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신 - 오직 한 사람을 위한 시대
한홍구 지음 / 한겨레출판 / 2014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내일은 없다"

 

어디서 많이 들어본 말 아닌가? 이 말은 텔레비전에서 심심치 않게 나오는 말이기도 하다. 주로 일본인들이 망언을 했을 때 우리가 하는 말로.

 

그러나 이 말은 다른 민족을 향해서 하기보다는 자기 민족을 향해서 해야 한다. 역사를 기억하는 일은 그 민족의 행복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것이 다른 민족과 얽힌 문제라고 하더라도 역사를 기억하자는 말은 그 민족이 그 민족을 향해서 행해야만 한다.

 

우리의 예를 들어보면 일본이 우리나라를 강제점령했고, 온갖 만행을 저질렀다는 사실을 우리는 알고 있다. 그런데 일본 지배층이 인정을 안 한다. 이 때 우리는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내일은 없다"는 말로 경고를 한다. 그 경고는 유효하고 필요하다. 그렇다고 이렇게 경고만 해서 되는가? 안 된다. 이 경고를 우리에게도 향해야 한다.

 

우리는 식민지배를 당한 뼈아픈 경험을 안고 있다. 어떻게 그렇게 식민지배를 당하게 되었는지 철저하게 공부해야 한다. 그리고 기억해야 한다. 그것이 우리가 역사를 잊지 말아야 할 이유이다. 역사를 반복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 가해 민족에게 너희들의 잘못을 인정하고 잊지 말라고 해야만 하지만, 피해 민족도 그들이 겪었던 일을 결코 잊어서는 안된다. 그들이 역사를 잊었을 때 그들은 또다시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한홍구의"유신"을 읽으며 일본 지배층에게 하는 이 말을 바로 우리에게 돌려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벌써 한 해가 지났다. 한홍구가 온몸으로 유신에 대한 글을 쓴 지가. 그리고 역사는 반복(?)되었다. 이 책의 논리대로 한다면 우리는 또다시 유신의 시대에 살고 있는 셈이다.

 

현 대통령에게 유신의 책임을 물을 수는 없지만, 적어도 유신에 대한 명확한 인식은 요구할 수 있고, 정확한 역사 인식 속에서 과거를 확실하게 청산하고 앞으로 나아가도록 요구할 수 있다. 그렇게 하지 못하면 무엇하러 역사를 공부하겠는가?

 

하여 역사를 공부한 사람들은 사람들에게 역사적 진실을 알리는 일을 적극적으로 해야 하고, 사람들이역사를 잊지 않고, 역사 속에서 교훈을 얻어 현재를 바르게 살아가도록 해야 한다.

 

오죽했으면 태사공 사마천이 자신의 역사서에 자객열전이라든지, 또는 간신들의 이야기까지 집어넣었겠는가. 타산지석이라고 역사에서는 배우지 못할 일이 없음을 이미 먼 옛날 역사가들이 보여주고 있지 않은가.

 

그런데... 지금 한국 현대사를 공부한 사람들, 또 지식인이라는 사람들, 그들은 과연 역사를 기억하고, 역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무슨 일을 했는가? 이 책은 그런 질문을 또 하게 만든다.

 

읽어가면서 너무도 가슴이 먹먹해져서, 더 읽고 싶지 않아지는 책이기도 했는데... 이미 한겨레 신문에 연재가 된 글이고, 가끔은 읽어본 글이기도 하지만, 책으로 묶여 나오고, 유신에 관한 역사를 이어서 주욱 읽으려니 마음이 너무도 무겁다.

 

이 책에 나오는 사건들만 살펴보자. 유신시대에 얼마나 많은 일들이 일어났는지.

 

국회의원의 일정비율을 대통령이 임명(소위 유정회), 김대중 납치사건. 민청학련 사건. 인혁당 재건위 사건. 육영수 여사 저격사건. 장준하 의문사. 동일방직 인분 사건. 반도상사 노동조합과 중앙정보부. 도시산업선교회. 자유언론실천선언. 동아일보 백지광고 사건. 무등산 타잔. 베트남 파병. 기지촌. 통일벼. 원자력발전. 중학교 입시폐지와 고교평준화. YH사건. 남민전 사건. 김형욱 실종 사건. 부마항쟁 등등

 

이게 1972년부터 1979년에 일어난 우리 역사다.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이 책은 유신에 대해서, 유신시대에 일어났던 일들에 대해서, 그러나 우리가 잘 알지 못했던, 또는 잘못 알고 있었던 일들에 대해서 현대사 전공자답게 구체적인 자료들을 동원해서 알려주고 있다.

 

여기에 글쓴이인 저자의 감정까지도 실려있어, 객관적인 역사 서술책이라고 하기보다는 동시대를 살았던 역사가가 자신이 체험했던 역사를 기억하기 위해서 온몸으로 쓴 책이라고 하는 편이 더 좋겠단 생각이 드는 책이다.

 

역사를 잊지 말아야 한다고, 그것을 다른 민족에게만 이야기하지 말고, 우리 자신에게 이야기하자고.. 정말 우리는 역사를 기억하고 있는가?

 

'겨울공화국'이라고 불렸던 유신시대를 기억하고 있는가? 그 때 죽어간 사람들을 기억하고 있는가? 노동조합을 만들었다는 이유로 똥물을 뒤집어쓴 사람들을 기억하고 있는가? 파업을 했다는 이유로 온갖 탄압을 받았던 사람들... 그들의 그 투쟁에 힘입어 민주노조가 건설되었음을 기억하고 있는가?

 

유신시대... 글쓴이는 이 유신을 쿠테타라고 부른다. 한 사람이 두 번이나 쿠테타를 일으켰는데... 그 역사 사건을 단죄하지 못했기에 또 다른 쿠테타가 일어나(12.12사태)이 되었음을 우리는 역사를 통해서 알 수 있는데...

 

이런 역사를 통해서 배웠다고 생각했는데... 이 책은 우리가 먹고 사는 일에 침윤되어서 다시 과거로 회귀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돌아보게 한다. 아마 글쓴이는 요즘 한국현대사 교과서 문제를 바라보면서 참담한 심경이 되었을 것이다.

 

한국현대사에서 최근이라고 할 수 있는 유신시대에 대해서도 이렇게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고, 역사의 판단에 맡겨야 한다는 둥의 판단유보 또는 그래도 그 시절이 있었기에 우리가 먹고 살 수 있지 않았느냐는 반론이 일어나고 있는데... 이 유신시대보다 조금 먼 일제시대에 대해서 온갖 왜곡이 일어나고 있는 현실에서 정말 우리는 역사를 기억하고 있는가 하는 의문이 든다.   

그래서 글쓴이는 피를 토하는 심정으로 이 책을 썼을 터인데... 이렇게 책을 쓴 이유는 우리가 역사를 잊어서는 안되기 때문일텐데...

 

우리 다시 한 번 기억하자.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내일은 없다." 

 

우리 역사를 기억하자.

적어도 안 좋은 역사가 되풀이 되지 않도록 꼭 기억하자.

우리가 어떤 세상을 겪어왔는지...

그 때 우리는 어떤 꿈을 꾸었는지...

그 꿈이 지금 이루어지고 있는지, 이루려고 노력하고 있는지.

 

역사는 바로 우리를 비추는 거울이다. 우리가 나갈 방향을 알려주는 나침반이다.

이 책은 우리에게 역사를 기억해야 한다고, 우리가 기억해야 할 역사가 바로 이것이라고 절규하고 있다. 이 절절한 외침... 듣자. 그리고 기억하자. 잊지 말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