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다는 일, 한 그릇의 밥을 먹는 일. 밥을 위해 내 몸을 굴리는 일. 내 정신과는 상관 없이 내 몸을 밥에게 넘기는 일.
하여 다른 삶을 꿈꾸는 일은 자신의 목을 조르는 일과 같이 괴로운 일.
그러니 결국 한 그릇의 밥을 위해 자신의 몸을 바치는 일은 치욕에 다름 아니고, 이런 치욕의 끝은 꿈꾸는 것을 넘어 행동으로 나아가는 일.
이 자리를 떠나 다른 자리로 가는 일. 그렇게 이동한 뒤에 남은 빛나는 철길을 남겨두는 일.
밥은 우리 삶을 지탱해준다. 지탱해주는 정도가 아니라 우리는 밥에 매여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일을 하려고 해도 밥이 뒷받침해주지 않으면 움직이지 못한다.
하여 밥은 자신을 옭죄는 굴레가 되고, 꿈은 자신의 목을 조르는 고통이 된다. 그렇다고 해도 인간은 꿈을 꾸지 않으면 안된다. 우리는 꿈을 꾸어야 살아갈 수 있다. 밥만으로도 살 수 있으나 온전한 인간으로 살기 위해서는 꿈을 꾸어야 한다.
아무리 힘들더라도 꿈을 꾸고, 그 꿈이 자신의 생을 위협할지라도 꿈은 우리를 더 나은 존재로 나아가게 한다. 그렇게 기차가 철길을 통해 다른 곳으로 가듯, 우리는 꿈을 통해 더 나은 사람이 된다.
그리고 더 나은 사람이 된 뒤에 우리는 우리가 어떻게 그 길을 걸어왔는지 흔적을 남긴다. 그 때는 힘들었지만, 나중에는 빛나게 되는 흔적을.
밥이 치욕이 되지 않았으면 좋겠다. 밥은 우리 삶의 기본이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밥 때문에 자신의 꿈을 접는 사람이 나오지 않게 했으면 좋겠다.
무상급식 중단을 선언한 경상남도 지사처럼, 밥으로 사람들을 치욕으로 몰아가서는 안된다. 적어도 밥은 우리를 치욕으로 이끌어내는 것이 아니라, 우리를 더 나은 존재로 나아가게 하는 힘을 제공해 주어야 하기 때문이다.
밥이 꿈을 뒷받침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렇게 하는 것이 바로 사회의 몫이다. 그런 생각이 든다.
어떤 의도로 쓰여졌는지는 모르겠지만, 헌책방에서 구한 이성복의 "남해 금산" 시집에 실려 있던 '치욕의 끝'을 읽으며 든 생각이다.
치욕의 끝
치욕이여,
모락모락 김 나는
한 그릇 쌀밥이여,
꿈꾸는 일이 목 조르는 일 같아
우리 떠난 후에 더욱 빛날 철길이여!
이성복, 남해 금산, 문학과지성사. 1998년 재판 6쇄. 2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