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일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는다.
사람들이 살아가는 세상에서 온갖 일이 일어나는 것이야 당연하겠지만 이것은 일어나지 않아야 할 일들이 일어난다.
가정에서도 공장에서도 사회에서도 온갖 안 좋은 일들이 일어나고, 심지어는 아이들을 보살핀다는 곳에서도, 기강이 바로 잡히고 하나로 움직여야 한다는 군대에서도 잡스럽다고 할 수밖에 없는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
순수함을 잃었기 때문이다. 자연이라는 말처럼 그냥 그렇게 살 수가 없는 세상이라지만, 자꾸만 자기만을 위해서 무언가를 하려는 사람들이 늘어난 때문이기도 하겠다.
종교의 힘으로, 또는 이성의 힘으로 사람들이 윤리적이 되었으면 하는데, 이 윤리 자체가 이미 인위적이고 계획적이고 의도적이다. 그렇기 때문에 윤리를 강조하는 것은 반대로 윤리가 사라졌다는 말이 된다.
그런 세상이 아니었으면 좋겠다. 그냥 자연스레 피고, 자연스레 살아가는, 그래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간직한 들꽃들처럼 그냥 그렇게 살면 좋겠다.
인위적이지 않고, 계산적이지 않고, 무언가 따지지 않고, 있는 그대로 그냥 그렇게.
너무도 많은 사람들이 따지고 계산하고 오로지 제 이익만을 위해 무언가를 계획하는 시대에, 정말로 아무렇지도 않게 그냥 그대로 자연의 순리대로 살아가는 사람을 만나고 싶다.
삶 자체가 시인 사람. 삶 자체가 종교인 사람. 삶 자체가 자연인 사람.
그런 사람을 만나고 싶다. 안수환의 시집을 읽다. 그가 신학과를 나왔다고 하니 종교적인 내용이 시집에 많이 실렸지만, 기독교든 불교든 또는 우리 토속 종교든 그는 하나에 치우치지 않는다.
일이관지(一以貫之)라는 말이 있지 않은가. 하나에 정통하면 다른 것에도 정통할 수가 있다는 말. 내 종교를 진실하게 믿는다면 남의 종교도 진실하게 믿을 수밖에 없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하고, 그런 점에서 모든 종교는 하나로 귀결되어야 하는데, 그것이 바로 자연스러움이고, 그 자연스러움은 '사랑'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본다.
안수환의 이 시집에서 제목이 된 시 '저 들꽃들이 피어 있는'이 여러모로 읽기에도 좋고, 생각할 것도 많았다.
우리는 시가 순수함이라고 이야기하는데, 이런 시도 자연의 자연스러움에 비하면 부족하다는 생각을 하게 만드는 시다. 그냥 읽어서 마음에 담으면 좋겠다. 이 시는.
저 들꽃들이 피어 있는
들쥐들이 다니는 길보다도 시는
길이 아닙니다 우리가 지은 죄를
이 언어로 씻을 수 없음을 절망하는 동안
해가 산마루에 떠오릅니다
허물지 마셔요 당신과 내가 한몸으로
저 해와 산을 가슴에 담는 시간을
허물지 마셔요 어둠이 몰려오면
산딸기 덩굴처럼 엎드린 부끄러움을
우리 곁에 달리 놓을 곳 없습니다
오늘 큰 산과 해를 받들어 몸에 두르고
들꽃들은 저렇게 피었습니다
저것들이 우리 거동 아니면 몸이 아니면
높은 하늘도 땅도 아무 소용 없습니다
들쥐들이 다니는 길보다도 시는
길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허물지 마셔요
시보다도 먼저 오는 깨끗한 시간을
아아 날마다 눈부신 이 부끄러움을
다 뽑아놓은 자리에 들꽃들이 피었습니다
허물지 마셔요 당신과 내가 한몸으로
저 해와 산을 가슴에 담는 시간을
허물지 마셔요 저 들꽃들이 피어 있는 시간을
안수환, 저 들꽃들이 피어 있는. 문학과지성사. 1994년 재판. 93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