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완서의 소설 제목이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인데, 요즘은 70-80년대 그 많던 지식인, 사회변혁, 사회정의를 꿈꾸던 지식인들은 도대체 다 어디로 갔을까 하는 생각이 난다.

 

누가 먹어치운 것도 아닌데... 설마 자본이 지식인까지도 먹어치웠나?

 

사회가 어지러울수록 지식인의 역할이 커져야 하는데, 어지러운 사회에서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지식인은 지식인이라기 보다는 자기 자신의 영리만을 추구하는 소인배에 불과하다.

 

그런데 많이 배우면 배울수록 이상하게도 민중과는 멀어진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 우리나라의 현실을 보면 많이 배울수록 자신의 지식을 이상한 쪽으로 이용해 먹는다는 생각이 든다.

 

인정할 것을 온갖 현학적인 논리를 동원하여 합리화하려 하지 않나, 그 때의 관행이라는 둥, 시대적 한계라는 둥 하면서 지식인 개인의 책임은 모면하려 하고, 오로지 시대나 사회에 책임을 전가하려고 하고 있다.

 

여기에 한 발 더 나아가서는 자신의 고매한 생각을 우매한 민중들이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비판만 하고 있다고 되려 큰소리를 치고 있다.

 

머리 속에서는 세상을 바꿀 지식이 들었으니 현실에 적용하려니 자신에게 다가올 불이익이 두려워 차라리 아무 말 안하고 입닥치고 살겠다거나, 또는 현실은 현실이고 이론은 이론이라고, 오히려 현실에 적극적으로 자신을 맞추는 사람도 있으니...

 

이런 사람들이 지식인이랍시고 사회에서 인정받는 위치에 있어서 온갖 여론을 주도하고(이를 황색언론이라고 해도 무방하리라), 자신들의 침묵을, 자신들의 지행불일치를 합리화하고 있으니... 이런 세상이 어떻게 좋은 세상이라고 하겠는지.

 

사회를 어떻게 하면 바꿀 수 있을까? 구조적인 면, 개인적인 면? 지식인들은 온갖 처방을 내놓지만, 오래 전에 읽었던 소설 "트레버"의 소년보다도 못한 처방들일 뿐이다.

 

트레버는 이야기한다. 내가 세 사람에게 좋은 일을 해주고, 그 조건으로 그 사람들도 각 세 사람에게 좋은 일을 해야 한다. 이것이 계속 된다면 세상은 정말 아름다운 세상이 될 것이다.

 

그리고 트레버는 그렇게 실천한다. 소설 속에서 트레버는 비운의 죽음을 맞지만 그가 제시한 일들은 꼭 수학적인 산술대로 되지는 않지만 사람들 사이에서 실천되기 시작한다.

 

이게 바로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기 위한 방법이다. 지식인들의 온갖 화려한 문구들보다도 훨씬 현실적이고 직접적이다. 그리고 현재적이다.

 

이 발상을 거꾸로 하면 지식인들, 제발 사회에 해가 될 일을 하나씩만 하지 마라. 그리고 다른 지식인들에게도 하나씩만 하지 마라고 이야기 해라. 그러면 세상은 아마 지금보다 훨씬 아름다워 지리라.

 

여기에 반대로 리처드 바크의 "갈매기의 꿈"에 나오는 조나단 갈매기가 있다. 그는 지식인 갈매기라고 할 수 있다. 갈매기들의 일상에서 벗어나 새로운 갈매기의 모습을 꿈꾼다. 그러다 비웃음을 받고 무리에서 쫓겨난다. 쫓겨난 후 그는 자신과 비슷한 고민을 하는 집단과 자신을 이끌어줄 스승을 만난다. 그리고 예전 동료 갈매기와는 다른 갈매기가 된다.

 

여기서 끝났으면 그의 성공담으로, 지식인의 성공담에 불과했을텐데, 이 책은 한 발 더 나아간다. 그렇게 다른 존재가 된 조나단, 그는 예전 무리들에게 돌아간다. 왜냐? 자신이 깨우친 것을 그들에게 알려주어야 했으니까.

 

이게 바로 지식인이다. 지식인은 민중들이 미처 깨닫지 못한 사실을 먼저 깨달았다고 보면 된다. 그러면 그들이 할 일은 민중들에게 자신이 깨달은 것을 알려주어야 한다. 민중들도 함께 깨닫게 해야 한다.

 

이것이 그람시가 말한 유기적 지식인이기도 한다. 자신의 깨달음에서 멈추고 자신의 세계 속에서 살거나 또는 자신의 생각을 지지해주는 집단 속에서만 살거나, 아니면 자신을 더 높은 이끌 사람들에게 아부하는 것이 아니라, 민중 속으로, 자신의 원존재로 되돌아가야 한다.

 

그런 유기적 지식인... 이것이 바로 조나단 갈매기다. 그리고 '트레버'다. 무슨 무슨 학위가 있다고 지식인이 아니란 얘기다.

 

그렇다면 그런 지식인, 지금 우리 사회에 있는가? 이런 질문을 던지고 싶다. 암흑기라 할 수 있던, 엄혹했던 70-80년대에도 우리나라에서는 지식인들이 큰역할을 했는데...지금은?

 

정말, 지금은?

 

이 질문을 하게 되는 요즘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