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월은 가정의 달이다. 어린이날도 있고, 어버이날도 있고, 스승의 날도 있는 그런 달.
많은 날 중에서 우리들이 기념해야 할 날들이 많은 달이 바로 오월이다.
세상의 모든 것들이 하나하나씩 채워지고 있는 오월. 아름다운 계절이다. 물론 그 계절의 충만함은 그 동안의 비어 있음에서 나온 것인지도 모르겠지만.
어쩌면 한겨울이라는 비움을 겪었기에 이 오월이 더 아름다운지도 모르겠다. 비움이 없는 채움이란 있을 수 없음을 오월의 충만함을 통해 다시금 생각하고 있다.
그런 오월에 시 한 편. 정끝별의 시집 "흰 책"을 읽다가 어쩌면 이 오월에 이런 시도 잘 어울리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했다.
채워짐이 넘치는 시절에 비움에 대해서 생각하게 하는 시
속 좋은 떡갈나무
속 빈 떡갈나무에는 벌레들이 산다
그 속에 벗은 몸을 숨기고 깃들인다.
속 빈 떡갈나무에는 버섯과 이끼들이 산다
그 속에 뿌리를 내리고 꽃을 피운다
속 빈 떡갈나무에는 딱따구리들이 산다
그 속에 부리를 갈고 곤충을 쪼아먹는다
속 빈 떡갈나무에는 박쥐들이 산다
그 속에 거꾸로 매달려 잠을 잔다
속 빈 떡갈나무에는 올빼미들이 산다
그 속에 둥지를 틀고 새끼를 깐다
속 빈 떡갈나무에는 오소리와 여우가 산다
그 속에 굴을 파고 집을 짓는다
속 빈 떡갈나무 한 그루의
속 빈 밥을 먹고
속 빈 노래를 듣고
속 빈 집에 들어 사는 모두 때문에
속 빈 채 큰 바람에도 떡 버티고
속 빈 채 큰 가뭄에도 썩 견디고
조금 처진 가지로 큰 눈들도 싹 털어내며
한세월 잘 썩어내는
세상 모든 어미들 속
정끝별, 흰 책. 민음사, 2000년 1판 1쇄. 20-21쪽.
이 시를 읽고 노자의 '도덕경'의 비움의 유용성이 생각나기도 했지만, 무엇보다도 부모님이 생각났다. 자식들을 위해 자신의 속을 비워가는, 그 비워진 속으로 자식들을 키워내는 그런 부모의 삶.
세상의 모든 부모들은 자신을 비워 자식들을 길러낸다. 이 떡갈나무처럼.
그런데 이런 비움이 꼭 부모에게만 해당하겠는가. 적어도 정치를 한다는 사람들, 지식인이라고 하는 사람들, 이들 역시 떡갈나무처럼 비워서, 자신을 비워서 다른 존재들을 살게 해야 하지 않겠는가.
자신만을 채워서 사회를 오히려 어지럽게 하는 사람들이 많은 현 시대에, 이 시는 비움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말해주고 있다.
비움은, 없음이 아니라, 채움이고, 충만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