까칠한 문학 속 친절한 현대사 - 교과서에서 뽑은 현대문학 작품 86 교실밖 교과서 시리즈 16
박기복 지음 / 행복한나무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학이나 역사는 모두 우리의 삶과 관련이 있다. 관련이 있는 정도가 아니라, 우리 삶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 그런데도 문학은 문학대로, 역사는 역사대로, 마치 삶과 관련이 없이 존재하는 양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학교 교육에서는. 학교 교육에서는 삶을 위한 문학, 삶을 위한 역사라기보다는 진학을 위한 문학, 진학을 위한 역사 공부를 하게 된다. (물론 진학 역시 삶의 일부이기는 하지만, 여기서 삶이란 그런 범주를 넘어서는 개념이다)

 

그래서 문학도 어렵고, 역사도 어렵다. 왜, 다 암기과목 취급을 받으니까. 그냥 시험을 위한 공부만을 하기 때문에, 그 순간에만 기억하기 위해서 암기를 하기 때문에 문학이든, 역사든 어렵고, 하기 싫고 짜증나는 과목에 불과하기만 하다.

 

과연 그런가? 문학과 역사가 그렇게 진학에만 관계가 있을까? 문학에는 사람들이 살아가는 삶이 나오고, 역사에는 어떻게 살아왔던가 하는 삶의 모습이 나오니, 문학과 역사는 어떤 삶을 살 것인가 하는 고민에 대한 답을 찾는데 적절한 참고자료가 되는 것이다.

 

특히 문학에서는 등장인물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특정한 환경에서 겪는 갈등들을 경험할 수 있으니, 비슷한 상황에서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에 대한 참고자료를 얻을 수 있다.

 

역사도 마찬가지다. 역사란 사람들이 특정한 시대를 살아온 흔적 아니던가. 또한 현재에서 과거를 바라보는 관점 아니던가. 그 때 그들이 왜 그렇게 했을까? 그 결과가 무엇일까 생각하게 하는 학문이 역사이기 때문에, 역사는 우리가 바른 삶을 살 수 있도록 미리 어떤 상황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문학과 역사에는 사람이 있고, 사회가 있고, 선택이 있고, 결과가 있다. 바로 우리들의 삶이 녹아들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문학과 역사는 우리들이 반드시 배워야 할 과목이기도 한 것이다. 또 배울 때 문학 때로 역사 따로 배우는 것이 아니라, 서로 넘나들면서 배우면 더욱 효과적이기도 한 것이다.

 

역사를 떠난 문학이 없으니, 역사 속에서 문학을 배치해도 좋을 듯하다. 이 책은 그러한 편집을 따르고 있다.

 

일제시대로부터 시작하여 현대까지의 역사 속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이 학창시절에 배우는 문학 작품을 그 시대의 상황에 맞게 적절히 배치하여 보여주고 있다.

 

문학과 역사 둘 다를 잡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노리고 있는데... 그냥 주욱 읽어가면 우리나라 현대사의 흐름을 익힐 수 있고, 그 사이사이에 있는 문학작품들을 통하여 당시 현실을 생생하게 느낄 수가 있다.

 

그러니 문학과 역사가 자연스럽게 융합되어 나오게 된다. 이책을 읽고 문학이나 역사에 관심이 생겼으면 문학 작품은 원문을 찾아 읽으면 좋고(무려 86편이 나온다. 이 작품들만 읽어도 우리나라 문학에 꽤 깊이 들어가게 될 것이다), 역사는 좀더 세세하게 나와 있는 책을 찾아 읽으면 좋겠다. 

 

책의 뒷표지에 이 책을 반드시 읽어야 할 독자라고 해서 중학생, 고등학생, 중,고등학생을 둔 학부모님, 선생님이라고 되어 있는데... 꼭 이들만이 아니더라도 문학이 역사와 어떻게 만나는지 궁금한 사람이 읽으면 좋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