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학생 여러분 반올림 14
이상운 지음 / 바람의아이들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마도 요즘은 중학생 시기가 교육하기 가장 어려운 시기가 아닌가 싶다. 농담식으로 북한이 쳐들어오지 못하는 이유도 중2때문이라고도 하니, 사춘기에 접어들어 그 사춘기의 전성기를 누리는 중학생 시기는 여러모로 어른들로서는 다루기 힘든 시기임에는 분명하다.

 

그렇다고 중학생 시기가 그냥 질풍노도의 시기만이냐 하면 그건 아니다. 이때는 초등학교를 벗어나 고등학교를 앞두고 자신의 정체성과 자신의 앞날에 대해서 고민하면서 찾는 시기이기 때문이다.

 

한발 한발 어른으로 다가가는(요즘에는 이런 말을 하기가 좀 힘들다는 생각이 들지만) 시기인 것이다. 그래서 많은 것들을 경험하고, 많은 고민을 하는 시기여야 하는데... 과연 그럴까 하면 좀 의문이다.

 

중학생 시기에도 이미 대학을 눈 앞에 두고 있는 양, 성적-성적-성적 하는 경우도 많고, 또 좋은 고등학교에 가기 위해서 선행학습을 하는 경우도 많고, 최소한의 성적을 유지해야 한다는 불안감에 학교-학원을 반복하는 생활을 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오죽하면 정부에서 내년부터 자유학기제라고 하여 시험 없는 한 학기를 운영하도록 하겠는가. 그만큼 중학생들의 경험의 폭이 좁았다는 얘기다.

 

실제로 체험을 할 조건이 부족하다면 간접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데... 그 경우가 바로 독서라고 보고, 요즘은 중학생 시기에 어울리는-그들을 주인공으로 삼고, 그들이 겪을 수 있는 일들을 소설로 쓴- 소설이 많이 나와 있으니, 마음만 먹으면 간접 경험은 독서를 통해 충분히 할 수 있다.

 

이 소설도 그런 소설 중의 하나다. 주인공은 중학교 3학년생. 이 소설은 모두 5편의 단편 소설들로 묶여 있는데... 이를 연작소설이라고 해도 좋다. 각 편은 독립적이지만 또 모두 연결되어 있다. 거기다 순서대로 작품이 편성되어 있기에, "중학생 여러분"이라는 장편소설의 각 장 제목이라고 보면 된다.

 

장편소설 그러면 왠지 길어보여서 읽기 싫어지기도 하는데, 이 소설은 그런 면에서는 어느 장을 읽어도 상관이 없기에 읽기에 편하다.

 

게다가 학창시절에 고민할 만한 이야기들을 담고 있는데, 그 이야기들이 무겁지 않고 경쾌하게 진행이 된다.

 

서술자가 주인공은 나(정현서)로 직접 자신의 이야기를 바로 읽는 중학생(너)에게 해주는 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중학생 독자들에게는 더욱 친근하게 다가가리라.

 

여름 방학숙제로 부터 이야기가 시작되어 중3을 마치는 시기까지 시간별-사건별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

 

마치 70년대 얄개전을 보는 듯하게 읽으면서 웃음을 지을 수가 있다. 무거운 이야기를 결코 무겁지 않게 이끌어가 감정의 과잉에 빠지지 않게 한다.

 

학생들이 하는 봉사활동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과 머리에 관한 일 등은 재미있게 웃으며 읽을 수 있는 것이고, 가정불화로 인한 이혼 때문에 고민하는 여자 주인공 이야기도 서술자의 진술에 따라 칙칙하지 않게, 이들이 그것을 상큼하게 극복하고 있음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하여 재미있게 맞아, 이럴 수도 있지, 우리도 그랬지 하면서 읽을 수 있는 작품이다. 마치 요즘 '개그콘서트'의 한 분야인 'YES OR NO' 꼭지를 보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맞아,나도 그래, 아냐, 난 안 그랬어, 하면서 읽을 수 있는 소설.

 

가끔 공부하다 머리가 아픈 중학생들, 이런 소설을 읽고 머리를 식혔으면 좋겠다. 무겁게 표현할 수 있는 주제를 경쾌하게 이끌어가고 있으니, 중학생들이 읽으면서 아픈 머리를 식힐 수 있는 좋은 소설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