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한국사회 - 단지 공화국에 갇힌 도시와 일상
박인석 지음 / 현암사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재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주거 형태는 아파트다. 전통 건축이라고 할 수 있는 한옥은 시골에서 허물어져 가고 있으며, 전주에 한옥마을에 한옥이 남아 있고, 서울 북촌에 역시 한옥이 남아 있을 뿐이다.

 

그래서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주거 형태로 한옥을 뽑기에는 무리가 있다. 왜 이렇게 아파트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주거 양식이 되었을까? 이런 질문을 이제는 별 의미가 없다. '왜?'라는 질문보다는 '어떻게?'라는 질문이 지금에 더 필요하기 때문이다.

 

아파트가 문제라고, 성냥갑이라고 쉽게 비판을 하지만, 이 책의 저자는 아파트가 문제가 아니라고 한다. 진짜 문제는 아파트가 아니라 아파트 "단지"라고 한다. 즉 아파트가 거대한 하나의 집단으로 공간을 차지하고, 외부와의 단절을 스스로 만들어간 것이 문제가 되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서 우리는 "아파트 단지"를 선호하게 되었을까? 이것은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어느 정도 중산층의 반열에 오른 사람들에게 거주할 장소를 마련해주어야 하는데, 중산층에게는 단지 살 집만이 아니라, 함께 생활할 다른 공간도 필요했기에, "단지" 중심으로 꾸며진 아파트에는 온갖 문화시설부터 생활의 편리성이 갖춰졌기 때문이라고 한다.

 

즉 국가나 사회가 공적으로 갖추어야 할 기본적인 기반 시설을 마련하려고 하지 않고, 그것을 국민 개개인에게 미루었기에, 부족한 사회기반을 "단지"를 통해 해결하고자 했다는 것이다. 아파트 단지는 그래서 하나의 독립된 공간으로 자족적인 공간으로 존재하게 되고, 주변 환경과는 동떨어진, 고립된 지역으로 존재하게 되었다고 한다.

 

이런 아파트 단지는 사회의 공간을 단절, 분절시키고 있어서 그것이 더 문제가 되지, 아파트 자체의 문제는 아니라고 한다.

 

아파트는 우리나라 전통적인 한옥의 구조를 택하고 있기에 한국 사람의 심성에 어느 정도 맞기에 사람들이 좋아하게 된 것이고, 아파트들이 대표적으로 택하고 있는 남향은 우리나라 기후 조건에 맞는 형태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렇듯 아파트에서 사람들이 살고 싶어하는 이유가 있는 것이다. 다만 지금의 아파트에 부족한 것은 공공성의 확보다. 아니, 단절되고 분절된 삶을 연결하는 일이다.  아파트 단지에 갇혀서 사는데, 이것도 모자라 이제는 아파트 자체에도 갇혀서 살고 있는 현실이기에...

 

이런 단절을 극복하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아파트 단지를 개방형으로 재구획할 수 있어야 하고, 아파트에서는 발코니를 활용하는 방법을 생각해 봐야 한다고 한다. 개인적인 공간인 발코니를 준공적인 영역, 또는 준사적인 영역으로 바꿀 수 있는 방법이 발코니의 샤시를 제거하고 개방하는 일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런 발코니를 자신들의 취향에 맞게 가꾸는 일이라고 한다. 그러면 집의 개성도 살리고, 또 옆집과 교류도 할 수 있는, 또는 지나가는 사람과도 소통을 할 수 있는 그런 장소로 발코니가 재탄생할 수 있고, 아파트의 단절성도 극복할 수 있을 거라고 한다. 새겨들을 말이다.

 

어차피 이제 아파트를 벗어날 수 있는 방법은 별로 없다. 그렇다면 아파트를 우리의 생활에 필요한 장소로 확보하는 일이다. 나무형 구조로(단선적이고 일방적인 움직임을 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루어진 아파트 단지를 그물형 구조(복잡하고 다양한 움직임이 일어나는 구조, 따라서 우연적인 만남이 수시로 일어날 수 있는 구조)로 바꾸어야 한다고 한다.

 

아파트 단지 내에 주차장을 없애고 보행로를 만들고, 아이들이 뛰어놀 수 있게 만든 단지도 있는데, 이것도 공공영역으로 만들어내는 한 방법이 되겠다는 생각도 든다. 여기에 아파트 단지가 외부에 개방될 수 있도록 구조를 바꿀 수 있으면 금상첨화겠고.

 

결국 사람이 살아가는 일은 사람과 사람이 만나는 일이다. 그렇다면 사람과 사람이 의식적이든, 우연이든 만날 수 있는 공간이 도처에 마련되어 있어야 한다. 필연성과 우연성이 중첩될 수 있는 구조, 그러한 도시 계획. 그것이 필요하다.

 

거리가 직선으로만, 일방으로만 만들어져서도 안된다. 거리는 우연들이 만날 수 있는 공간이 되어야 한다. 그런 거리와 아파트 단지가 긴밀하게 연결이 된다면 우리가 굳이 아파트가 문제라고 할 이유는 없다.

 

지금 존재하고 있는 "아파트 단지"를 비판하는 것을 넘어서 사람들의 접속이 잘 이루어질 수 있는 구조로 개조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한 제안이 책의 마지막 부분에 실려 있는데, 생각을 많이 하게 하는 부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