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달에 한 번 삶이 보이는 창을 받아든다.

 

그리고 지난 날 삶을 다시 되돌아 본다.

 

나는 어떻게 살아왔던가? 내 주변의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왔던가.

 

지금까지의 삶창은 이런 역할에 충실했다.

 

비루한 세상에서도 희망을 보게 만든 잡지라고나 할까.

 

무엇보다도 좋았던 점은 내 주변 사람들의 살아 있는 목소리가 담겨 있다는 것.

 

그런데 언제부터인가 삶창에서도 지식의 냄새가 풀풀 나더니, 슬그머니(이 말을 해도 괜찮는지 모르겠다) 내 주변 사람들의 생생한 이야기가, 그들의 날것 그대로의 목소리가 사라지고, 지식인의 관점에서 이야기하는 글들이 늘어났다.

 

이번호는 그 정점을 이루는가 보다. 20대 청년들 이야기 셋을 빼고는 모두 지식인의 글들이다. 마치 세상일을 그들의 안경을 통해서 보는 듯한 느낌.

 

무언가 자꾸 설명하려 한다는 느낌.

 

이것은 그다지 좋지 않다. 무언가 부족한 듯해도 평범한 우리 이웃들의 목소리가, 삶이 드러나 있었는데... 그것이 좋았는데.

 

그럼에도 지금 우리 현실을 파악하는 글들이 많음은 부정할 수 없다. 낮은 곳에서 일어나는 일들에 관해서 관심을 가지고 계속 글로 알려주는 것도 부정할 수 없고.

 

현실을 파악하는 힘. 있는 현실을 그대로 볼 수 있도록 해주는 잡지임에는 틀림없는데... 좀더 우리 주변 사람들의 목소리가 담긴 글이 더 많아졌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함께 어깨를 걸고 나가는 사람들, 그냥 보통사람들. 그런 사람들의 이야기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