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과 좌절 - 노무현 대통령 못다 쓴 회고록
노무현 지음 / 학고재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대붕역풍비 생어역수영(大鵬逆風飛 生魚逆水泳)"

 

김구 선생이 했다는 말을 정치인 노무현이 부산에서 출마할 때 다시 썼다는 말이다.

 

시류에 굴복하지 않고 시류를 거슬러 옳음을 추구하는 모습. 그것이 바로 대붕이고, 살아 있는 물고기라는 얘기다.

 

그래서 그는 지역구도의 타파를 위해 당선이 가능한 종로를 포기하고 부산으로 내려간다. 결과는 낙선이었다. 그럼에도 노무현이라는 이름은 우리들의 뇌리에 깊숙히 박히게 된다.

 

그는 이 책에서 말한다. 자신이 대붕인지 아닌지는 모르겠다고. 하지만 그가 시류에 휩쓸리지 않고 자기만의 길을 걸었다는 데는 다른 말을 할 사람이 없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이 책의 제목이" 성공과 좌절 "이듯이 그리고 자신이 나중에 할 수 있는 일이 자신의 일생을 되돌아보고 회고록을 쓰는 일밖에는 없다고 했듯이 자신의 삶을 반추하면서 무엇이 성공이고, 무엇이 실패였을까 되짚어보는 일도 의미가 있다는 생각이 드는데, 결국 이 책은 노무현의 손에 의해 쓰여지지 못했다.

 

그의 사후 그의 글들을 모아 다른 사람들이 펴낸 책이긴 하지만, 그래도 노무현의 마지막 육성이 담긴 글이라는 점, 자신의 인생에 대해 이야기한 책이라는 점에서 회고록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 표지에는 '나의 실패가 여러분의 실패는 아니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갈 길을 가야 한다. 여러분은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사는 세상을 살 수 있을 것이다.'고 쓰여 있다.

 

노무현이 우리에게 하고 싶은 말이자, 당부의 말일텐데..

 

그가 대통령이 되어 한 일 중에 잘한 일과 못한 일이 있고, 성공한 일과 성공하지 못한 일이 있을텐데, 그것에 대한 엄정한 평가는 역사에 의해서 이루어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그는 정치에서 남들이 생각하는 것보다는 실패를 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그의 정권이 실패했다고 규정하는 것은 언론이고, 언론은 참여정부의 공과를 객관적으로 검증하기 보다는 실패 쪽에 무게를 두고 그를 과장하여 보도하였다고 생각한다.

 

권력이 시장으로 넘어갔으며, 특히 언론은 그들만의 막강한 권력을 휘두르고 있었다고 한다. 언론과 사이좋게 지내지 못했던 노무현은 그의 정책이 언론의 지지를 받지 못해, 언론을 통해 정보를 얻게 되는 일반 국민들에게도 오해를 받았다는 생각을 한다.

 

여기에 진보진영의 분열이 치명적이었으며, 심지어는 그를 지지하던 정당조차도 분열되어 버렸으니, 그의 정책이 제대로 펼쳐지기는 힘들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그가 대통령이 되어 가장 하고 싶었던 일은 이제 우리나라 정치를 한 단계 끌어 올려 대화와 타협이 가능한 정치 풍토가 되게 하는 것이었고, 한반도에는 평화가 정착되게 하는 것이었으며, 노동자도 사람대접 받으면서 사람답게 사는 세상을 만드는 것이었을텐데...

 

한 개인인 노무현과 대통령 노무현은 처지가 다르기에 생각도 다르게 해야 하고, 행동도 다르게 해야 한다는 주장. 그렇겠단 생각이 든다.

 

대통령은 더 많은 것을 보고, 더 많은 것을 생각해야 하고, 더 많은 것에 대해 고민해야 하고, 더 많은 것이 걸려 있으니 말이다.

 

하지만, 그의 말대로 과연 서민 경제가 더 나빠지지 않았을까. 그는 중산층이 괴멸되어서 그렇다고 말을 하는데, 그리고 중산층의 괴멸은 과거 정부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는데, 왜 그 중산층이 자신에게서 떨어져 나갔는지를 고민해봐야 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 이미 지난 일이지만...

 

서민들이 과연 언론의 보도만을 믿었을까. 그들이 체감하는 경기가 바로 언론에 나와 있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많은 생각들이 든다.

 

그럼에도 그는 우리나라 정치를 한 단계 끌어올린 정치가라는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그가 어렵사리 끌어올린 정치 수준이 다시 과거로 회귀하고 있다는 불안감이 있는데, 민주주의를 경험한 사람들은 독재를 인정할 수 없듯이 한 단계 끌어올려진 우리나라 정치, 다시 밑으로 곤두박질 치게 국민들이 내버려두지는 않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그에게는 애증이 교차하는데... 인간 노무현에게는 무한한 애정을, 정치인 노무현에게는 애정에서 미움으로 변했었는데...

 

이제는 아니다. 이미 그는 갔고, 그가 원했던 세상은 오지 않았으며, 그런 세상은 이제 온전히 우리 몫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가 대붕이었든 아니었든, 판단을 못하겠지만, 그가 살아 있는 물고기였음은 확실하다는 생각. 우리도 대붕이 되지는 못하더라도, 살아 있는 물고기는  되어야겠다는 생각.

 

그렇게 되려면 역사인식이 있어야겠고, 우리 사회를 파악하는 눈을 지녀야겠고, 또한 행동하는 실천력도 지니고 있어야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