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하면 무엇이 떠오를까?

 

아리랑. 뗏목. 레일바이크, 카지노, 탄광...

 

산 좋고 물 좋은 곳 정선이다. 옛날에는 숲이 울창해서 나무들을 베어 그 나무로 뗏목을 만들어 서울로 나무들을 날랐다고 한다.

 

목숨걸고 나무들을 나르는 일, 어찌 쉬웠겠는가. 그래서 그들은 그 목숨값을 술로 기생으로 많이도 날렸다고 했지.

 

그러나 나무들에 이어 석탄이 정선을 대표했다.

 

추운 겨울 사람들을 따듯하게 해주기 위해 목숨 걸고 막장으로 내려갔던 사람들.

 

사북, 고한... 사북항쟁으로도 잘 알려진 그런 탄광들, 막장들. 흔히 인생 막장이라고 하는데, 더 이상 내려갈 곳이 없을 때 그것을 우리는 막장이라고 한다.

 

뗏목에 이어 탄광이 사람들 목숨값을 해주고 있었다. 그러다 다시 정선은 카지노로 유명해졌다. 강원랜드라고 하는, 말이 좋아 랜드지 내국인이 들어갈 수 있는 합법적인 도박장.

 

그곳으로 이제는 한탕을 노리는 사람들이 몰려든다. 막장이 아니라 인생 대박을 꿈꾸는 사람들이 몰려오나 그들 역시 막장에 처하게 된다.

 

정선은 산과 물이 좋은데, 그 산과 물 만큼 사람들도 풍성하게 살아야 하는데, 사람들은 자연과 대조적으로 늘 쪼들리고 살았다.

 

자신들의 목숨값을 치르고 살았다. 나무로, 석탄으로, 이제는 카지노로.

 

그런 곳을 시집 전체에 담았다. 시인은 5년 동안 정선에 살았다고 한다. 젊은 시절, 그는 정선의 삶을 시로 남겨두었다.

 

시로 정선을 남겨두고 이제 그는 떠났다고 했다. 그는 떠났지만 정선은 그대로 남아 있다. 그런 정선. 내게는 그냥 지나쳐갔던 아름다운 자연을 둔 곳으로만 기억되는 정선을 시인은 정선의 다른 모습을 우리에게 남겨주고 있다.

 

그래서 이 시집 "정선아리랑"은 처절했던 과거 정선의 모습을, 그러나 너무도 아름다운 정선의 자연을 우리에게 선사한다.

 

정선에 한 번 가보자. 정선의 자연만 보지 말고, 카지노 속에만 있지 말고 정선에 서려 있는 사람들의 슬픈 역사도 새겨보자.

 

이 시집 한 권... 정선을 느껴보자.

 

두 시... 처연하고, 처절하고, 그러나 포기하지 않는 막장에서 빛을 보는 그런... 막장에서 단련된 사람들끼리 함께 할 때 빛이 있음을... 이 시들에서 느낄 수 있다.

 

      막장

 

가난했기에 배우지 못해

가방끈이 짧아 마른 일도 못 해

목구멍이 포도청이라 먹기는 먹어야 해

울 사이도 없이 막연한 화딱지를 앞세우고

남몰래 밤기차에서 내려선 나라

마중하는 사람 없는 객지타관에서

조상이 건네준 힘줄을 팔며 입에 풀칠을 한다네

힘좋던 사내들 돌발에 치이고 탄더미에 깔려

병원차에 실려나가 다시는 못 보게 되어도

그들의 이름을 되뇌어 부르는 실없는 사람은 없다네

땅끝에 와서 막장의 끝에 와서

비로소 명치끝을 치받는 설움과 분노의 덩어리를

그대들 알기는 아는가

암 암 안다고 말하겠지

알면서도 이해받지 못하는 나라에서

희망과 청춘을 고아바치고 있다네

아침이면 광차에 가득가득 실려나오는

시커먼 그러나 반들반들 윤이 나는 탄덩이를 보게

밤새 광산쟁이들이 제 살을 쥐어뜯으며

지하막장에서 뱉아놓은 검은 혈흔을 좀 보게나

저것들 모두 모여 이 나라 방방곡곡 방구석을 뎁히며

가난뱅이들의 젖은 등허리를 달래주지 않겠나

보게 분노란 달래는 게 아니라네

저토록 검은 윤이 반짝이도록 단련시키는 거라네

 

박세현, 정선아리랑, 문학과지성사. 1992년 3쇄. 86-87쪽.

 

 

 

 

   동무

 

일을 마치고

골목길 평상

나무의자에 조금씩 당겨 앉으면

우리는 동무가 된다

땀에 절은 어깨를 맞대고

덜 지워진 눈자위의 탄가루를 놀리며

술잔을 돌리면 객지벗 그리운 동무가 되고 만다

경상도에서 전라도에서 충청도에서

꼬깃꼬깃 감추었던 사연들 털어놓고 보면

아름다워 저절로 눈물겨운 동무가 되고 만다

 

박세현, 정선아리랑, 문학과지성사, 1992년 3쇄. 8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