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화 보기 좋은 날 - 내 가방 속 아주 특별한 미술관
이소영 지음 / 슬로래빗 / 2015년 11월
평점 :
절판


'기록을 하거나 하지 않거나 내가 사는 세상이 당장에 바뀌지는 않아요. 하지만 기록을 하고 또 하다 보면 세상을 살아가는 내가 바뀌어가고 있다는 것을 나는 합니다. 제가 쓴 이 글들이 누군가가 볼 때는 '명화에 대한 기록'에 불과할지라도, 저에게는 전부였던 기록들입니다. 누군가가 볼 때는 그저 그림에 불과할지라도 화가들에게는 전부였던 기록들이 이 책 안에 있습니다.'

 

이처럼 한 사람이 그림을 통해서 자신을 만나는 과정을 이 책을 통해서 볼 수가 있다. 명화와 관련된 글이 바로 저자의 삶의 기록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책의 제목처럼 '명화 보기 좋은 날'은 없다. 오히려 모든 날이 '명화 보기 좋은 날'이다. 이것에 대해서는 이 책의 뒷표지에도 쓰여 있다.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날들이 명화 보기 좋은 날이다"

 

따라서 명화를 보는 날은 정해져 있지 않다. 명화 보기 좋은 날이란 없다는 말이다. 그냥 하루하루 모든 날들을 우리는 명화와 함께 지낼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명화라고 하여 교과서에나 나오는 유명한 그림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명화냐 아니냐를 가르는 기준은 바로 자기 자신이다.

 

자기에게 울림을 준 그림이라면 그것이 바로 명화다. 이 책의 뒷부분에서 헤르만 헤세의 그림을 이야기하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명화란 말에 주눅들 필요가 없다는 말이다. 그냥 그림일 뿐이다. 수많은 그림 중에 내 마음에 꽂힌 그림들, 그것이 바로 명화다.

 

어느 그림이라도 좋다. 그냥 아무 때 아무 그림을 봤는데 그 그림이 내 마음에 어떤 울림을 주었다면 그것이 바로 명화다.

 

이 책은 바로 그 점을 이야기하고 있다. 그림에 관해 자신이 느낀 점을 기록해 둔 모음집이기는 하지만, 이런 기록을 통해 그림과 만난 자신을 이야기하고 있다.

 

바로 명화를 만난 날은 자신을 만난 날이다. 다른 사람을 만난 날이다. 명화를 통해서 사람을 만나고 삶을 만나고, 자신을 만나게 되는 것이다.

 

7개 부분으로 나누어 명화와 관련된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굳이 이런 분류에 따라 읽을 필요는 없다. 즉 이 책은 순서대로 읽을 필요가 없다는 얘기다. 그냥 아무 부분이나 펼치고 읽어도 된다.

 

어느 부분이든 그림이 있고, 그림과 얽힌 저자의 삶이 있고, 그것을 보는 우리들이 있기 때문이다.

 

이렇게 우리는 명화와 관련된 기록을 통해서 다시 우리의 기록을 만들어가게 된다. 비록 종이 위에 쓰여지지는 않았지만 읽으면서 자신의 머리 속에, 마음 속에 또 하나의 기록을 하게 된다.

 

하여 그림과 글을 만나면서 나를 다시 만나게 된다. 수많은 나, 다양한 나, 나도 모르는 나를 명화들을 통하여 다시 만날 수가 있다.

 

이런 만남을 미리 한 작가가 그것을 우리에게 소개해 주고 있기 때문에 어쩌면 우리는 좀더 편안하게 나를 만날 수 있다.

 

그리고 나를 기록해 갈 수 있다. 명화에 얽힌 이야기들이 결코 길지 않기에 짧은 시간이라도 읽을 수가 있다. 읽고 느끼고 생각할 수가 있다. 이것이 이 책의 장점이다.

 

참 많은 그림들이 나온다. 그 그림들을 비록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직접 보지는 못하지만 도판으로나마 만날 수 있다. 그런 만남을 통해 다시 나를 만나게 되는 일.

 

'명화 보기 좋은 날' 이 날은 바로 나를 만나는 날이다. 그런 날은 모든 날이다. 우리는 언제든 명화를 보고 나를 만나야 한다. 그런 만남을 이렇게 기록해 두면 더욱 좋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