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동안 날이 너무도 따뜻했다.

 

땅 속에서, 또는 나무들 속에서 나올 때만 기다리고 있던 새 생명들이 갑자기 따뜻해진 날씨에 놀라 후다닥 나오고 있는 중.

 

세상이 흑백에서 칼라로 바뀌어 가고 있는 이 봄.

 

우리 마음은 아직도 흑백이다. 빛이 바래 있다. 이런 마음에 빛을 찾아주어야 하는데, 서로가 제 잘났다고 주장만 하고 싸움만 하고, 빛을 찾아 보여주는 사람들은 없다.

 

그래서 우리는 "쓰러진 자의 꿈"이 무엇인지, 그들에게 어떤 꿈을 주어야 하는지 노력하는 사람을 만나기가 힘들다.

 

만물이 생동하는 봄, 모든 것에 생기를 불어넣는 봄, "쓰러진 자의 꿈"은 이렇게 우리들 세상도 봄을 맞이하는 것 아닐까?

 

기분이 더 좋아져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것은 이 봄이 그냥 즐거운 봄으로만 다가오지 않기 때문이다. 우리 주변에 쓰러진 자들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그렇게 쓰러진 사람들에게 손을 내밀 사람들이 적기 때문이다. 그들에게 손을 내밀 사람들 역시 곧 쓰러질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신경림이 시집을 읽다. 제목이 "쓰러진 자의 꿈"이다. 낮은 곳에서 살거나 쓰러진 존재들에 대한 시들이 많다.

 

어쩌면 우리가 외면하고 있는 현실을 시인은 똑바로 보고 있는지도 모른다.

 

시인은 시집의 끝 '시집 뒤에'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나는 시는 궁극적으로 자기탐구요 시의 가장 중요한 주제는 자신일 수밖에 없다는 생각도 많이 하지만, 쓰러지는 자들, 짓밟히는 것들의 상처와 아픔을 어루만지고 흩어지는 것들, 깨어지는 것들을 다독거리는 일, 이 또한 내 시의 숙명인지도 모르겠다. 시를 가지고 할 일이 더 많아졌다는 생각이다. (105쪽)

 

그래, 이렇게 쓰러진 존재들을 어루만져 주는 시인이 있어, 쓰러진 존재들로 꿈을 꿀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서려고 하는 존재를 굳이 쓰러지게 하는 자들이 있다. 시인은 그를 이 시집에서 이렇게 표현하고 있다.

 

  전 정

 

내밀기만 하라 나오는 대로 자르리라고

 

고개를 내밀면 목을 치고

팔을 내밀면 손목을 자르고

발이 나오는 다리를 쳐내리라고

 

커다란 가위를 제꺽거리며

눈을 부릅뜨고 서 있는 게 이 세상에

정원사 어디 너뿐이겠느냐

 

신경림, 쓰러진 자의 꿈, 창작과비평사, 1996년 7쇄. 49쪽.

 

이런 존재는 되지 말아야지. 적어도 쓰러진 존재들에게 손을 내미는 사람이 되어야지. 이 봄에 그런 생각을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