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 철학사 1 - 권력과 욕망 : 조토에서 클림트까지 미술 철학사 1
이광래 지음 / 미메시스 / 2016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참으로 방대한 분량이다. 출판사 창립 10주년 기념으로 발간한 책이라고 하는데... 전체 3권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은, 한 권이 다른 책 세 권 분량을 지닐 정도로 엄청난 양을 지니고 있는 책이다.

 

여기에 나오는 미술가들도 많고, 작품들도 많이 나오고, 그렇다고 미술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발전과 그 사회를 구속하거나, 또는 사회에 규정당한 철학들과의 관련성도 이야기하고 있다.

 

한 마디로 미술과 철학, 또 미술과 사회, 미술과 문학, 미술과 음악 등 미술을 중심으로 다양한 종류들이 융합되어 있는 책이다.

 

그러므로 이 책을 읽다보면 중세 이후부터 지금까지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어떤 사상들이 있어왔는지, 그 사상들과 그림이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게 된다.

 

우리가 르네상스라고 알고 있는 시기부터 이 책은 시작한다. 즉, 신의 세계에서 인간의 세계로 접어드는 그 시기부터, 미술이 어떻게 그것을 표현하고 있는지, 또 그런 표현을 하는 미술을 시작한 작가는 누구인지, 왜 그가 그런 평가를 받는지에서 시작한다.

 

그전까지의 미술은 인간의 세계에 있다기보다는 신의 세계에 있기 때문에, 이 책 제목이 '미술철학사'임에도 불구하고 언급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 전 시대는 철학의 시대가 아니라 신학의 시대이기 때문이다.

 

신에게 인간의 모든 것을 맡긴 시대에 인간의 이야기를 한다는 것 자체가 우습기 때문이다. 그냥 신의 뜻대로 살아가는 사람들, 신의 뜻에 의해 규정된 세상일 뿐이다.

 

그러나 시대가 변해갈수록 사람들의 의식이 발전해 갈수록 신의 시대에서 인간의 시대로 들어서게 된다.

 

인간의 시대, 그것을 표현하는 예술들이 등장하기 시작한다. 그 시점을 르네상스 언저리에서 잡고 있으며, 이 책은 조토에서 시작한다. 물론 이들을 가능하게 한 선구적인 미술철학가들을 언급하기도 하고.

 

이런 인간의 시대가 시작되는 미술의 정점에 미켈란젤로가 있다. 우리가 르네상스 하면 레오나르도 다빈치를 떠올리지만 이 책은 레오나르도 다빈치는 주변의 인물일 뿐이다.

 

인간의 시대를 이끈 것이 이탈리아의 '피렌체'라면 이런 피렌체의 이데올로기 중심에 미켈란젤로가 있다는 것이다.

 

이렇듯 우리가 생각했던 것과는 다른 관점을 제시하는 장면이 종종 나온다. 특히 고흐에 대한 평가에서는 기존의 평가를 뒤집어놓고 있는데...

 

르네상스기부터 시작하여 스페인의 화가들(벨라스케스, 고야 등등)과 영국의 화가들, 그리고 프랑스의 화가들까지 나아가는데...

 

화가들을 중심으로 하고 있기는 하지만 시대정신의 변화에 따라 그 시대정신과 사회정신을 구현하는 화가들을 다루고 있다.

 

하여 이 1권은 클림트에서 끝난다. 인간의 시대로 넘어와서 낭만주의를 거쳐 사실주의와 인상주의에 이르고 이들에 대한 반동으로 상징주의가 나타났다고 하는 미술과 철학의 과정.

 

미술이 공시성을 띠기도 하지만 통시성을 띠기도 한다는 점, 공시적 통시적으로 자신의 욕망을 관철해 나가는 미술의 철학을 여러 화가들의 그림을 통하여, 그 시대의 철학을 통하여, 또 그 시대의 사회사상을 통하여, 그리고 여러 문학가, 예술가들을 통하여 이 책은 그 도도한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그렇게 근대 초기 클림트에서 이 책은 끝난다. 이제 2권은 표현주의에서 시작한다.

 

덧글

 

잘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있는데... 아마 오타일 듯 싶은데...

 

398쪽에 '결국 다비드도 산악파의 냉혹한 독재와 공포 정치를 증오하는 지롱드당의 여성 당원인 샤를로트 코르데의 칼에 의해 자신의 집 욕조에서 척살당한 것이다.'라고 되어 있는데...

 

코르에의 칼에 죽은 것은 '마라'니, 그리고 이 문장의 바로 앞 부분에서 '마라'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고, '피살된 마라'를 그린 것이 다비드이니, 이 문장의 '다비드'를 '마라'로 바꾸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