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 평전
안도현 지음 / 다산책방 / 201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백석.

 

이제는 많이 알려진 이름이지만 예전에는 알아서는 안되는 인물이었다. 그는 단지 북한에 남았다고 남한의 문학사에서 지워진 이름이 되었다. 지워진 이름으로만 남았으면 다행이었겠는데, 그의 시집을 지니고 있으면 반공법, 국가보안법에 걸리곤 했으니, 해방 후에 태어난 세대들이 백석을 알기에는 힘든 시절이었다.

 

그런데 어느 순간 백석이라는 이름이 자주 보이기 시작했다. 대학의 논문에서도 백석 시연구가 유행을 했고, 그의 시전집이 나오기도 했다.

 

언제부터인가 백석은 일제시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시인으로 존재하기 시작했고, 중고등학교의 교과서에서도 그의 작품이 실리기 시작했다.

 

(그럼에도 난 백석 시가 좀 어렵다. 그가 구사하는 평안도 사투리가 머리 속에 잘 들어오지 않고, 머리 속에 들어오지 않으니 마음을 잘 울리지도 않기 때문이다)

 

여기에 김자야와의 일화까지 덧붙여져 백석의 숨결을 느끼러 길상사에 들르는 사람도 생길 정도가 되었으니 그야말로 백석은 우리나라 시사에서 신화적인 존재로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과언이 아니다.

 

이런 그를 언제 죽었는지, 일제시대가 아닌 남북으로 분단된 다음에는 어떤 활동을 했는지 알 수가 없었는데, 다행이 최근에 와서는 그에 대한 자료를 구할 수가 있게 되었다.

 

이런 자료들을 바탕으로 또 직접 시인이 만나고 다녀서 조사한 바를 정리해서 완결된 '백석 평전'이 나왔다.

 

'연어'로 유명한 또는 소위 '연탄재'라고 알려진 '너에게 묻는다'라는 시로 유명한 안도현이 자신이 존경하는 백석에 대해서 평전을 쓴 것이다.

 

안도현은 자신에게 시인의 길을 알려준 사람이 백석이라고 한다. 또 우리나라 시인들이 뽑은 대표적인 시집에서도 백석의 '사슴'은 열 손가락 안에 드는 시집으로 뽑히기도 했으니, 그의 영향을 받은 시인은 이 책에서도 언급하고 있지만 한둘이 아니다.

 

그 중 이 책의 뒷부분에 실려 있는 이동순의 글을 보면 안도현이 백석의 영향을 다분히 받았음을 알 수 있는데, 여기에 유명한 시인 한 명을 더 덧붙이자면 '신경림' 시인 역시 백석을 존경하고 그의 시에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안도현, 시인으로도 성공했다고 할 수 있는, 어쩌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대중적인 시인이기도 한 그가 그에게 영향을 준 시인인 백석에 대해서 연구하고 책을 낸 것은 자신을 돌아보는 계기로 삼았다고도 할 수 있을지 모른다.

 

무엇보다도 이 책의 장점은 분단이 된 이후 북한에서의 백석의 활동을 마치 눈으로 보는 듯하게 표현해내고 있는 안도현의 표현력이라고 할 수 있다.

 

잘 알려지지 않은 분단 이후의 삶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작가는 살아 있는 표현을 하고 있어서 백석의 전 생애를 연결지을 수 있어서 좋았다.

 

게다가 평전이라고 해서 일반 위인전처럼 생애를 간추리고 작가의 평을 간략하게 써넣는 것이 아니라 백석 시를 감상할 수 있도록 책의 곳곳에서 그의 삶과 시를 함께 보여주고 있다.

 

그래서 이 평전을 읽어가다 보면 자연스레 백석 시를 만나게 되고, 백석 시가 왜 좋은지를 느낄 수 있게 된다.

 

또 시만이 아니라 백석의 수필도 많이 수록하고 있어서 백석 글의 특징을 알 수 있다는 점도 좋다.

