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에 맞선 상상력, 문화운동 연대기 - 차이를 넘어 금지를 깨트린 감각의 목소리와 문화다원주의
양효실 지음 / 시대의창 / 2015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모든 권력은 단일성을 추구한다.

 

통일, 질서, 안정, 단순함, 명료함... 이런 것들은 권력이 자신의 권력을 시행하는데 필요로 하는 요소들이다.

 

이들에서 조금이라도 어긋나려는 것들에 대해서 권력은 가차없이 응징을 한다. 그것이 정치적이든, 경제적이든, 권력은 자신에 반하는 것들에 대해서는 용서를 하지 않는다.

 

그런데... 이렇게 권력이 작용하더라도 어디선가 균열이 생기고, 그 틈으로 다른 물결이 몰아쳐 오게 된다. 그런 균열을 내는데 문화만큼 좋은 것은 없다.

 

문화의 기본이 바로 다양성이고, 변화이고, 단순함을 넘어서는 복잡함이며, 해석불가능성, 해석다양성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이것은 사회를 어느 하나로 귀착되게 하지 않는다. 하여 문화가 융성한 민족은 다양성을 바탕으로, 서로를 용인하는 모습을 지니게 된다. 이런 사회에서 단일 권력이 횡행할 수는 없게 된다.

 

이 책은 닫힌 사회에 구멍을 내고, 다양성을 추구하는 문화운동에 대해 다루고 있다. 앞으로의 문화운동이 아니라, 예전에 일어났던 문화운동을 찾아 우리에게 소개해 주고 있다.

 

그런 문화운동에 대해 알면, 닫힌 사회에서 그냥 눈 감고 사는 것이 아니라, 분명이 할 일이 있음을 알게 된다. 굳이 자신의 모든 것을 내던지지 않아도, 자신을 지키면서도 변화를 추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수 있다.

 

68혁명부터 시작한다. 서양의 문화운동이 이 책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문화운동으로는 홍대 근처 '두리반'에서 있었던 문화운동만을 다루고 있다.

 

그러나 문화운동에 굳이 동서양을 나눌 필요는 없을 것 같다. 문화는 같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어떤 상황에서 그 상황에 맞는 문화운동을 해야만 하고, 지금까지는 서양에서 더 많은 문화운동이 일어났을 뿐이다.

 

이제 우리도 다양한 문화운동들을 접할 수 있게 되었고, 점점 꽉 막힌 사회로 가고 있다는 인식을 하면 할수록 그 막힘을 뚫을 수 있는 문화운동이 생길 수밖에 없을 거라는 생각을 한다.

 

68혁명에서부터, 힙합, 히피, 흑인차별철폐, 멕시코인들의 정체성 찾기, 에이즈에 대한 운동들, 그리고 여성미술가들에 대한 운동인 게릴라 걸스에 대한 이야기를 거쳐 우리나라 두리반 문화연대까지 나아가고 있는데...

 

세계 어느 곳에서든지 변화가 필요한 지점에서 문화운동은 일어났다. 변화가 필요하기에 문화운동이 일어났는지, 문화운동으로 인해 변화가 일어났는지 그 순서를 따지는 것은 무의미하겠지만, 문화운동으로 인해 더 많은 변화가 일어났음은 분명하다.

 

그렇다면 날로 막혀가고 있는 사회에서는, 틈을 낼 수 있는 문화운동이 생겨날 수밖에 없다. 어떻게? 그 어떻게에 대한 답은 시간과 공간, 그리고 그 사회의 문화적 역량에 따라서 달라질 수밖에 없다.

 

우리 역시 다양한 문화운동을 통해 우리 사회를 좀더 열린 사회, 다양성이 존중받는 사회로 만들어갈 수가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어떤 문화운동이 사회를 변화시켜 왔는지 잘 보여주고 있어서 지금 우리 사회에 어떤 문화운동이 필요할까에 대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덧글

 

소소한 오타. 그러나 정확해야 하는 오타.

49쪽.  1971년 노동자 전태일이 부당한 노동조건에 맞서 분신한 사건은...

전태일의 분신은 1970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