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사의 도전 - 배움이 달라지는 수업 철학
사토 마나부 지음, 손우정 옮김 / 우리교육 / 2013년 3월
평점 :
배움의 공동체가 유행이다.
유행이라는 말보다는, 교육의 방향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교육이라는 말이 외부에서 타율적으로 주어지는 결과만을 추구하는 그러한 교육이라면, 배움은 반대로 내부에서 자율적으로 무언가를 만들어가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에 나와 있는 대로 대상과의 대화, 타인과의 대화, 그리고 자기 자신과의 대화가 바로 배움이라고 한다.
배움이 이루어지는 학교가 전세계적으로 많이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으며, 이런 배움은 학생뿐만이 아니라, 교사들에게 해당한다는 사실을 이 책은 알려주고 있다.
배움이 이루어지기 위한 기본적인 태도는 우선 듣기에 있다는 사실. 듣기가 얼마나 안되고 있는지는 요즘 학교 교실을 보면 알 수가 있는데, 배움이 이루어지고 있는 학교에서는 듣기가 자연스레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러한 듣기를 바탕으로 학생과 학생이, 학생과 교과서가, 학생과 교사가 자연스레 이어지고 있다고 한다.
서로가 서로를 존중하는 분위기에서, 잘된 발표가 있는 것이 아니라, 모든 발표는 다 좋은 발표라는 생각을 지니고 이들이 어떻게 서로 연결되어야 하는가를 고민하는 수업.
그러한 수업을 통한 배움. 이것이 바로 교사의 도전이고, 21세기 학교의 모습이어야 한다고 한다.
주로 일본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구체적인 수업을 중심으로 이야기를 하고 있어서 어떤 수업이 배움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알 수 있게 해주고 있으며, 일본뿐만이 아니라 다른 나라들의 사례도 들고 있어서 이것이 일본에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세계적인 추세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
우리나라도 이제 교육에서 배움으로 방향을 틀기 시작했다. 혁신학교를 중심으로 배움을 중심에 놓고 있으며, 이러한 배움이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아가는 학교도 나오기 시작했다.
이러한 배움이 몇몇 학교만이 아니라 우리나라 교육 전반에 걸쳐 일어날 때 학교에서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끊이지 않을 것이며, 교사들 역시 학교에 오는 보람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교사와 학생을 바라보는 학부모들 역시 즐거운 마음을 지닐 수밖에 없을 테고.
교사의 도전.
이것은 끊임없이 일어나고 있는 일이다. 어떤 방향으로 가고 있느냐, 이제는 교육이 아니라 배움을 향해서 가고 있다는 사실. 요즘 교육의 방향이다.
이렇게 가기 위해서 이 책의 저자인 사토 마나부 교수는 교육 정책가들에게 한 마디 한다.
학교 개혁을 소리 높여 논의하고 정책화하는 사람들은 한 번이라도 학교를 방문하여 교실을 자세히 관찰하고 교사 업무와 아이들 활동에서 배운 적이 있었을까? 아이들 장래와 교육의 미래에 희망을 건다면 학교와 교사를 재단하고 논평하여 비판하는 무책임한 발언은 허용해서는 안되며, 교사와 아이들이 직면하고 있는 고민을 구체적으로 공유하여 매일매일 실행하는 학교교육 활동에 스스로 협력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출발점이 공유되지 않는 한 어떤 개혁 논의나 정책도 무엇 하나 성과를 거둘 수 없을 것이다. (이 책 246-247쪽에서)