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시작하는 철학
로제 폴 드르와 지음, 박언주 옮김 / 시공사 / 201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 사람은 철학이 없어." 또는 "그 사람은 철학이 있어." 또는 "그 정책에는 철학이 없어." 또는 "그 정책에는 철학이 있어."

 

흔히 하는 말이다. 여기서 쓰이는 철학이 어떤 의미로 쓰이는지는 문맥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이 될 수도 있지만, 어떤 경우에는 일관성으로, 어떤 경우에는 진리로 쓰이기도 한다.

 

일관성이나 진리, 같지 않을 것 같은 용어가 한 단어에서 쓰이는 것은 그만큼 철학이라는 말이 함의하고 있는 뜻이 단순하지 않다는 말이기도 하겠다.

 

하지만 조금 더 나아가 보자. 일관성이란 자신이 생각이나 행동을 변함없이 꾸준히 유지한다는 뜻인데, 그러기 위해서는 자신의 생각이나 행동을 뒷받침할 수 있는 그 무엇이 있어야 한다. 그 무엇이 없다면 일관성을 유지하기는 불가능하다.

 

그 무엇이 무엇일까? 그것을 신념이라고 해도 좋다. 그렇다면 신념은 어디에서 오는가? 옳다는 믿음에서 오지 않을까? 옳다는 믿음으 어디에서 오는가? 이렇게 꼬리에 꼬리를 무는 생각들을 해보면 결국 일관성은 진리와 연결이 된다.

 

진리라고 생각하기에, 믿기에 일관성을 지니고 살아가지 않겠는가? 그렇다면 결국 철학은 진리의 문제가 되는데...

 

사람이 태어나서 의식을 갖게 되면서 도대체 나는 무엇인가? 나는 누구인가?라는 자신에 대한 질문을 하게 되면 자연스레 남에 대한 질문도 하게 되고,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세상에 대해서 질문도 하게 된다.

 

왜? 왜? 어떻게? 어떻게?

 

그러한 질문들이 앎으로 나아가고 앎은 다시 행동으로 나아간다. 그러므로 앎과 행동은 하나가 될 수밖에 없다. 알고도 행하지 않을 때 그를 철학이 있는 사람이라고는 하지 않으니 말이다.

 

참 별거 아닌 거 같은 질문이 별거로 존재하게 되고, 누구나 질문하는 문제가 특정한 사람만이 질문하는 것처럼 여겨지는 사회는 잘못된 사회이다. 우리 교육이 그렇다. 도대체 우리는 철학에 대해서 배운 적이 있던가? 아니 철학을 가르치려고 했던가?

 

철학이 우리 삶에서 뗄레야 뗄 수 없는 존재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학교 교육에서 철학을 너무도 홀대하지 않았나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는데, 어쩌면 철학을 홀대했다고 하기보다는 철학을 너무도 위대한 그 무엇으로 인식해서 감히 가르치고 배울 엄두를 내지 못했다고 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든다.

 

마치 철학은 특정한 어떤 뛰어난 사람들만이 하는 학문으로.

 

하지만 아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어떻게 살아갈까? 도대체 어떤 삶이 좋은 삶일까?를 늘 고민한다. 이것이 철학이다. 좋은 삶은 진리를 추구하는 삶일테고, 그러한 진리에 대해서 안다는 것은 그렇게 살아가려는 노력을 한다는 뜻이니까 말이다.

 

이런 식으로 이야기를 풀어가고 있는 것이 바로 이 책이다. 철학을 서양에 국한했다는 한계는 있지만, 이는 저자가 머리말에서 밝히고 있듯이 동서양의 모든 철학을 아우르는 것은 자신의 능력 밖이라고 하니, 우리가 이해할 수 있다.

 

동양철학에 대한 작업, 이슬람 철학에 대한 작업은 다른 사람들이 할 몫이라고 이해하면 이 책은 유럽 중심의 철학에 대해서 명료하게 잘 설명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을 만한 책이다.

 

총 스무 명의 철학자가 나온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루크레티우스, 스토아학파, 아우구스티누스, 마키아벨리, 몽테뉴, 데카르트, 파스칼, 스피노자, 라이프니츠, 볼테르, 디드로, 루소, 흄, 칸트, 헤겔, 토크빌, 마르크스, 니체

 

이 중에 마키아벨리와 토크빌을 제외하고는 우리가 평소에도 철학자로 인정하고 있는 사람이고, 이 둘도 이 책을 읽어보면 왜 철학자로 다루고 있는지를 알 수 있다.

 

이들에 대한 철학적 내용은 이 책을 읽어보면 알 수 있으니, 언급은 삼가하고...

 

그들의 생애와 철학을 연결지어서 이야기를 하고 있으며, 한 사람의 철학에 대한 이야기가 끝나고 그를 알기 위한 책 소개와 그와 연결되는 다음 철학자에 대한 간략한 소개가 책을 더 쉽게 읽게 하고 있다.

 

철학.

 

철학자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우리도 어떻게 하면 잘 살 수 있을까 지금도 고민하고 있지 않은가? 그런 때 비록 서양철학자에 국한되었지만 그들의 고민이 무엇이었는지 안다면 지금 여기서의 우리 고민을 우리 스스로 해결하는데 어떤 시사점을 얻을 수 있지 않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