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실에서 읽은 시 담쟁이 교실 16
하상만 지음 / 실천문학사 / 201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과 시.

 

지금 우리나라 교육현장에서 이만큼 멀리 떨어져 있는 대상이 있을까 싶다.

 

과학을 좀 잘한다 하는 아이들은 시라면 도저히 이해가 안된다고 진저리를 치고 있고, 시를 좋아하는 아이들은 과학은 도무지 알 수 없다고 고개를 설레설레 흔들고 있는 현실이니 말이다.

 

오죽하면 학교 교육 현장에서 문과와 이과로 나누어(곧 통폐합이 된다고 하는데, 이도 교과목 간의 의견 차이가 커서 어떻게 될지 모른다. 교육은 정권과 상관없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백년지대계는 커녕 십년지소계도 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니, 원) 태양계와 안드로메다 성운과 같이 동떨어지게 교육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교육현장의 현실과는 다르게 자꾸 통합, 통섭, 융합이라고 하여 무슨 STEAM교육을 하라고 학교에 공문이 자꾸 내려오나본데, 세상에 과학과 시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지 않고, 그냥 하라고 하니, 제대로 될 턱이 없다. 그것도 대학입시에 목 매달고 있는 교육현실에서.

 

이 때 책이 나왔다. "과학실에서 읽은 시"

 

과학실에서 읽은 시라는 제목을 보고, 시와 과학을 접목시키려는 책이구나 하는 생각을 했고, 시에서 어떻게 과학 이야기를 풀어갈까 하는 궁금증이 생겼다.

 

사실 시와 과학이 동떨어진 것은 아니지 않은가. 시와 과학은 우리 삶에서 하나가 되어야 하는 것 아니겠는가.

 

그럼에도 시 따로, 과학 따로 생각하고, 교육하는 현실에서, 시를 좋아하는 아이는 과학을 멀리하고, 과학을 좋아하는 아이는 시를 멀리하는 이런 현실은 사라져야 하는데도, 그것이 쉽지 않다.

 

그 쉽지 않음에 이 책은 도전하고 있다. 시를 제시하고 그 시에서 과학을 발견해내고, 그것을 설명하면서 다시 시와 만나게 한다.

 

즉 시인은 감성으로 세상을 만나는 사람이라고 한다면, 과학자는 이성으로 세상을 만나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를 심장과 머리라고 표현한다면, 어떤 사람 말대로 세상에서 가장 먼 거리가 머리에서 심장까지의 거리일 수도 있지만, 가장 가까운 거리가 심장에서 머리까지일 수도 있으니.

 

학교 수업시간에 시 한편을 놓고 과학교사와 국어교사가 함께 수업하는 장면이 떠오른다. 얼마나 좋은가. 시를 통해 감성과 이성을 동시에 자극하는 그런 수업.

 

시를 읽으며 감성을 채우고, 감성을 통해 이성을 자극하고, 이성의 힘으로 분석하고 정리하고, 다시 이를 감성에 적용하는 그런 수업.

 

과학과 시는 따로 따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존재하는 그런 것임을 이 책을 읽으며 다시금 생각하게 됐다.

 

우리는 지금 머리와 가슴(심장)까지의 거리를 가장 가깝게 해야만 하는 그런 시대에 살고 있지 않은가.

 

이 책, 시에서 찾아낸 과학. 비록 시인이 시를 통해 과학을 이야기해서 과학자가 보기엔 과학적 지식에 대해서는 한계가 있겠지만, 시와 과학이 만나는 접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자, 시 한 편을 보자.

 

이 시에서 찾아낼 수 있는 과학은. 또 그런 과학으로 다시 우리 가슴을 울릴 수 있는 내용은 무엇인지. 이 책에 나와 있는 내용 말고 더 많은 것들을 찾아낼 수 있지 않을까. 그런 연습. 지금 필요하다.

 

궁금하면 이 책을 읽어 보라.

 

 

내 목구멍 속에 걸린 영산강

                                          - 손택수

 

 

  두엄자리에서 지렁이가 운다. 지렁이 울면 낭창한 대 하나 꺾고 낚시를 가시던 할아버지.

 

  그날 붕어조림을 삼키면서 나는 붕어가 샄민 지렁이, 목구멍에 걸린 것처럼 헛구역질을 하고 말았는데

 

  지렁이가 할아버지를 삼킬 줄은 꿈에도 몰랐다. 할아버지가 삼킨 붕어와 붕어가 삼킨 지렁이 잘디잔 흙알갱이가 되어 지렁이 주둥이 속으로 빨려들 줄은 몰랐다.

 

  비 내린 뒤의 영산강변 할아버지 무덤가에 지렁이가 기어간다. 그래 지구상의 모든 흙은 한 번쯤 지렁이의 몸을 통과했다.

 

  머잖아 저 몸속에서 붕어를 삼킨 할아버지와 내가 머리 딱 부딪치며 우르릉 쾅쾅 천둥번개 치는 시간 있겠구나.

 

  주물럭주물럭 시간대를 마구 뒤섞는 장운동, 저 몸속으로 산맥 하나가 통째로 빨려 들어가고 말랑말랑한 반죽물 밭이랑 논이랑이 되어 꿈틀꿈틀 빠져나올 수도 있겠구나.

 

  강 주둥이에 아침부터 누가 철근을 박고 있다. 뿌연 흙먼지를 일으키며 시멘트를 퍼붓고 있다. 컥컥 헛구역질을 하며 강이 움찔거린다.

 

하상만 엮고 씀. 과학실에서 읽은 시. 실천문학사. 2014년 1판 5쇄. 46-4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