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고, 아이들과의 만남을 통해서 결코 서두르지 않고 천천히 아이들이 자신들의 내면을 드러내고, 내면을 보고, 그것을 고쳐나갈 수 있게 해주고 있다.
역시 교육은 학교, 특히 교실 내에서만 이루어질 수 없고 교실 밖, 학교 전체와 지역사회, 가정이 함께 할 때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을 쓴 저자는 학교에도 있었고, 위기대응센터에도 있어 학생들을 늘 만나왔다. 그리고 그 만남에는 책이 있었다. 책을 사이에 두고 아이들과 좀더 가까워질 수 있었으며, 아이들에게 희망을 불어넣어줄 수 있었다.
그것이 모두 성공으로 귀결되지는 않는다. 아마도 이런 일들이 모두 성공했다고 했다면 이 책은 그다지 신빙성이 높지 않았을 것이다.
그런데 가감없이 자신이 실패한 내용도 이 책에 담았다. 특히 마지막 장에서 결국 죽음으로 세상을 뜬 아이의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 아이에게는 결국 책 한 권 권하지도 함께 읽지도 못했다고 하고 있다.
하지만 죽을 때까지 이 아이 전화에 저자의 전화번호가 남아 있었으니, 아이는 비록 책을 읽지 않았고 죽음에 이르렀지만 그 사이에 자신을 온전히 사랑해준 사람이 있었음을 온몸으로 느꼈으리라 생각한다.
이렇게 인생에서 자신을 믿어주고 자신과 함께 해준 사람이 있다는 기억, 그 기억을 선물해준 저자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다.
복지실에 책을 갖다놓고 아이들이 자유롭게 볼 수 있게 했다고 했는데... 아이들은 기가 막히게도 자신들의 처지에 맞는 책을 읽고 있더라는, 마치 책이 아이들을 찾아가는 것 같다는 그런 이야기가 있는데...
책이 아이들을 찾아가기도 했겠지만, 책이 아이들을 찾아갈 수 있게끔 아이들 상황에 맞는 많은 책들을 갖춰놓고 아이들이 자유롭게 읽을 수 있도록 한 저자의 노력, 또 아이들에게 책을 권하고 책의 내용을 통해 아이들이 자신의 본 마음을 터놓을 수 있도록 한 저자의 노력이 그렇게 하지 않았나 싶기도 하다.
공부에 찌들어 있는 학교에서 아이들이 그나마 숨쉴 수 있는 공간이 있고, 그들의 마음을 다독여줄 사람이 있었다는 것, 그런 환경에서 책은 비로소 아이들에게 다가갈 수 있었으리라는 생각을 한다.
학교에서 쓰고 있는 많은 예산들 중에 이렇게 아이들이 편하게 찾아가 지낼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는데 좀더 신경을 써서 편성을 하고, 이런 환경을 이끌 사람을 학교에 보내는 제도를 갖춘다면 아이들이 더 행복해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게 됐다.
다행이다. 이 말이 이 책을 읽으면서 나온 말이다. 왜냐하면 학교 참 답답한 공간이기 때문이다. 이런 답답한 공간에서, 특히 이 책에 나오는 아이들은 집에서도 숨쉬기 힘든 아이들이었으니, 그런 아이들이 편하게 숨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 사람이 있다는 사실이.
덧글
아쉬운 점은... 기억이 가물가물하기는 하지만, 그래도 책에 내용이 나올 때는 정확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116쪽, 엄마가 보듬어 주지 못하는 성아의 아픔이라는 글에서 성아 이야기를 하면서 책으로 "유진과 유진"을 들고 있는데... 설명에서 작은 유진과 큰 유진에 대한 설명이 바뀌었다.
'동명이인인 두 유진이 똑같이 성폭력을 당했는데 '큰 유진' 엄마는 아이에게 잊을 것을 강요한 반면, '작은 유진' 엄마는 지켜주지 못한 데 대한 사과를 하고 그 상처를 이겨내려는 노력을 했다' 고 되어 있는데... 바뀌었다. '큰 유진' 엄마는 상처를 이겨내려 노력했고, '작은 유진' 엄마는 잊을 것을 강요했다. 내 기억은 그렇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