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방을 찾아서
신영복 지음 / 돌베개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영복 선생이 돌아가신 다음, 그가 쓴 책들을 골라서 읽고 있는 중. 그의 글을 평소에도 좋아하고 있었지만, 글 자체가 아니라 그의 글과 그의 사람됨이 일치하지 않나 하는 생각, 인품이 글에 배어나온다는 생각에 그의 글을 좋아했었다.

 

이제 그는 우리 곁에 없지만 글로써 남아 있을 것인데... 이 책은 책으로써 남아 있는 신영복 선생을 만나는 것 외에도 글씨로써 신영복 선생을 만날 수가 있다는 데서 의미를 찾을 수도 있다. (물론 신영복 선생의 글씨는 소주에서, 처음처럼이라는 그 글씨를 만날 수 있다.)

 

제목이 '변방을 찾아서'다. 이 때 변방은 주변이라는 공간을 의미하지 않는다. 현재에 안주하지 않는, 무언가 변화를 추구하는 그런 장소를 변방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 변방에는 사람도, 철학도, 행위도 모두 포함된다.

 

변방, 어떤 변방, 신영복 선생이 글씨를 써준 곳을 찾아가서 그곳에서 느낀 점들을 글로 써낸 것인데...

 

신영복 선생에게 글씨를 부탁한 사람들은, 중심에 있어 안주하는 사람들이 아니고, 무언가 옳음을 향해 온몸을 바치는, 이 책에서 말하고 있듯이 '세상을 자신에게 맞추려는 어리석은 사람'들을 기리고자 하는 사람들인데, 그런 사람들에게 써 준 글씨를 찾아 그들과 또 그들이 기리려는 사람을 찾아가는 것이다.

 

그래서 기행문이라고도 할 수 있고 철학적 사색을 담은 글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신영복 선생이 그곳에서 무엇을 느꼈는지를 알 수 있는 책이다.

 

땅끝마을의 서정분교 도서관 이름인 '꿈을 담는 도서관'에서 시작하여 봉하 마을의 고 노무현 대통령 묘석까지...

 

글씨도 보고, 그 글씨를 쓰게 된 내력도 알게 되고, 그곳에서 우리는 어떤 변방을 발견하게 되고, 그 변방을 통하여 변혁을 어떻게 이루어낼 것인가를 생각하게 된다.

 

신영복 선생의 삶 자체도 변방이었을 거라는 생각이 들고, 그래서 우리는 그를 선생이라고 부르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다.

 

이제는 고인이 된 신영복 선생. 내가 선생이 쓴 책을 읽는 것 또한 변방을 찾는 행위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한다. 

 

늘 변화를 추구하는 사람에게 중심은 없다. 그는 중심에 들더라도 변방을 추구한다. 중심에 안주하는 삶, 그것은 고인 물이 되는 삶이다. 변방의 삶은 끊임없이 흐르는 물의 삶이다. 그런 생각을 하게 된다. 이 책을 읽으면.

 

 

붙이는 말 : 선생이라는 말을 쓰기가 참 쉽지 않다. 그냥 다른 사람을 높여서 선생이라고 하는 경우는 형식적인 언어 활동에 불과하겠지만, 선생은 자신보다 먼저 깨달은 사람을 나타내는 말이니 함부로 쓸 수 있는 말이 아니다.

 

이 책에서 '선생'이라는 호칭 때문에 곤란에 처한 경우가 나온다. 바로 벽초 홍명희의 문학비에 쓰인 해설에서 '선생'이라는 말을 가지고 모 단체에서 시비를 걸었다는 말이 나온다. 자신들과 뜻이 맞지 않으면 무조건 배제하고 보는 그런 사람들, 이들은 보수를 자칭하고 있지만, 보수가 아니라 단순한 수구에 불과하다. 

 

엄밀히 말하면 홍명희는 그의 사상 여부를 떠나 일제시대에는 독립운동을 한 독립운동가요, 우리나라 소설사에 한 획을 그은 "임꺽정"의 작가로서 '선생'이라는 말을 들을 자격이 충분하고, 그의 사상은 사회주의나 공산주의라기보다는 민족주의라고 할 수 있고 - 대부분의 평이 이렇다고 알고 있는데 - 이런 점으로 보아 그가 바로 '보수'라고 할 수 있는데...

 

보수를 자청하는 사람들이 진정한 보수를 보수로 인정하지 않고 있는 이런 현실을 무어라 해야 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