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은 길이다.

 

우리는 인생이라는 길을 가면서 많은 것들을 보고 듣고 느끼고 생각하게 된다.

 

인생이 꼭 길이 아니더라도 우리는 여행을 통해서 많은 것을 보고 느낀다. 그런 여행의 결과를 시로 나타낸 것이 이 시집이다.

 

기행시집이라는 이름이 붙어 있는 이 시집은 우리나라 각처에서 느낀 점을 시로 표현해 내고 있다. 어렵지 않게 누구나 읽을 수 있게.

 

그래서 시적 형상화가 좀 떨어진다는 소리를 들을 수도 있고, 이렇게 직설적으로 내용을 표현해도 되나 하는 생각을 할 수도 있지만, 시가 왜 어려워야 하는가.

 

시는 사람들의 마음 속에 들어오도록 쉬워야 한다. 마음에 꽂히지도 않는 시가 어떻게 읽히겠는가. 읽히지 않는 시가 어떻게 감동을 주겠는가.

 

하여 신경림의 이 기행시집에는 여행을 통해서 느낀 점이 쉬운 언어로 표현되어 있다. 이 점을 시인은 후기에서 이렇게 말하고 있다.

 

나는 나의 시도 앞으로 읽는 사람이 편하게 대할 수 있고 읽을 수 있는 사람을 편하게 만들어주는 것이 되어야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 오늘의 우리 시가 너무 크고 높은 것만 좇고 있는 것는 것은 아닌가, 그래서 자잘한 삶의 결, 삶의 얼룩은 다 놓치고 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점이었다.

 

... 시의 값은 오히려 본질적으로 작고 하찮은 것, 못나고 힘없는 것, 보잘 것 없는 것들을 돌보고 감싸안고, 거기에 그치지 않고 스스로 낮고 외로운 자리에 함께 서고, 나아가서 그것들 속의 하나가 되는 데 있는 것이 아닐까, 또 그것이 시의 참길이 아닐까. 그렇다면 시는 잘나고 우쭐대고 설치는 사람들의 몫이 아니라 못나고 겸허하고 착한 사람들의 몫일는지도 모를 일이다. (후기에서 116-117쪽)

 

시가 시에 대해서 공부한 사람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사람이 읽고 즐기는 문학이라는 점. 그렇게 되어야 한다는 점에 동의한다.

 

그렇다.

 

시인은 늘 여행하는 사람이다. 시인은 항상 길 위에 있다. 길 위에서 시인은 우리에게 말한다. 세상을 잘 살자고, 아름답게 살자고... 함께 살자고.

 

각박한 시대. 시 읽는 사람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이미 유명해진 시도 있지만-교과서에 실린 시, 나무1, 동해바다- 지금, 내 마음에 다가온 시는 '산수도 사람 때 묻어'이다.

 

자연이 아름다운 이유는 자연 자체로만 존재하기 때문이 아니라 우리 인간들과 함께 존재하기에 아름답다는 점. 우리 역시 자연이라는 점을 생각하게 하는 시

 

  산수도 사람 때 묻어

 

산은 켜로 쌓여

하늘과 닿은 곳 안 보이고

물은 맑은데도 깊이 알 길 없어

이곳이 사람 안 사는 곳인 줄 알았더니

무논에서는 개구리 울고

등 너머에서는 멀리 낮닭

홰치는 소리 들린다

알겠구나, 산수도

사람의 때 묻어 비로소 아름다워지는

이치를

땀과 눈물로 얼룩진 얘기 있어

깊고 그윽해지는 까닭을

 

신경림, 길, 창작과비평사, 1996년 9쇄. 8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