핑퐁
박민규 지음 / 창비 / 2006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박민규의 소설은 소설같다.

 

소설같다는 이야기는 현실과 거리가 있다는 얘기다. 이건 소설 속 이야기야 하고 읽게 된다는 얘기도 된다.

 

그렇게 환상과 허구가 소설 곳곳에 등장한다. 그런 환상과 허구를 현실과 연결짓는 일, 그것이 바로 읽는 이가 할 일이다.

 

탁구... 핑퐁이다. 공이 여기에서 저기로 왔다 갔다 하는 운동. 특정한 공간을 넘어가거나, 넘어가지 못하면 점수를 잃는 운동.

 

그래서 탁구는 같은 공간을 왔다 갔다 해야만 한다. 그것이 바로 탁구다. 탁구를 잘하는 사람은 같은 공간에서 벗어나지 않는 사람이다. 그는 같은 동작을 반복해서 해야 하고, 상대방이 넘긴 공을 같은 공간으로 또 넘겨야만 한다.

 

탁구를 잘하는 사람, 그런 사람은 적응을 잘하는 사람이다. 아니, 적응을 잘하는 정도가 아니라 사회와 하나가 된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소설에서는 왕따 및 괴롭힘을 당하는 중학생 둘이 인류의 운명을 걸고 탁구시합을 한다. 그것도 인류의 대표들과. 그런데 그 인류의 대표가 참 우습다. 새와 쥐다.

 

낮말을 듣는 쥐와 밤말을 듣는 쥐... 우리나라 속담에 나오는 말 '낮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

 

그런데, 이런 새와 쥐가 왜 인류를 대표할까? 소설 속에서는 '스키너의 상자'가 나온다. 훈련으로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는. 아니 반복을 통해 습관을 형성할 수 있다는.

 

읽어가면서 이 '스키너의 상자'와 '탁구'는 기묘하게 닮았다는 생각을 했고, 두 중학생이 탁구를 배우는 것과도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다.

 

중학생. 질풍노도의 시기라고 하지만, 그들에게 주어진 것은 그런 질풍노도를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질풍노도를 잠재울 반복적인 학습이다.

 

오로지 반복적인 학습밖에 없다. 그들은 같은 행동을 반복할 뿐이다. 그리고 그런 반복을 '사회화'라는 이름으로 정당화한다.

 

이 소설에서는 이런 반복이 폭력임을 그들이 당하는 괴롭힘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이들의 생활은 도대체 왜 맞는지도 모르면서 그냥 맞는 일, 그러나 죽도록 맞지만 죽어서는 안되는, 그런 폭력.

 

이것에서 벗어나는 길은 다른 세계를 만드는 일... 그것은 인류를 해체하는 일, 언인스돌!

 

그래 아무리 철인적인 체력을 지닌 등산가라도, 세상을 바꾸려고 노력했던 사람이라도 반복이 일상이 된, 그래서 습관으로 굳어진 세상을 이길 수 없음을, 두 중학생을 대신해서 탁구 시합에 나섰던 메스너(최초의 에베레스트 무산소 등정가)와 말콤X(흑인 차별철폐 운동가)를 통해 보여주고 있다.

 

그만큼 이 세상은 견고하다. 그러나 그 견고함... 철조차도 피로를 느끼고 균열이 생긴다고 하는데, 이렇게 단조로운 반복만이 되는 세상은 붕괴할 수밖에 없다. 경기에 이기고 있던 새와 쥐가 과로사했다고 하는 것으로 이를 보여주고 있는데...

 

지금처럼 인류가 계속 생활한다면 인류 스스로 멸망하고 말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고 있다고나 할까.

 

하여간 탁구라는 매개를 통하여 중학생들의 모습을 보여주고, 이들을 통하여 지금 우리 인류의 모습을 풍자하고 있으니, 박민규란 소설가의 상상력에 경의를 보낼 수밖에 없다.

 

소설을 소설로 읽을 수 있게 해주는 작가라고나 할까. 그런 소설을 통해서 현실을 점검해 볼 수 있도록 해주고도 있으니... 그래, 가끔은 소설을 읽을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