 

백석의 공과를 떠나서(사실 그에게 공과를 따질 수는 없다. 그는 어떤 이념적 지향을 지니고 있었다기보다는 그냥 고향이 북쪽이었고 가족이 그곳에 있었기에 거기에 남았다고 하면 된다. 공과를 따진다면 그와 관련된 여인들 정도라고 해야 하나) 그는 시인으로 살았고, 시인으로 우리에게 남았다고 보면 된다.

 

천상 시인은 시인이다. 시인에게서 시를 앗아갔을 때 그 때 시인은 살아도 산 것이 아니니, 그가 시를 쓰지 못하게 된 1963년 이후의 백석은 우리에게서 자연스레 잊혀져 갔을 뿐이다.

 

다만 그 이전의 시들은 우리에게 남아 끊임없이 백석이라는 이름을 우리가 기억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백석의 위대한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덧글

 

이 평전을 읽으면서 안도현도 이야기하고 있지만, 일제시대 가부장제가 극심한 그 시대에 백석은 결혼을 두 번(혹은 세 번)이나 하고도 도망치고 만다. 그렇다면 그와 결혼을 했던 여인들은 어떻게 됐을까? 이 책에서는 모른다고 한다. 다만 그들이 결코 순탄치 않은 삶을 살았을 것만은 분명하다고 당시 일어났던 사건을 예로 들어주고 있다.

 

결벽증에 가까운 태도를 지니고 있던 백석이 이런 여인들에게 준 상처를 마음에 담아두고 있었을까? 그런 궁금증...

 

읽다가 의문이 생기는 부분이 몇 군데 있었는데... 물론 전체적인 글 내용에는 치명적이지 않은 그리 중요하다고는 할 수 없는 부분이지만, 그래도 평전인데... 정확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부분.

 

우선 110쪽 날짜 계산에서 이해가 안 되는 부분.

'정월 대보름이라면 양력으로는 1월 9일이다.'는 구절이 있는데, 통상 음력이 양력보다는 빠르다. 하여 달력변환기로 찾아보았더니 음력으로 1936년 1월 15일은 1936년 2월 7일인데...

그냥 보름이라고 하면 음력으로 1935년 12월 15이 양력으로 1936년 1월 9일이니 이해가 되는데... 정월대보름이라고 해놓고 어떻게 양력 1월 9일이라고 하는지 알 수 없다. 이는 백석이 통영을 방문한 기간을 확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

 

또 백석과 만난 여인들 이야기 중에서 최정희, 노천명, 모윤숙에 관한 부분

95쪽에서는 '백석보다 여섯 살이 많은 최정희는...'이라고 했는데, 159쪽에 가면 '백석하고 최정희는 동갑이었고, 노천명은 이들보다 한 살이 많았으며...'라고 했다.

최정희를 인터넷에서 찾아보면 어떤 곳은 1906년생이라고 하고, 어떤 곳은 1912년 생이라고 하는데, 무엇이 정확한지 이 평전에서 알려줘야 하는데, 두 나이가 함께 나오고 있다. 어느 것이 맞을까?

그리고 노천명도 찾아보니 1912년 생이라고 되어 있는데, 그러면 백석하고 동갑인데, 호적이 잘못된 것인가? 이에 대한 이야기가 보충설명이 되었으면 더 좋았을 거란 생각이 든다.

 

280쪽. 아주 사소한 것

'암말과 당나귀 수컷 사이에서 태어나는 2세가 노새다. 노새는 당나귀보다도 체구가 작다'고 했는데, 교배하여 노새를 낳게 하는 이유가 당나귀보다도 힘이 센 동물을 만들기 위해서 아니던가. 그러면 상식적으로 노새가 말보다는 작겠지만 당나귀보다는 커야 한다.

여러 자료를 찾아보면 평균적으로 노새는 당나귀보다도 체구가 크다.

 

내 책만 이런가? 이미 수정이 된 것인가. 혹시 잘못 본 것이 아닌가 해서(가끔 눈이 나를 배신하는 적이 있으니) 여러 번 보았는데 2014년 6월 30일 초판 3쇄인 내가 본 책은 이렇게 되어 있다.  

 

참 사소하다. 그렇지만 적어도 작고 하찮고 쓸쓸한 것들에 관심을 가지는 시인이 쓴 평전이니 한 번 살펴보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