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춘수에 관한 책을 읽다가 집에 김춘수의 시집이 있다는 것이 생각났다.

 

교과서에서 배운 김춘수는 그야말로 난해시의 대명사였는데... 그가 주장한 '무의미시''의미'로 해석해 내는 것이 바로 학교 국어교육이었으니, 얼마나 어려웠겠는가.

 

그런데 이 시집을 읽으니 그다지 어렵지 않다. 꼭 '무의미시'라고 할 필요가 없다. 이상하게 '의미'가 잡힌다. 세월이 흘러서인가. 아니면 학교를 넘어서인가.

 

이 중에 '나의 하나님'이라는 시... 요즘 세태와 관련지어,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다.

 

나의 하나님

 

사랑하는 나의 하나님, 당신은

늙은 비애다.

푸줏간에 걸린 커다란 살점이다.

시인 릴케가 만난

슬라브 여자의 마음속에 갈앉은

놋쇠 항아리다.

손바닥에 못을 박아 줄일 수도 없고 죽지도 않는

사랑하는 나의 하나님, 당신은 또

대낮에도 옷을 벗는 어리디어린

순결이다.

삼월에

젊은 느릅나무 잎새에서 이는

연둣빛 바람이다.

 

김춘수, 우리는 모두 무엇이 되고 싶다. 문학세계사. 1993년 초판 1쇄. 59쪽.

 

만약 신이 있다면, 신자들에게는 이런 불경스런 질문이겠지만, 신이 있다면 이 세상이 지금처럼 굴러갈 수 있을까?

 

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많은 사람들을 먹여 살렸다는데, 지금은 음식이 냉장고에서 썩어가고, 먹다 남은 음식들을 버리고 있는 사람들이 있는 반면에 어디에선가는 굶주림으로 죽어가는 사람들이 있는 상태.

 

농사를 짓고도 남은 것이 없어 작물을 키울수록, 팔수록 더더 손해가 나 결국 눈물을 머금고 작물을 엎어버리는 농민들이 있는데, 몸에 좋은 것이라고 외국의 것을 굳이 들여와 먹는 사람들이 있는 상태.

 

김춘수의 '나의 하나님'을 읽으며 든 생각이다. 정말로 신이 있을까? 나는 기독교 신자들이 쓰는 '하나님'이라는 말보다는 '하느님' 또는 '신'이라는 말이 더 좋은데...

 

이 시에 나오는 하나님은 '늙은 비애, 푸줏간의 살점, 놋쇠 항아리, 어린 순결, 연둣빛 바람'이다.

 

처음에는 부정적인 개념으로부터 시작한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시간이 지나니, 아니다. 긍정적이다.  '늙은'이라는 얘기는 '낡은, 오래된, 쓸모없는'이라는 말을 연상시키고, 비애는 슬픔을 뜻한다. 결코 긍정적으로 해석하기는 힘들다. 그런데... '늙은'은 '오래된'이고, '비애'는 '슬픔, 연민'이라고 할 수 있으니, 이 '늙은 비애'를 하나님이 인간에게 지닌 '오래된 연민'이라고 보면 긍정적이 된다.

 

모두를 긍정적으로 보면 하나님은 인간들에게 오랜 연민을 지니고 있었고, 그래서 그들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서 '푸줏간에 걸린 커다란 살점'이라는 표현을 통해, 특히 '커다란'이라는 표현을 통해, 넉넉하게 모두가 먹고 살 수 있게 음식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런 음식을 담아둘 수 있는 그릇이 필요한데, 신은 역시 이를 외면하지 않았으니, '놋쇠 항아리'로 우리에게 다가온다.

 

먹을 것을 준 신은 우리에게 아무 것도 바라지 않는, 니체가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서 '세 단계의 변화'라는 글에서 설명하고 있듯이 '어리디 어린 순결''아이'의 단계에 해당한다. 거침이 없는 것이다. 그러니 아무 거리낌이 없이 행동할 수 있다.

 

자, 이런 신은 어디에나 있다. 우리가 비록 보지 못하더라도 늘 우리 곁에서 '연둣빛 바람'처럼 우리들을 싱그럽게 해주고 있다.

 

그랬으면 좋겠다. 신은 이렇게 우리들의 삶을 풍요롭게, 행복하게 해주고 있으니까.

 

그렇지만 신은 인간이 자신의 뜻에 거스를 때는 걷잡을 수 없는 분노를 표출한다. 바로 이런 신이 지금 우리 인간들의 현실을 본다면 '바벨탑'을 무너뜨린 신처럼, 인간의 타락에 분노해서 '대홍수'를 일으킨 신처럼, 불의를 저지른 '소돔과 고모라'를 멸망시킨 신처럼... 분노하지 않을까.

 

무언가 특단의 조치를 취하지 않을까. 정말로 신이 이 시의 '나의 하나님'처럼 존재한다면...

 

불경이라 해도 좋다. 신은 인간을 창조했다고 하니, 창조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면, 우리 인간세상을 굽어보고 있다면, 지금의 세상을 가만히 보고만 있지는 않을 거라는 생각을 한다.

 

그 많은 신자들, 기독교인, 천주교인, 불교인, 이슬람인, 기타 다른 종교인들이 생각하는 '하나님, 또는 하느님, 신'은 어떤 존재인가. 한 번 생각해 보고, 자신들이 믿는 신의 뜻을 인간 세상에서 행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한 시다.

 

'무의미시'라고 하는 김춘수의 시를 읽으며 이렇게 '의미'를 추구하는 것이 제대로 시를 읽은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하여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