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 문학 도덕교육 - 이론과 실제
도홍찬 지음 / 인간사랑 / 2011년 6월
평점 :
품절


'인성교육'을 강조하고 있는 지금, 따로 인성교육을 왜 하지 하는 생각을 하게 됐다. 별 생각이 없었는데, 우리나라 학교 교과과정에 도덕이라는 교과목이 있다는 사실을 이 책을 읽으면서 새삼 깨달았기 때문이다.

 

이미 도덕 교과목이 있는데, 학교에서 인성교육을 실시하라고 하니, 그럼 기존에 존재하는 도덕 교과는 뭔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 것.

 

도덕은 윤리고, 삶의 자세이고, 철학인데... 그렇다면 도덕이라는 교과목 자체가 인성 교과목일텐데... 왜  있는데 없는 것처럼 말하고 법률을 제정하고 그러지.

 

정치권에 있는 사람들, 하도 오래 돼서 학교 교육과정을 모두 잊었나 보다. 역시 우리나라 학교 교육은 대학 입시까지만 의미가 있고, 대학에 들어가면 다 잊어버린다더니, 국회의원이나 행정부의 고위 관료들도 여기서 예외가 아닌 모양이다.

 

인성을 학교에서 가르치라 마라 하지 않아도 이미 교육이라는 말에는 인성이 포함되어 있다. 학교에서 교육을 하는데 인성을 제외하고 누가 지식만을 가르친단 말인가?

 

예전 교사들이 흔히 하던 말이 지식만을 배울 생각이면 왜 학교에 오냐고, 그냥 학원(결코 학원 강사들을 무시해서가 아님. 예전엔 분명 이렇게 말하는 교사들이많았음)이나 학교 바깥에서 네가 하고 싶은 것을 찾으면 된다였다.

 

그만큼 학교에서는 인성을 기본으로 깔고 있었다는 얘기다.(사실 그렇다고 하더라도 학교에서 제대로 된 인성을 배운 학생이 얼마나 될까? 여기에 대한 통렬한 반론은 유하의 시 '학교에서 배운 것'에 나와 있다.) 인성을 다른 말로 하면 도덕이고, 이 도덕이라는 말에는 바람직한 삶의 태도라는 것들이 모두 들어 있다고 보면 된다.

 

그렇다면 도덕교육은 어떻게 할까? 아니, 어떻게 해왔을까? 궁금증이 인다. 이 책은 그런 궁금증에 대한 답을 해주고 있다.

 

도덕교육을 직설적으로 이렇게 해야 한다고 가르치지 않는다. 이야기를 통해 자연스레 학생들의 마음에 스며들게 한다. 도덕은 스며들어 배어나와야 한다.

 

이야기는 도덕을 직설적으로 이야기하지 않고 이야기 속에 담고 있다. 이야기를 읽거나 들으면서 자연스레 도덕을 마음 속에 받아들인다. 자신이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익히게 된다.

 

이런 이야기가 하나의 갈래로 굳어지면 그것은 문학이 된다. 하여 도덕 교육에 문학이 들어오게 된다.

 

앞 부분은 전문적인 내용이다. 그러니 도덕교육에 관심이 없는 사람은 읽지 않아도 된다. 김정운의 말처럼 굳이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을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뒷부분, 문학으로 직접 도덕교육을 한 사례는 읽을 만하다. 재미도 있고, 이렇게 도덕 교육을 했구나 할 수도 있고, 문학과 도덕이 어떻게 어우러지는지 알 수도 있고, 또 학생들이 직접 문학 작품을 읽고 도덕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쓴 글을 읽을 수도 있으니... 여러가지로 괜찮다.

 

작품들도 이미 어른이 된 사람들에게는 친숙한 작품들이 많이 나온다. 고등학교 교육까지 받은 사람이라면 한 번쯤은 읽었을짐한 '감자, 광장, 어린왕자, 동백꽃, 나무를 심은 사람, 치숙, 자전거 도둑, 모래톱 이야기 등등'

 

그래서 아이를 둔 부모라면 이 작품들을 아이에게 읽히고 이 책에 나와 있는 질문을 할 수도 있다. 책을 좀더 깊이 있게 읽게 하는 방법으로, 또 인성을 지니게 하는 방법으로. 일석이조다.

 

하여 이 책을 읽다보면 '인성교육' 운운하면서 마치 새로운 교육을 한다는 듯이 호들갑 떠는 교육관료들과 정치권들이 한심하게 보인다. 

 

이미 이렇게 하고 있는데, 충분히 하고 있는데, 여기에 뭘 더 더하려는지...

 

이 책은 도덕교사들만이 아니라 학교에서 교육하는 모든 교사들에게도 의미가 있을 거란 생각이 든다.

 

요즘은 통섭, 융합 이런 말들이 유행하고 있다. 교과도 자신의 교과만으로 수업하는 것이 아닌, 여러 교과들이 함께 수업을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자유학기제 또한 이런 방향 아니던가. 그렇다면 문학을 가운데 두고 많은 교과들이 모여 공통된 수업을 할 수 있다.

 

"따로 또 같이, 같이 또 따로"

 

가령 김정한의 '모래톱 이야기'를 놓고 보면 국어, 도덕, 사회, 역사, 과학, 기술 교과목이 함께 수업할 수 있다.

 

문학 작품의 이해는 국어에서, 작품에 나오는 도덕 관련 쟁점은 도덕에서, 당시 사회의 모습은 사회와 역사에서, 홍수 방지 또는 보 등에 대해서는 과학과 기술에서 다룰 수 있다.

 

그러니 문학을 두고 자연스레 통합교육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문학을 도덕 교육의 도구로 삼았지만, 이 책의 내용을 바탕으로 더 나아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니 이 책은 단지 도덕교과를 공부하는 사람만이 아닌, 여러 교과의 교사들도 참조할 만한 책이 되는 것이다. 물론 아이들에게 책을 깊이 있게 또는 도덕적인 품성을 기르기 위할 목적으로 책을 읽히는 부모들에게도 도움이 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