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중학교 입학생부터 소프트웨어 수업 의무화

 

  내년도 중학교 입학생부터 소프트웨어 교육이 의무화되는 등 초,중,고 교육과정에서 소프트웨어 교육이 대폭 강화된다. 

- 한겨레신문 2014년 7월 24일자. 20면에서.

 

뉴스에서 이 소식을 듣고, 뭐야 하는 마음이 들었는데, 신문 기사를 읽으며 과연 이것이 소프트웨어 산업을 살리는 길이 될까 하는 의문이 들었다.

 

어쩌면 본말이 전도된 대책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는데... 어쩌면이 아니라 이것은 본말이 전도된 대책일 뿐이다.

 

어떻게 우리나라 소프트산업의 위축을 국민공통과정이라고 할 수 있는 초중고 교육과정에 책임을 떠넘길 수가 있는지.

 

하드웨어는 세계 최고를 자랑하지만, 그 하드웨어를 작동시키는, 또는 하드웨어를 더욱 쓸모있게 하는 소프트웨어는 다른 나라의 것을 쓰고 있다고, 막대한 부의 손실과 세계적인 추세에서 뒤쳐지고 있다고 호들갑들이다.

 

그래서 초등학교에서도 중학교에서도 하다못해 고등학교에서도 소프트웨어 교육을 해야 한다고 한다. 아니, 한다고 한다. 내년부터.

 

교사 충원 고민도 없이, 학교 현장의 시설에 대한 고민도 없이...

 

무엇보다도 그런 교육이 왜 국민기본공통교육과정에서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도 없다.

 

우리나라 소프트웨어 산업이 외국에 비해 뒤떨어진 것, 잘 생각해 보라. 우리나라가 과연 기초 과학에 투자를 하는가? 연구원들에게 투자를 하는가? 이런 것들에 대한 생각은 전혀 없이 무조건 모든 국민이 소프트웨어에 대한 교육을 받으면 소프트웨어 강국이 자연스레 된다고 생각하는지.

 

오히려 소프트웨어는 창의적인 몇몇이 생계 걱정을 하지 않고 거기에 전념할 때 나올 수 좋은 프로그램이 나올 수 있는 것 아닌가?

 

전국민에게 별 관심도 없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하기보다는 이 분야에 관심있는 사람들이 맘 놓고 연구하고 실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어야 하는 것 아닌가.

 

왜 우리나라에서 공부 잘한다는 학생들이 이공계, 특히 자연과학 또는 순수학문 분야로 나아가지 않고 의대로 진학하는지 고민을 해봤는지...

 

순수학문이 바탕이 되면 그 바탕 위애서 다양한 과학적, 기술적 성과들이 집적될 수 있을테고, 또한 연구원들이 생계 걱정을 하지 않고, 직장에서 떨어져 나갈 걱정을 하지 않고 연구 실험할 환경이 조성된다면 자연스레 소프트웨어 산업은 발전할 수밖에 없다.

 

그것은 초중고 교육과 상관이 없다. 왜 억지로 갖다 붙여서 애꿎은 초중고 학생들 학습량만 늘리려 하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그러니 학교 교육은 촘스키가 책의 제목에서 말한 대로 "실패한 교육과 거짓말"이 될 수밖에 없지 않은가.

 

기껏 사회에 나가 쓰지도 않을 소프트웨어 교육에 몇 년을 허비하게 만드는 교육을 받은 아이들이 도대체 교육을 통해 어떤 성공을 할 수 있다는 건지...

 

계속되는 교육의 실패로 우리나라 학생들은 세계에서 가장 학교를 싫어하는 학생들이 되어 있고, 공부는 학교에서만 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배움이 평생간다는 생각을 하지 않고, 하루라도 빨리 대학에 들어가기만을 고대하고 있지 않은가.

 

이런 학생들에게 한 과목을 더 추가한다니... 누구를 위해서? 자라나는 아이들이 잘 취업하게 하기 위해서? 아님, 우리나라 국가 경쟁력을 위해서? 아님, 소프트웨어 산업을 위해서?

 

다 아닐 거라는 생각이 든다.

 

소프트웨어 산업을 살리기 위해서는 순수학문을 하겠다는 학생들이 늘어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하고, 연구원들이 마음 놓고 연구하고 실험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도록 정부가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주어야 한다.

 

그게 먼저다. 그리고 그게 다다. 왜 자라나는 아이들에게 또 하나의 고통을 전가하려고 하는지 이해할 수가 없다.    

 

촘스키.. 방향은 다르지만 그 역시 미국의 교육을 통렬하게 비판하고 있었는데... 우리 교육, 마찬가지다.

 

어째서 이런 방안이 나왔는데, 교육 분야에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가만히 있을까? 무엇이 우선인지 그들은 잘 알텐데...

 

아님, 내가 잘못 생각하고 있는 건가? 

 

하지만 적어도 이런 문제는 정말로 오랫동안 많은 사람들이 머리를 맞대고 고민한 다음에 대책을 내놓아야 하는 것 아닌가. 학교 교육과정에 적용하려면. 이렇게 즉흥적이어선 안된다. 그리고 소프트웨어 산업을 진작시키는 해결방법으로 이것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