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시의 이해와 마음치유 - 선과 시는 어떻게 우리의 마음을 적시는가?
백원기 지음 / 동인(이성모) / 2014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말을 많이 하면 안 된다. 선시(禪詩)를 이야기할 때는.
또 논리성을 강조해서도 안된다. 선시는 논리성을 넘어섰으므로.
일상 언어로 선시를 이해시키려고 하는 것 자체가 문제라는 생각이 든다. 선시는 오래동안 고민을 하고, 고행을 한 결과 어느 한 순간의 깨우침을 글로 표현한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성철 스님의 법어로 더 유명해진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라는 말을 예로 들면 선시에 대한 이해가 쉬울 것이다.
당연히 산은 산이고, 물은 물이다. 그런데... 어쩌라고?
그런데, 이 말을 화두로 삼은 사람이 있단다. 청원선사라고 하는데...
청원선사는 '산은 산 물은 물'이라는 공안을 통해 30년간의 수행단계를 세 단계로 압축해 설명하고 있다.
첫째 단계: 노승이 30년 전에 참선을 하지 못했을 때에는 산을 보면 산, 물을 보면 물이었소.
둘째 단계: 선지식을 만나 어떤 깨달음의 경지가 있어 산을 보면 산이 아니었고, 물을 보면 물이 아니었소.
셋째 단계: 이제 시고 그친 경지에 이르러, 예전처럼 산을 보니 오로지 (경외로운) 산, 물을 보니 오로지 (경외로운) 물이더라. 298쪽.
그러니 선시들에 나온 짧막한 구절들에 담겨 있는 뜻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참선을 해야 할 것이란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
선시의 기원과 특징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 다음에 고려시대부터 현대까지 선시를 중점적으로 소개하고 있는 이 책은 선시를 통해서 우리의 마음이 조금이나마 청명해지기를 바라고 있다.
사실 선시를 읽는다는 행위 자체도 이미 자신의 마음을 비울 준비가 되었다는 얘기가 될테니, 이 책을 읽어가면 마음을 비움과 마음을 채움이 둘이 아니고 하나임을, 적어도 머리 속으로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아니면 한 시를 붙들고 그 시를 계속 궁구하든지... 그러다 보면 마음 속에 어떤 깨달음이 올지도 모른다.
아니, 깨달음까지는 아니더라도 명상의 단계에까지는 이를 수 있다. 이 책에서 반복하고 있는 말이 있는데, 평상시의 마음이 도라는 말이다.
도라는 것이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내 생활에 있다는 말, 그래서 이 책에 나온 선시들에서도 '졸리면 자고 배고프면 먹고'라는 표현이 많이 나오는지도 모른다.
우리는 도를 우리와는 너무도 멀리 떨어져 있는 그 무엇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이 많은데, 이 책은 그렇지 않음을, 도는 바로 우리 자신임을 이야기해주고 있다.
많은 선승들과 선시들을 통해서 말이다.
그러니 선시를 읽는 행위 자체가 이미 마음 치유 단계에 들어섰다고 보아야 한다. 마음을 비우고 선시를 통하여 비운 마음에 무언가를 채웠다가 그마저도 비우는 행위를 다시 하기 때문이다.
비록 높은 단계에까지는 가지 못하더라도 이 책에 소개된 선시들을 읽는 과정에서, 그 자체에 마음이 편안해짐을 느낄 수는 있으니, 그것이 어딘가.
이 선시를 쓴 사람이 누구인가는 논쟁이 되기도 하고 있지만, 이 책에서도 그렇고, 예전부터 나는 휴정(서산대사)의 시로 알고 있었으니, 그렇게 알고... 맘 속에 새긴다. 이 시를.
눈 내린 들판을 걸어갈 때 / 모름지기 함부로 걷지 말라
오늘 남긴 내 발자국은 / 뒷사람의 이정표가 될 것이니 12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