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말로 좋은 날
성석제 지음 / 문학동네 / 200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석제 소설의 유쾌함. 그걸 기대하면서 그의 소설을 읽는다. 대부분 그의 소설은 화려한 입담에 기대어 읽는 재미를 느끼게 한다. 유쾌한 반전, 풍자 등 읽으면서 즐거워진다.

 

제목도 그러하다. "참말로 좋은 날" 재미있을 것 같지 않은가.

 

그런데 내용이 아니다. 제목과 따로 놀고 있다. 제목이 소설의 내용을 더욱 증폭시켜 주고 있다. 제목과 어울리지 않는 작품들이 모여 있는데, 이 소설집의 소설들은 칙칙한 내용들이 많다.

 

소설은 문제적 시대에 문제적 개인을 다룬 작품이라고 하기도 하는데, 그만큼 현대사회는 순수를 잃은 사회이고, 이 사회에서 잘 살아가기 위해서는 순수하고는 거리가 먼 인간들이 등장해야 한다는 얘기다. 그런 인물들을 다루고 있는 작품들이 현대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런 문제적 개인이 아니라, 오히려 순수성을 지닌 인간이라면? 과연 문제 시대에 살아남을 수 있을까? 이 소설은 거기에 대한 답을 주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대부분 비극적인 결말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등장인물들의 죽음이나 또는 제대로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는 인물들을 이 작품이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첫작품부터 그러한 내용이 전개되는데, 마지막 작품인 '저만치 떨어져 피어 있네'에서 정점을 이룬다.

 

김소월의 '산유화'에서 따왔음직한 제목을 달고 있는 이 단편은(중편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사회의 비루함에 속하지 못하고 순수함을 지키려고 하는 모습이 오히려 비루함이 되는 그러한 사람을 다루고 있다.

 

미대에 나와 작품전에도 수차 입선했음에도 자신만의 작품을 만들겠다고 하다가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혼자 떨어져 나올 수밖에 없었던 주인공. 그런 주인공이 전세로 든 집이 경매로 넘어가자 겪게 되는 이야기가 펼쳐지는데...

 

가족간의 갈등 중에서 돈이 차지하는 비중이 80%정도가 된다고 하는데, 돈이 없는 가정이 어떻게 파탄이 나는지를 이 작품을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처절할 정도로 무능한 주인공이 청력을 잃어가는 아내와 점점 자신의 현실을 비관하는 딸, 그리고 더이상은 어찌해볼 수 없는 경제적, 사회적 무능력 속에서 파탄되어 가는 모습.

 

이것이 어찌 소설 속 현실이겠는가.

 

심심찮게 뉴스에 나오는 모습 아니던가.

 

기껏 없는 돈을 내어 전세를 얻었는데, 그 집이 경매에 넘어가고 아무런 보상도 받지 못하고 쫓겨나는 신세가 되는 사람들. 이런 일이 현실에서는 부지기수로 일어나는데...

 

이 현실을 소설 속에 담아내어 그 비극성을 도드라지게 표현해내고 있는데...

 

저만치 떨어져 피어 있네에서 저만치... 결국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함께 하지 못한다는, 그래서 파멸로 치달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이 작품을 통해서 잘 보여주고 있다.

 

제목과 달리 유쾌함을 얻지는 못했지만, 지지리도 어두운 현실을 깨달았다고나 해야 할까... 아직도 진행중임을...

 

이제는 의료민영화까지 되면 도대체 없는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가라고 하는지...

 

언제 "참말로 좋은 세상"이 올지... 정말.

 

그나마 그래도 비극적으로 끝나긴 하지만, 웃음을 유발하는 작품이 '고귀한 신세' 정도일 것이고, 나머지 작품은 제목과는 다르게 주변부로 계속 밀려날 수밖에 없는 사람들의 삶을 형상화하고 있는 작품집이다.

 

그래서 현실성을 확보하고 있는지 모르겠지만... 소설 속 현실이 실제 현실이 아니었으면 하는 마음... 제목따라 '참말로 좋은 세상'이 왔으면 하는 마음이 들게 한 소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